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이다. 급성췌장염이란 술이나 담석을 포함한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췌장에 갑자기 염증이 생겨 췌장 및 그 주변조직이 손상되는 병을 말한다. 급성췌장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알코올과 담석증으로 이 두 가지를 합하면 거의 70%~80%에 해당한다. 현재 한국의 알코올 소비량은 세계 8위로 국민 한사람이 연간 소비하는 양은 소주 50병과 맥주 100병정도로 해마다 소비량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서는 췌장염의 발생빈도가 높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환자의 간호사례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췌장염을 알아보고자 한다.
1.2. 질병의 이론적 고찰
췌장염은 세균의 침입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이자(췌장)효소가 이자 내에서 활성화되어 이자세포가 자신을 소화하여 염증이 일어나고 조직이 탈락, 괴사되는 과정이다. 췌장염은 급성과 만성 형태로 나타나며, 남성은 주로 알코올중독, 손상, 소화성궤양과 관련이 있고 여성은 쓸개길(담도계)질환과 관련이 있다. 담도질환에 의한 췌장염은 예후가 좋으나, 알코올중독과 관련된 췌장염은 예후가 나쁘다. 췌장염이 괴사나 출혈로 진행되면 사망률이 60%에 달한다.
이자세포의 염증, 탈락, 괴사가 급격히 진행되어 전신증상을 유발함으로써 생명이 위험한 경우도 있다. 어떤 원인이든 이자관이 막히면 이자 내 압력이 증가하여 이자관이 파열되고, 그 결과 trypsin을 비롯한 다른 효소들이 이자의 실질세포 내로 유출되어 이자를 손상시킨다. 급성췌장염에서는 지방분해과정, 단백분해과정, 혈관 및 췌관의 탄력섬유 용해과정, 그리고 염증 등 4가지의 주요 병태생리적 과정이 일어난다.
이자의 출혈부위와 괴사부위에 백혈구가 모이면 염증 변화가 초래되며, 이 반응으로 이자조직이 화농되거나 농양이 형성된다. 가벼운 감염은 흡수되나 심한 경우 석회화와 섬유화가 일어나며 감염된 부위의 체액이 섬유성 조직에 의해 덮이면 가성낭종이 된다. 급성췌장염은 정상 기능으로 완전히 회복되거나 만성췌장염으로 진행하기도 한다.
주요 증상은 상복부의 심한 통증이며, 통증은 갑자기 나타나며, 상복부나 좌상복부에 국한되고 복부 압통과 복부경직 등이 있다. 구역과 구토, 백혈구 증가, 발열, 빈맥, 황달 등이 나타나며, 혈류로 유입된 trypsin에 의해 혈관이 손상되어 복강 내 출혈이 있어 배꼽 주위 피하출혈과 옆구리 부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