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언어의 하위 층위에는 음운, 어휘, 문법 등이 있다. 문법은 다시 형태소, 단어, 구, 절, 문장 등의 하위 층위로 분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법의 하위 층위를 문법 단위라고 한다. 문법 항목이란 한국어 교육문법에서 가르치는 어미, 조사, 표현 등을 말하며, 이들 하나하나는 수업에서 학습해야 할 목표 문법으로 제시되는 것이다. 문법 표현이란 학습 효과를 위해 덩어리로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목표 문법을 의미한다. 하나의 형태가 아닌 여러 개의 형태, 즉 복합 형태를 문법 표현이라고 한다. 문법 항목의 주요 교육 내용에는 의미 정보, 형태 정보, 화용 정보, 유사 문법 정보 등이 있다. 본 레포트에서는 문법 표현 '-(으)ㄴ 적이 있다/없다'와 '-(을)ㄹ 테니까'에 대해 어떠한 의미·형태통사·화용·관련어 정보를 가르쳐야 하는지 제시하고, 이를 활용한 문장, 대화 또는 담화 단위의 연습이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의 활동 교수방법도 함께 제안하고자 한다.
2. '-(으)ㄴ 적이 있다/없다'의 교수 내용과 방법
2.1. 의미 정보
'-(으)ㄴ 적이 있다/없다'는 과거의 경험을 말할 때 사용하는 문법 표현이다. 어떤 경험이 있을 때는 '-(으)ㄴ 적이 있다'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어떤 경험이 없을 때는 '-(으)ㄴ 적이 없다'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1a) 제주도에 가 본 적이 있다."는 과거에 제주도에 간 경험이 있음을 나타내며, "(1b) 제주도에 가 본 적이 없다."는 그러한 경험이 없음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이처럼 '-(으)ㄴ 적이 있다/없다'는 과거의 경험 유무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2.2. 형태통사 정보
'-(으)ㄴ 적이 있다/없다'는 앞말 받침 유무에 따라 달리 활용한다."" 받침이 있을 경우 '-은 적이 있다/없다', 받침이 없을 경우 '-ㄴ 적이 있다/없다'로 활용한다. 또한 앞말이 ㄹ 받침으로 끝날 때는 '-ㄴ 적이 있다/없다'로 활용한다."" 이를 시각적 효과를 위해 다음과 같은 표로 정리하여 제시할 수 있다:
받침 ○ | 받침 × / 받침 ㄹ
-은 적이 있다/없다 | -ㄴ 적이 있다/없다
입은 적이 있다/없다 | 먹은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