중앙대학교 전기수학

  • 1
  • 2
  • 3
  • 4
  • 5
  • 6
>

상세정보

소개글

"중앙대학교 전기수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다중지능이론과 교육의 미래
1.2. 본인의 지능 프로파일 진단
1.3.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본론
2.1. 다중지능이론이란 무엇인가
2.2. 본인의 약점지능과 강점지능
2.3. 본인의 강점지능을 강화하고 약점지능을 보완하기 위한 전략

3. 결론
3.1. 다중지능이론과 교육의 현실
3.2. 개인의 특별함을 발견하고 계발하는 교육의 방향
3.3. 다중지능이론에 대한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다중지능이론과 교육의 미래

과거에는 지능을 단일한 척도로 바라보며 주로 언어적 영역과 논리-수학적 영역에 초점을 두었다. 그러나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은 지능을 여덟 가지의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하였다. 음악지능, 공간지능, 신체-운동지능, 대인관계지능, 개인 내적지능, 자연 관찰지능 등 각 개인이 가진 특별한 능력들을 모두 지능의 범주에 포함시킨 것이다. 이는 전통적인 지능검사가 학생들의 다양한 능력을 드러내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다.

다중지능이론은 교육 현장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학생들의 개별적인 강점과 약점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둘째, 기존의 언어적·논리적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영역에서의 학습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의 고유한 재능과 잠재력을 발견하고 계발하는 것이 교육의 핵심 목표가 되어야 한다.

미래 사회에서는 다양성과 개별성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개인의 특별함과 독특성을 발견하고 계발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다중지능이론에 기반한 교육 방식이 적극적으로 도입되어야 한다. 교육은 더 이상 획일화된 기준으로 학생들을 평가하고 서열화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 개개인의 고유한 재능과 잠재력을 끌어내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1.2. 본인의 지능 프로파일 진단

필자는 과학고등학교를 2학년 때 조기졸업하였고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를 졸업하였다. 이러한 정보로 인해 주변 사람들은 필자의 논리·수학적 지능이 뛰어날 것이라 생각하지만, 이는 오해이다. 실제로 고등학교 때 내신은 7.2등급으로 최하위권이었고, 그중에서도 수학점수가 현저히 낮았다. 대학생 때 전공평점도 2.28로 매우 낮았으며, 수학적 응용에 자신감이 없었다. 따라서 필자의 논리·수학적 지능은 낮은 편이며, IQ도 100을 겨우 넘는다고 볼 수 있다.

한편 필자는 대인 간 지능이 낮은 편이라고 생각한다. 고등학교 때 따돌림을 당한 경험이 있고, 여러 회사 인턴 근무 중에도 항상 '적'이 생겼으며, 중앙대 1~2학년 때에는 다른 사람의 기분이나 분위기를 잘 파악하지 못해 '눈치가 없다'는 소리를 들었다. 또한 리더십이 뛰어나지 않아 다른 사람에게 선한 영향을 주지 못했고 동기부여도 어려웠다. 이러한 성격적 특성을 종합해 볼 때 필자의 대인 간 지능은 낮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필자의 강점지능은 언어지능이다. 책을 읽는 속도가 빠르고 언어자료에 대한 이해능력이 뛰어나 국어국문학과 복수전공을 했다. 국문학과 전공 평점은 4.11로 매우 높았고, 중학생...


참고 자료

기본 자료
고인숙(2020), 「교육심리학 강의교안」, 배움사이버 평생교육원
하워드 가드너(2007), 『다중지능』, 문용린·유경재 역, 웅진지식하우스
단행본 및 논문․평론
김동일·박소영(2015), 「다중지능 잠재 프로파일 분석」, 『교육심리연구』, 29(1)호
김말선·김종운(2012),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진로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진로교육연구』, 25(3)호
김은주·정태희(2011), 「다중지능을 활용한 중학교 문학 수업 연구」, 『교육실천연구』, 10(1)호
안윤정(2015), 「대학생의 직업정체성 단계에 따른 정서지능과 진로미래 관계 연구」, 『진로교육연구』, 28(4)호
중앙대학교 [진로탐색을 위한 학과소개서]-공과대학편 p114-235
http://admission.cau.ac.kr/ipsi/dataroom.htm?bbsid=pds&ctg_cd=iphak&page=1&skey=&keyword=&mode=view&bltn_seq=97394
Campus Life 미디어 “공대생’에 대한 편견을 버려~ 공돌이? 공순이? 그들만의 비밀을 파헤치다!”
http://media.campuslife.co.kr/Media_View.asp?idx=15167
인터넷 한양 뉴스 “여성 공대생 편견 타파! 잘 알려지지 않은 여성 공대생들의 이야기”
http://www.hanyang.ac.kr/user/WeeklyUserList.action?command=print_view&work=pdf&weeklyId=2011-04-3-8
20대가 만드는 20대 대표 언론 고함 “공대 아름이의 진실 혹은 거짓 ‘여자는 공대가면 안되나요?’”
http://goham20.tistory.com/1503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