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서울식품의 배경 및 목표
서울식품(주)은 2000년대 초에 기업을 창업하여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점차 성장하여 가공식품 분야에서 상당한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중견 기업이다. 20년 가까이 높은 고객만족도를 유지하며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알고 있을 정도의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가공식품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 1위를 목표로 하는 서울식품(주)은 소비자들의 관심을 이끌어낼 신제품을 출시하려 한다.
1.2. 제품 개발의 필요성
최근 사회 트렌드는 건강한 먹거리와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신혼부부와 딩크족(DINK: Double Income, No Kids)의 증가로 인해 강아지를 키우는 가구 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반대로 아이를 키우는 가구 수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딩펫족'이라는 새로운 소비자 그룹의 등장을 촉진하였으며, 이들은 반려동물을 가족의 일원으로 여겨 그들을 위한 고품질, 건강한 식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서울식품(주)은 이러한 사회적 트렌드와 시장 변화에 발맞추어, 강아지와 어린 아이가 함께 안전하게 먹을 수 있는 유기농 제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현재 시장에는 반려동물용 유기농 식품이 일부 존재하고 있지만, 강아지와 어린 아이가 함께 먹을 수 있는 제품은 찾아보기 어렵다.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가구는 가족의 일원으로서 강아지에게 안전하고 건강한 음식을 제공하기를 원하며, 동시에 아이들에게도 건강에 좋은 식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인간과 동물이 모두 섭취할 수 있는 식품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서울식품(주)은 이번 제품 개발을 통해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고, 새로운 소비자층을 공략하여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자 한다. 또한, 유기농 제품을 통해 환경 친화적이며 지속 가능한 경영을 실현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2. 시장 분석
2.1. 반려동물 시장 현황
국내 반려동물 시장은 최근 수년간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신혼부부와 딩크족(DINK: Double Income, No Kids)의 증가로 인해 강아지를 가족의 일원으로 여기는 가구 수가 크게 늘어났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 식품 시장의 규모도 2023년 기준 약 2조 원 규모로 성장했다. 반면에 아이를 키우는 가구 수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딩펫족"이라는 새로운 소비자 집단이 등장했는데, 이들은 반려동물을 자녀와 같은 존재로 여기며 이들을 위한 고품질의 건강한 식품에 대한 수요가 높은 편이다. 이에 반려동물 식품 시장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2.2. 유기농 식품 시장 현황
유기농 식품 시장 현황은 건강한 먹거리를 중시하는 소비자층의 확대와 함께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반려동물용 유기농 식품의 경우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국내 유기농 식품 시장은 매년 1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3년 기준으로 약 2조 원 규모까지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들이 건강과 안전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트렌드가 지속되면서 유기농 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또한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반려동물용 유기농 식품 시장 또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처럼 유기농 식품 시장은 건강과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지속되면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되고 있다.
2.3. 타사 제품 동향
현재 시장에는 마라 음식을 가공식품으로 출시한 제품들이 있다. 최근 A사에서는 인스턴트 라면에 마라 맛을 결합한 '마라탕면'을 출시하였고, B사에서는 마라 음식을 손쉽게 즐길 수 있게 한 '단번에 마라스프'라는 제품을 출시하였다. 이 두 제품 모두 출시 후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며 현재 마라 관련 식품 시장에서 A사가 42%, B사가 36%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최근 2개월 내에 마라 관련 식품 시장이 본격적으로 성장하는 추세이다.
3. 제품 컨셉 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