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Gilbert"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길버트 그레이프 영화 소개
2.1. 영화 전체 줄거리
2.2.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의 길버트 그레이프 가족
2.3. 길버트-어니 관계
2.4. 어머니에게 나타난 '집'의 의미
2.5. 길버트와 여자친구 베키의 관계
2.6. 영화 전체 감상평
3. 길버트와 스펙트의 지역사회 기능
3.1. 생산·분배·소비의 기능
3.2. 사회화의 기능
3.3. 사회통제의 기능
3.4. 사회통합의 기능
3.5. 상부상조의 기능
3.6. 방어기능
3.7. 의사소통기능
4. 현대사회에서의 가장 중요한 지역사회 기능
4.1. 상부상조의 기능 중요성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길버트 그레이프는 아이오아주의 작은 마을 엔도라에 사는 한 가족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이다. 이 영화는 드라마틱한 반전은 없지만 소소한 일상 속에서 많은 생각을 자아내는 장면들이 녹아있는 명작이다. 주인공 길버트는 아버지의 죽음과 어머니의 고도비만 등 불우한 가정환경에서 자라났다. 그는 가족을 돌보느라 자신의 삶을 희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그의 상황과 심경이 깊이 있게 그려져 있다. 이 영화는 현실에서 벌어질 수 있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어 현대사회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2. 길버트 그레이프 영화 소개
2.1. 영화 전체 줄거리
영화 '길버트 그레이프'는 아이오아주의 작은 마을 엔도라에서 정상적이지 않은 가족들을 돌보는 길버트 그레이프의 삶을 그려낸 영화이다. 이 영화는 드라마틱한 반전은 없지만, 소소한 일상을 담고 있으며 그 속에서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장면이 많이 녹아져 있는 명작 영화이다. 이 영화는 매년 캠핑족이 몰려드는 도로를 배경으로 길버트 그레이프와 동생 어니가 이들을 기다리는 상황으로부터 시작한다. 그들의 취미 생활은 캠핑족을 구경하는 것이고 길버트는 잠깐 머물렀다 떠나는 그들을 부러워한다. 그는 식료품 가게 점원으로 일하고 있는데 돌아가신 아버지를 대신해서 집안의 가장의 역할을 해야 하기도 하며, 이사 또한 못 가는 것도 어머니가 갖고있는 '집'에 대한 집착 때문이다. 길버트의 가족 구성원들은 이유불문 갑작스럽게 지하실에서 목을 매달아 자살한 아버지와 그 충격으로 인해 200kg이 넘는 초고도비만의 무기력한 어머니, 집안일을 돕긴 하지만 능력 없이 집에서 놀고 있는 누나 에이미, 발달장애인 남동생 어니와 철없는 여동생 엘렌까지이다. 이 집안에서 실질적인 가장 길버트의 어깨가 얼마나 무거울지 예상이 되지 않았다. 특히 그중에서도 남동생 어니는 늘 높은 곳에 올라가 길버트를 힘들게 했다. 한편 길버트의 여자친구로 등장하는 베키는 한곳에서 머무는 것보단 자유분방하게 돌아다니는 것을 좋아하는 인물로, 그녀는 캠핑카로 여행을 다니던 중 차가 고장났다. 둘은 데이트 도중 어니의 목욕을 위해 길버트는 집으로 돌아가 급하게 마무리를 하게 되고, 이때 어니는 오랫동안 스스로 욕조에서 나오지 못하고 탈수로 인해 죽을뻔 하게 된다. 하지만 베키가 어니의 물 공포증을 극복시켜줬으며, 이후에도 어니를 잘 돌봐준다. 시간을 갖고 화해를 하며, 가족들이 바랬던 어니의 18번째 생일을 맞이하게 된다. 즐거운 분위기에서 파티가 진행되었고, 이 날 어머니와 길버트는 이야기를 주고받으면서 갈등을 해소하고, 처음으로 어머니께 여자친구인 '베키'를 소개해주려고 했다. 뚱뚱한 몸 때문에 대인기피증이 생겼던 어머니는 마주치지 않으려고 피하지만, 길버트는 부끄럽지 않다며 소개해주었고, 베키가 온 것은 작별 인사를 하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조금의 용기를 가진 어머니는 스스로 2층에도 올라가 보려고 노력했다. 2층에 올라가 침대방에서 잠에 청한 뒤, 어니가 2층으로 올라와 어머니를 깨우려고 했지만, 어머니가 이미 숨을 거둔 상태였다. 이때 길버트 가족들은 장례식을 어떻게 치를지 고민에 빠졌다. 1년 후, 에이미는 제과점에 취직을, 엘렌은 유학을 위해 전학을 가고, 둘만 남은 마을에 영화 초반에 보였던 것처럼 다시 캠핑카 행렬이 지나가고, 거기서 베키 가족을 만난다. 그들과 여행을 떠나는 두 형제의 모습으로 영화 길버트 그레이프가 끝이 난다.
2.2.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의 길버트 그레이프 가족
길버트 그레이...
참고 자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서상철(2006)<지역사회복지론>, 홍익재
최일섭(2006). 지역사회복지론. 서울대학교 출판부장창호 외 3인(2006), <지역사회복지론>, 교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