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아동미술과 보육교사의 역할
1.1. 보육교사의 자질
1.1.1. 미술 본질에 대한 신념
일반적으로 미술교육에서 지향하는 이상적 인간상은 미적 인간, 심미적 인간이다. 심미적 인간은 아름다움을 잘 느끼고 표현하며 즐기는 인간을 말하며 심미적 인간 육성은 미술교육에 있어 중요한 목표이다. 이것은 작품제작 활동과, 감상활동, 향수과정의 경험을 인간형성의 과정에 적용하려는 것이며 즉, 미적 체험 활동을 통하여 존재에 대하여 각성하고 인식하며 표현을 통하여 새로움과 미적 앎을 갖도록 하자는 것이다. 감성과 미술재료를 중심으로 한 물성 체험의 표현활동과 본질직관의 미적 앎의 교육은 미술만이 갖는 교육적 특성이나 방법이 존재하게 하는 이유가 된다."이다.
1.1.2. 정서성
'정서성'이다. 이는 '미적 정서'로서 아름다운 대상에 반응하는 정서적 성향을 의미한다. 본래 지 · 정 · 의 · 기(知· 情· 意· 技)가 충만하고 잘 조화된 인격의 육성이 교육의 바른 길임에도 불구하고, 흔히 오늘날의 학교교육은 지나친 주지 교육적 경향으로 인하여 합리와 분석을 강조하고 정서나 감정이 메마른 인간을 길러낸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많은 교육자들은 예술교육에서 그 방안을 찾는다. 오늘의 학교교육에서 결여되어 있는 감성적, 정서적 결핍을 미술교과를 통하여 충족할 수 있고 좌 ·우뇌의 균형 있는 발달, 즉 지성과 감성이 원만하게 융화된 '조화로운 인간'의 모습을 표현하고, 창조적 표현이나 삶으로 이어지게 할 수 있다.
1.1.3. 미적 안목의 육성
'미적 안목의 육성'이다. 미적 체험으로 통해 세계와 소통하며 자신과 세계를 아름답게 가꿀 수 있다는데 있다. 즉 자신의 내면과 외부세계를 시각적 언어인 미술을 통해 보다 아름답게 표현하고 즐길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미적 표현은 자기 자신을 알리는 일이며 세상과 소통하는 것이다. 미술은 다른 사람과 소통하면서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고, 창의적인 삶을 살게 하며 미적 안목을 육성하여 자기 자신과 환경을 이해하여 조화롭고 균형 있는 세계를 만들어 가는데 기여한다. 미술교육은 람으로 하여금 사물이나 세계를 새롭게 바라보고 인식하는 능력을 갖게 하고, 자신을 잘 표현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의 이해를 돕고, 타인과 소통하면서 환경을 아름답게 가꿀 수 있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1.1.4. 지식의 교육
'지식의 교육'이란 미술에 관련된 지식이나 정보를 가르치는 것을 의미한다. 미술은 그 자체가 하나의 거대한 '문화'이며 거대한 '지식'덩어리이기도 하다. 미술은 구석기 이래로 인류의 생활과 역사와 문명과 문화에 대한 기록과 지식이었으며, 이를 배제하고는 역사나 문화를 알아볼 수 없고 전달할 수도 없었을 것이다. 미술적 지식은 특수한 전문지식도 포함되는데, 즉 미술사, 미학, 조형론, 색채론 등 무수한 전문 미술지식을 말한다. 그러나 미술에 대해 많이 아는 이가 곧 예술가는 아니듯, 미술관련 전문 지식은 미술의 창작과 이해를 돕는 주변적 영역이지 창작이 아니다. 미술이 만들고 그리는 행위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듯 미술 지식은 미술이 좀 더 바르고 새롭고 아름답고 의미 있게 되도록 이끄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1.5. 창의성 교육
'창의성 교육'이란 예술교과에 두드러진 특성이 있다면, 영어, 수학, 과학 등이 기존의 지식이나 사고방법을 전달하는 데 반해서 예술교과는 '새로움'을 추구하는데 기본특성이 있는데, 이는 창의성 교육의 핵심이 된다. 김춘일(2002)은 "듀이나 로웬펠드 이래로 반세기 동안 주요 미술 교육가들이 주창했고, 지금도 이루어지고 있는 '예술을 통한 창의성 교육'은 일반적인 미술교육의 목적론 가운데 가장 중요한 강조점"이라고 주장하였다.
창의성은 한 개인의 심리적 특성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한 사람이 인간이나 세상을 보는 사상이나 인격의 됨됨이 그 자체이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은 사람들이 모여 사는 한 시대, 사회의 잠재하는 욕구가 결정짓는다. 한 사람의 창의성 교육은 그 사람을 키우는 것이 아니라 그 사회와 문화를 키우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술교육이 문화교육이나 과학교육보다도 큰 힘을 발휘할 수 있고 효과도 크다는 것이 교육학적 인식, 평가이다.
즉, 창의성 교육의 핵심은 새로움을 추구하고 예술을 통해 개인과 사회, 문화를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