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척추 수술 정의, 적응증 및 간호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척추 수술의 정의와 적응증
1.1. 척추의 정의와 구조
1.2. 추간판 탈출증의 유형과 증상
1.3. 척추 수술의 적응증
2. 척추 수술의 종류
2.1. 현미경하 미세 추간판 절제 수술
2.2. 척추후궁절제술
2.3. 척추고정술 및 척추유합술
2.4. 인공추간판 대체술
3. 척추 수술 전후 간호 중재
3.1. 수술 전 간호 중재
3.2. 수술 후 간호 중재
3.3. 퇴원 교육
4. 척추 수술 환자를 위한 보조기
4.1. 경추 보조기
4.2. 요추 보조기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척추 수술의 정의와 적응증
1.1. 척추의 정의와 구조
척추는 사람의 주요 골격을 지지하는 척주를 구성하는 뼈들이다. 성인의 경우 7개의 경추, 12개의 흉추, 5개의 요추, 그리고 5개의 천추, 4개의 미추가 각각 하나로 합쳐져 천골과 미골을 형성하여 총 26개로 이루어져 있다. 척추는 골격을 지지하는 기능과 더불어 척수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척수는 중추신경계인 뇌와 말초신경계인 말초기관들을 잇는 역할을 하며, 척추는 이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척추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디스크라 불리는 척추사이원반(추간판)이 존재한다. 추간판은 두 척추뼈몸통의 사이를 섬유연골관절로 이어주는 탄력 있는 받침으로 사람에게는 23개가 존재한다. 추간판은 교원섬유다발이 모여 여러겹의 판을 이루는 섬유테와 그 안에 담겨있는 속질핵으로 구성된다. 섬유테의 각 층의 판끼리는 섬유방향이 서로 120도로 교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섬유테는 속질핵과 달리 당겨지는 힘에 강하지만, 성인이 되면 점점 속질핵이 뒤로 치우치고 섬유테의 뒤쪽 층판이 얇아져 원반후방탈출의 원인이 된다.
1.2. 추간판 탈출증의 유형과 증상
추간판 탈출증은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나 요추 부위의 발생(HIVD)이 90%로 가장 흔하며, 경추가 8%정도로 나타나며, 흉추와 그 외의 부위는 드물게 나타난다. 다섯 번째 요추신경(L5)이 탈출된 추간판에 의해 압박을 받을 경우 대상자는 종아리의 바깥쪽 부위나 발등, 발바닥 등에 통증이나 저린 감각을 느끼게 되고, 여섯 번째 경추신경(C6)이 압박을 받을 경우 대상자는 팔의 바깥쪽과 엄지손가락 부위에 통증이나 저린 감각을 느끼게 된다.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추간판 탈출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외상이나 반복적인 부적절한 자세 또한 추간판 탈출증의 주요 원인이 된다. 추간판 탈출증 환자는 해당 부위의 신경을 압박하여 심한 요통, 하지방사통, 감각이상, 근력약화 등의 증상을 나타내게 된다.
1.3. 척추 수술의 적응증
척추 수술은 보존적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거나 악화되는 경우에 시행한다. 첫째, 신경통이 심하고 아무것도 할 수 없을 때 수술을 진행한다. 둘째, 신경통의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더 악화되어 지속될 때 수술을 고려한다. 셋째, 특수신경근 기능부전의 생리적 증거가 나타날 때 수술할 필요가 있다. 추간판 탈출증 환자 중 약물 및 운동 요법 등 보존적 치료에도 효과가 없는 경우에 수술을 시행한다. 특히 요추간판 탈출증에서 현미경하 미세 추간판 절제 수술이 가장 많이 시행된다. 또한 척추의 불안정성, 퇴행성 변화, 경막외 섬유화 등이 있는 경우에도 수술적 치료를 고려한다. 척추관 협착증, 척추전방전위증 등의 퇴행성 척추질환 환자에게도 척추후궁절제술, 척추고정술 및 척추유합술 등의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2. 척추 수술의 종류
2.1. 현미경하 미세 추간판 절제 수술
현미경하 미세 추간판 절제 수술은 약물 ...
참고 자료
정담미디어(2017),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2
대한정형외과학회(2006년), 『정형외과학 제6판』, 최신의학사. 보건복지부
2008년, Campbell's Operative Orthopaedics 11th edithion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국민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서울아산병원
김시동(2006), 간추린 인체해부학 서울:정문각
김남현 (1998), 척추외과학 서울:의학문화사
석세일(1997), 척추외과학, 서울:최신의학사
전시자외(2005), 성인간호학 , 서울: 현문사
이성란(2003), 쉽게풀이한 의학용어 서울:현문사
김기환(2004), 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서울: 현문사
‘대한척추외과학과‘(2011. 7. 09) http://www.spin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