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사회 산업장 보건교육
1.1. 산업장 작업 환경관리
1.1.1. 작업환경 관리의 목적
사업장에서 발생되고 있는 소음, 분진, 유해화학물질 등의 유해인자에 근로자가 얼마나 노출되는지를 측정, 평가한 후 시설 등 적절한 개선을 통하여 깨끗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근로자의 건강보호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작업환경측정이란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각종 유해화학물질 등 근로자에게 건강장해, 심각한 불쾌감, 능률저하를 일으키는 유해인자를 예측하여, 그 노출수준을 측정·분석하고 작업환경 관리기준과의 비교평가를 통해 개선의견을 도출하는 기술이다. 산업안전보건법 제 42조(작업환경측정 등)에 의하면 사업주는 유해인자로부터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작업환경측정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당해 시설 및 설비의 설치 또는 개선 등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1.1.2. 사업장의 유해요인
사업장의 유해요인이다. 화학적 인자로는 호흡기 유해물질, 피부 유해물질이 있다. 호흡기 유해물질에는 가스, 휘발성 물질의 증기 및 분진, 상기도점막 자극제, 상기도점막 및 폐조직 자극제, 종말 기관지 및 폐포점막 자극제, 진폐증을 일으키는 분진, 유기용제 중독을 유발하는 물질, 중금속 중독을 유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