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 통합돌봄 추진 현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 통합돌봄 제도에서의 간호사 역할
1.1. 서론 - 지역사회 통합 돌봄 제도란
1.2. 본론 - 도입한 이유
1.3. 비전과 목표
1.4. 4대 핵심요소
1.5. 단계별 계획
1.6. 4대 중점과제
1.7. 추진현황
1.8. 정책 추진 성과와 계획
2. 결론 - 간호사의 역할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 통합돌봄 제도에서의 간호사 역할
1.1. 서론 - 지역사회 통합 돌봄 제도란
지역사회 통합 돌봄(커뮤니티 케어)이란, 돌봄이 필요한 주민(어르신, 장애인 등)이 살던 곳(자기 집이나 그룹 홈 등)에서 개개인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누리고 지역사회와 함께 어울려 살아갈 수 있도록 주거, 보건의료, 요양, 돌봄, 독립생활 등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지역주도형 사회서비스정책이다.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했으며, 2026년에는 어르신이 전체 인구의 20%를 차지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돌봄(케어)은 수요가 급증하면서 국민 대다수의 보편적 문제가 됐다. 현재 병원·시설에서 지내야 하는 상황이 많고, 불충분한 재가 서비스로 인해 가족(특히, 여성)에게 돌봄은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복지 선진국은 지역사회 중심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혁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역사회 통합 돌봄(커뮤니티케어)은 초고령사회를 앞둔 시점에서 광범위한 돌봄 불안을 해소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추진되는 정책이다.
1.2. 본론 - 도입한 이유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2026년에는 어르신이 전체 인구의 20%를 차지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돌봄(케어)은 수요가 급증하면서 국민 대다수의 보편적 문제가 됐다. 돌봄이 필요한 사람을 누가, 어디서 돌볼 것인가에 대한 해법 마련이 필요하다. 2017년 노인실태조사 결과, 어르신 57.6%가 거동이 불편해도 살던 곳에서 여생을 마치고 싶다고 답했다. 그러나 실상은 병원·시설에서 지내야 하는 상황이 많고, 불충분한 재가 서비스로 인해 가족(특히, 여성)에게 돌봄은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재가서비스는 서비스 간 연계 부족으로 지역 내 통합적 케어 제공에 한계가 있어 어르신들은 집, 주민센터, 복지관, 보건소, 병원 등을 순회해야만 한다. 중장기적으로는 급속한 고령화 등으로 인한 돌봄 지출 급증에 대비해 사회보장제도의 지속가능성 문제도 있다. 복지 선진국은 지역사회 중심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지역사회 통합 돌봄(커뮤니티케어)은 초고령사회를 앞둔 시점에서 광범위한 돌봄 불안을 해소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어르신들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주거·의료·요양·돌봄 서비스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정책이다. 정부는 2018년 11월 '지역사회 통합 돌봄 기본계획 (1단계 : 노인 커뮤니티 케어)'을 발표했다. 통합돌봄 제공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추진 로드맵과 4대 중점과제(주거, 건강·의료, 요양·돌봄, 서비스 통합 제공)를 제시했다. 2019년 6월부터 2년간 16개 시군구에서 지역 자율형 통합 돌봄 모형을 만들기 위해 선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1.3. 비전과 목표
정부는 2018년 '지역사회 통합 돌봄 기본계획 (1단계 : 노인 커뮤니티 케어)'의 비전을 '어르신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는 포용국가'로 제시하였다. 목표는 2025년까지 지역사회 통합 돌봄(커뮤니티케어) 제공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거, 건강...
참고 자료
안옥희 외(2020), 현문사,『지역사회간호학I,Ⅱ』
https://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Id=148866645 - 정책브리핑
https://hineca.kr/1842https://hineca.kr/1842
https://www.khan.co.kr/opinion/contribution/article/2*************5 - 경향신문;‘건강돌봄서비스’ 간호 역할의 중요성
https://kiha21.or.kr/?mod=document&uid=82&page_id=120 – 대한산업보건협회
한영란. (2019). 지역사회 통합 돌봄과 간호사 케어 코디네이터.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3(3), 311-325.
이경하 and 김미영. (2020). 노인 중심의 지역사회 통합 돌봄에서의 간호사의 역할 -체계적 문헌고찰-. Health & Nursing, 32(2), 39-50.
보건의료와 간호정책 교재 참고
김춘경외 4인, 2016., 건강가정지원센터, 상담학 사전.
방준호, 2018, 한겨레, ‘고령사회’ 진입한 한국…일본보다 7년 빨라
김도묵, 2018, 경기신문, 저출산! 고령화문제! 이대로 좋은가?
이명신, 2005, 맞벌이 가족 지원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및 필요도
홍기형,「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1986.
결혼학개론(1998). 319~386p. 정현숙 外. 상명대학교출판부.
한국 가족법 읽기 - 전통, 식민지성, 젠더의 교차로에서. 양현아, 창비, 2012
신가족의 탄생, 유별난 성소수자 가족공동체 이야기. 친구사이, 가구넷, 시대의창, 2018
서울시건강가정지원센타 https://familyseoul.or.kr/al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