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위험산모 자료 ppt 만들건데 주제, 목차, 내용 알려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위험산모 자료
1.1. 소홀해지는 산전 관리
1.2. 고위험 임신
1.3. 올바른 산전 관리
1.4. 경산부 산전 관리
2. 재난 보건 의료정책
2.1. 재난관리체계
2.1.1. 한국
2.1.2. 미국
2.1.3. 일본
2.1.4. 독일
2.1.5. 프랑스
2.2. 재난대응훈련
2.2.1. 한국
2.2.2. 미국
2.2.3. 일본
2.2.4. 독일
3. 청소년 성 건강 증진 교육
3.1. 주제 설정 취지
3.2. 대상자 실태 조사
3.3. 보건교육계획안
3.3.1. 교육목표
3.3.2. 교육내용
3.3.3. 교육방법 및 평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고위험산모 자료
1.1. 소홀해지는 산전 관리
첫째 아이를 출산한 산모의 경우 평균 14.0회의 산전 진찰을 받은 것에 반해, 둘째 아이 이상을 출산한 산모의 경우 평균 12.8회의 산전 진찰을 받는다. 이처럼 첫째 아이 출산 경험을 토대로 둘째 아이 이상을 출산한 경산부의 경우 상대적으로 산전 관리를 소홀히 할 수 있다. 또한 둘째 아이 이상 출산한 산모의 평균 초진 시기는 임신 5.48주로 첫째 아이를 출산한 산모의 평균 초진 시기에 비해 다소 늦다. 이에 따라 경산부의 나이가 고연령이 되기 때문에 고위험 임신이 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경산부에게 건강한 출산과 출생을 위한 적절한 산전 관리가 필요하다.
1.2. 고위험 임신
고위험 임신이란 임신으로 인해 모체의 생명이나 건강 또는 태아에게 독특한 질병이 초래되는 위험이다. 고위험 임신 질환에는 임신오조증, 임신초기출혈, 임신후기출혈,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 등이 포함된다. 고위험 요인에는 생물학적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 사회인구학적 요인이 있다. 고위험 임신을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산전 진찰, 고위험 요인의 최소한의 노출, 적절한 산전관리가 필요하다. [1]
1.3. 올바른 산전 관리
정기적인 산전 진찰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첫 산전 방문은 임신 초기에 이루어져야 하며, 이 때 초기 평가 항목들을 확인한다. 산전 진찰은 임신 주수에 맞추어 정기적으로 받도록 권장된다.
또한 임산부의 운동은 산전 관리에 도움이 된다. 케겔 운동, 나비 운동, 골반 흔들기 등의 운동은 임신부의 건강과 출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이러한 운동들은 체력 증진과 분만 시 근육 강화에 효과적이다.
임산부는 산전 관리 뿐만 아니라 형제 준비도 중요하다. 새로운 아기가 오면 기존 자녀와의 관계 형성을 위해 부모가 자녀에게 새로운 가족 구성원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가족 구성원 모두가 화목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정기적인 산전 진찰, 임산부의 규칙적인 운동, 그리고 형제 준비는 안전하고 건강한 출산을 위한 올바른 산전 관리 방법이다.
1.4. 경산부 산전 관리
경산부 산전 관리는 첫째 아이 출산 시 평균 14.0회의 산전 진찰을 받았지만, 둘째 아이 이상 출산 시 평균 12.8회의 산전 진찰을 받는다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첫째 아이 출산 시 5회 이하의 산전 진찰을 받은 여성은 1.6%에 불과했으나, 둘째 아이 이상 출산 시 3.0%의 여성이 5회 이하의 산전 진찰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첫째 아이의 경험을 토대로 둘째 아이 이상 출산한 경산부의 경우, 산전 관리를 상대적으로 소홀히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고연령의 경산부는 고위험 임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건강한 출산과 출생을 위해 적절한 산전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둘째 아이도 첫째 아이처럼' 프로그램을 통해 경산부를 대상으로 질 높은 수준의 산전 관리 교육과 전문적인 상담을 지원함으로써 모성과 태아의 건강 증진을 도모하고자 한다.
2. 재난 보건 의료정책
2.1. 재난관리체계
2.1.1. 한국
한국의 재난관리체계는 재난의 예방, 대비, 대응, 복구 대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방과 복구 대책은 주로 재난 예방 및 복구를 위한 사업계획 형태로 이루어진다. 세월호 참사 이후 국민안전처가 설립되었지만, 각 정부부처별로 재난관리시스템을 별도로 구축하고 있는 실정이다. 소방, 해양수산부, 산림청 등에서는 통합재난안전체계, 지능형 해양수산재난정보체계, 산림재해 통합관리체계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의 재난관리체계는 분산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1.2. 미...
...
참고 자료
최신지역사회보건간호학Ⅱ,지역사회보건간호학편찬위원회,수문사(2022) 519~524p,643~644p,650~651p
여성건강간호학Ⅱ,박영주 외 5명,현문사(2022) 85p,86p,87p123p,124p,126p
2021년도 가족과 출산조사,박종서 외9명,한국보건사회연구원(2021) 200~217p
인구보건복지협회, 임신·출산·육아 지원-환경조성/캠페인-수유시설 설치 물품지원 2023, http://www.ppfk.or.kr/sub/childrearing/campaign/campaign2.asp
박인호, 소철환, 조정익, 유승택, 이승현, 홍기연, & 오연균. (2012). 청소년기 10 대 임신에서 임산부와 신생아의 주산기 문제점. J Korean Soc Neonatol, 19, 127-133.
김은애, 이인영, & 이순희. (2016). 청소년 여성의 성교육 경험 및 피임제 인지에 관한 연구. 생명윤리, 17(1), 53-74.
최소영, 김영혜, & 오현숙. (2004). 10 대 여성의 성행동, 임신실태 및 피임지식에 관한 연구. KJWHN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0(1), 42-50.
Naver 뉴스 ‘성관계할 때 피임 안 하는’ 한국 청소년의 비율은 놀랍다.
국민건강보험 https://www.nhis.or.kr/nhis/index.do
화명일신 기독병원 http://www.hmilsin.or.kr/
대한산부인과의사회 https://www.kaog.org:4430/
Youtube. 채널A뉴스. 발로차면 유산‘청소년낙태’. https://www.youtube.com/watch?v=pvreJR5E3X0
Youtube. 부천서울여성병원TV. 피임약바로알기. https://www.youtube.com/watch?v=L7NXFgWZ90o
네이버블로그. 성 정보통통. https://blog.naver.com/you800468/221335734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