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투약오류 예방 간호 교육 매뉴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투약오류 예방 간호 교육
1.1. 투약오류 사례
1.2. 문제점 도출
1.3. 문제점에 근거한 개선방법
1.4. 환자안전예방간호 활동
1.5. 소감 및 개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투약오류 예방 간호 교육
1.1. 투약오류 사례
간호사는 간호업무 수행 시 약물 투여와 관련된 과정에서 투약오류를 범할 수 있다. 한 사례로, 간호사들 간의 의사소통 부족으로 인해 부적합한 약물을 준비하여 환자에게 투여한 경우가 있다. 즉, 원래 처방되어야 할 약물인 "모틴"이 아닌 "베카론"을 투여하게 된 것이다. 이는 투약의 기본원칙인 "Right drug"을 위반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병원의 간호사 개개인이 투약의 기본원칙을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간호사는 "Right drug"을 지키기 위해 투약 전, 중, 후 총 3번에 걸쳐 확인해야 한다. 이처럼 투약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간호사들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철저한 확인이 필요하다.
1.2. 문제점 도출
투약오류가 발생하는 주된 문제점은 간호사들 간의 의사소통 부족과 투약의 기본원칙 준수 미흡이다. 간호사들 간의 의사소통 부족으로 인하여 부적합한 약물을 준비하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약물투여 전 기본원칙을 확인하지 않아 원래 처방되어야 할 약물이 아닌 다른 약물을 투여하는 오류가 발생한다. 이는 간호사 개개인이 투약의 기본원칙을 충실히 준수하지 않기 때문이며, 약물을 투여하기 전 3번에 걸쳐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지키지 않는 것이 문제로 나타난다. 더불어 의료 ...
참고 자료
김덕성 기자, 「간호사가 처방과 다른 약물 주사해 환자 사망…금고 1년, 집행유예 2년」,『Legal Times』, 2016.07.11
https://www.legal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629
보건복지부, 「간호사 근무환경 및 처우 개선대책」2018.03.20., 1P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4262&page=1
울산대학교 산부인과 52병동,「투약오류 경험률 감소를 위한 시스템 개선활동」2014 6월호
http://www.hira.or.kr/images/11/newsletter/qinews1406/qi_sub201406_04.html
보건복지부,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 제도 http://www.mohw.go.kr/react/policy/index.jsp?PAR_MENU_ID=06&MENU_ID=06290404&PAGE=4&topTitle=
이순영, 김은경(2012). 간호사의 투약오류에 대한 인식과 경험.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6), 3135-3147
송명희, 천자혜, 고홍, 김기준(2012). 투약 오류 건에 대한 근본원인분석 시행.
한국의료QA학회지, 18(1), 79-87
김명수, 정현경(2015). 중환자실 간호사의 고위험약물에 대한 투약오류 위험과 약물단독확인 태도, 투약안전간호활동 간의 상관성. 중환자간호학회지, 8(1), 1-10
김명수 (2012). 환자안전 관리자가 인식한 투약오류예방 시스템 구축실태에 따른 투약오류관리풍토 및 활용인식.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4), 568-578.
Christopher, W., Christopher, B., William, L. (2014). Medication Errors: An Overview for Clinicians. Elsevier BV, 89(8), 1116-25
병원간호사회. 개정2판. 신규간호사 교육지침서
병원간호사회. 개정9판. 간호안전관리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