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현대사회와윤리 독학사1단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현대사회와 간호의 발전
2.1. 간호 영역의 확대
2.2. 전문간호분야 제도의 확대
2.3. 간호 교육 제도
2.4. 대한간호협회의 발전 및 활동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대사회는 산업화, 도시화, 정보화, 기술화로 인해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의 흐름 속에서 보건의료분야 또한 다양한 변화를 겪고 있다. 간호 분야 역시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교육, 실무 영역의 확대와 전문화가 이루어졌다. 1980년대 이후부터 간호교육의 향상과 간호실무 영역의 확대로 간호 분야의 빠른 변화와 발전이 이루어졌다. 간호의 학문적 발전과 사회적 요구로 인해 임상 영역뿐만 아니라 다양한 보건 영역에서 간호사의 기능이 강화되고 새로운 역할이 창출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1990년대 전후 간호 분야의 제도적, 교육적 발전과정과 대한간호협회의 역사에 대해 깊이 있게 살펴보고자 한다.
2. 현대사회와 간호의 발전
2.1. 간호 영역의 확대
의료법 및 관련 법령의 개정으로 간호사의 역할과 기능이 확대되었다. 1980년대 이후 '농어촌 등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이 제정되어 간호사의 임무가 추가되었으며, 간호사와 조산사의 명칭이 변경되었다. 또한 보건진료원 제도가 신설되어 일부 간호사가 독자적인 의료 행위를 할 수 있게 되었다.
1995년에는 보건소법이 지역보건법으로 전문 개정되면서 간호사의 역할이 전염병 관리와 가족계획에서 보건교육, 재가 방문 간호, 정신보건 및 노인 보건 등으로 확대되었다.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으로 간호사가 보건관리자가 될 수 있게 되었고, 모자보건법 개정을 통해 간호사의 산전후 관리 및 피임 시술 권한이 인정되었다.
이처럼 간호 영역이 병원 중심에서 지역사회와 산업 분야로 확대되었으며, 간호사의 역할과 기능이 전문화되고 다양화되었다. 이는 의료법과 관련 법령의 개정을 통해 간호 실무가 발전할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 [1,2]
2.2. 전문간호분야 제도의 확대
2000년 1월 12일자 의료법 개정을 통해 전문간호사 제도가 법적으로 확립되었다. 이에 따라 보건, 마취, 정신, 가정, 감염관리, 산업, 응급, 노인, 중환자, 호스피스 분야 등 10개의 전문간호사 분야가 처음 인정되었다. 2006년에는 '전문간호사 자격 인정 등에 관한 규칙'이 제정되...
참고 자료
김문실 외 7인, 『간호의 역사』, 대한간호협회, 1998.
신미자 외 7인, 『간호의 역사』, 대한간호협회, 2013.
신미자 외 8인, 『간호 역사와 철학』, 현문사, 2009.
정면숙 외 10인, 『간호학개론』, 현문사, 2017.
정연강, 「한국간호의 살아있는 역사, 대한간호협회 – 보건의료계의 주인공으로 거듭나기」, 『대 한간호 = The Korean Nurse』, 2003.
<<경향신문>>, ‘김모임 전 복지부 장관, 유한양행 ‘유일한상’ 수상‘, 2015년 1월 16일.
위키백과, 김모임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B%AA%A8%EC%9E%84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989년 10월 14일자 한겨레신문 5면
1990년 3월 9일자 동아일보 12면
1991년 3월 8일자 동아일보 1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