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영양불균형 간호진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상세정보

소개글

"아동 영양불균형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동 영양불균형 간호진단
1.1. 기본 정보
1.2.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1.2.1. 질병의 원인 및 병태생리
1.2.2. 임상증상 분류
1.2.3. 치료 및 간호

2. 간호과정
2.1. 간호사정
2.1.1. 출생 시 특성
2.1.2. 현재의 건강문제
2.1.3. 계통별 신체검진
2.1.4. 임상 검사
2.2. 간호진단
2.3. 간호중재
2.3.1. 체온유지 간호
2.3.2. 호흡유지 간호
2.3.3. 영양유지 간호
2.3.4. 피부간호
2.3.5. 환경자극 최소화
2.3.6. 체위변경
2.3.7. 감염간호
2.4. 간호평가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아동 영양불균형 간호진단
1.1. 기본 정보

아동의 이름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알려져 있지 않다. 해당 아동은 남성 신생아로, 출생 당시 30주 1일에 태어났으며 체중은 1280g이었다. 주요 진단명으로는 재태 연령 30주 1일, 호흡 곤란, 무호흡, 황달, 신생아 괴사성 장염 의심, 호전 중, 패혈증 의심 상태가 있으며, 동맥관 개존증, 경미한 일차성 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도 진단되었다. 입원일은 날짜이며, 퇴원일은 확실하지 않다.


조산아와 저체중출생아는 출생 체중에 관계없이 재태연령 37주 미만에 출생한 신생아를 의미한다. 미숙아 출생 원인 중 태아 측 요인으로는 태아 스트레스, 다태아, 비면역성 태아수종, 감염이 있으며, 모체 측 요인으로는 사회경제적 수준 저하, 16세 미만이거나 35세 이상 임신, 다태아, 조산의 과거력, 산과적 문제, 임신성 질환, 모체 감염, 부적절한 임신 중 체중 증가, 영양 장애, 약물, 흡연, 알코올 중독 등이 있다.

미숙아의 특징으로는 몸통이 굴곡되고 사지가 신전된 자세, 작은 신체 크기에 비해 크기의 머리, 잘 접히는 연골의 귀, 부종이 있는 발바닥 주름과 적은 주름, 돌출된 음핵, 발달이 덜 된 외음부, 잘 발달되지 않은 고환 등이 있다. 또한 미숙아는 체온 조절 능력이 부족하여 저체온에 빠지기 쉽고, 호흡기계 미성숙으로 호흡 곤란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 심혈관계에서는 동맥관 개존증, 뇌실내·두개내 출혈, 위장관계에서는 수유 곤란과 괴사성 장염 위험이 높다. 간기능, 신기능, 면역기능 등 여러 기관이 미성숙하여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분만 직후에는 산소 공급과 체온 유지를 위한 처치가 필요하다. 이후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보온, 호흡 관리, 영양 공급, 피부 간호, 환경 자극 최소화, 체위 변경, 감염 관리 등 세심한 간호가 이루어져야 한다. 체온 유지를 위해 중성 온도 환경을 유지하고, 표면활성제 투여와 고빈도 호흡기 치료 등 호흡 관리를 한다. 경관 영양을 통해 충분한 열량과 영양소를 공급하며, 모유나 철분 강화 분유 사용을 고려한다. 피부 통합성 유지, 환경 자극 최소화, 규칙적인 체위 변경 등의 간호도 필요하다. 또한 무호흡, 패혈증, 괴사성 장염 등의 합병증 예방을 위한 관찰과 적절한 중재가 중요하다.


출생 시 특성으로는 출생일시 날짜 10시 54분, 성별 남, 재태 기간 30주 1일, 분만 방식 제왕절개, Apgar 점수 1분 9점 5분 9점(피부 색깔에서 각 1점 감점), 태내 감염으로 PPROM, 쌍둥이 중 한 명이라는 특이사항이 있다. 현재 건강 문제로는 미숙아, 호흡 곤란, 황달, 신생아 괴사성 장염 의심, 패혈증 의심 등이 있다.

계통별 신체검진 결과, 전반적인 외양은 복부가 불룩하게 나와 있고 정상 신생아에 비해 증가된 양상이었다. 피부에 각질이 많이 관찰되었다. 심혈관계와 신경계 검진 상 특이 소견은 없었으나, 동맥관 개존증 2.8mm가 확인되었다.

주요 검사 결과를 보면, 백혈구 수치 변화와 C-반응성 단백질 상승 양상, 빌리루빈 상승, 간효소 수치 변화 등이 관찰되었다. 수분 및 전해질 균형, 영양 상태 평가를 위해 시행한 검사에서도 경도의 영양 불량 소견이 확인되었다.

1. 침습적 처치 및 장 미성숙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2. 미성숙한 위장관 능력, 잦은 금식과 관련된 영양 불균형: 신체 요구량보다 적음
3. 피부 통합성 장애
4. 발달지연의 위험
5. 신생아 황달의 위험
6. 안위 향상을 위한 준비
7. 비효과적 호흡 양상

1. 체온 유지 간호
- 환아의 무호흡과 비효율적인 호흡에 대해 인공호흡 시행
- 중성 온도 환경 유지를 위해 신생아집중치료실 실내온도 24~27℃, 습도 50~60% 유지
- 보온 담요, 모자 착용 등으로 방사, 대류, 증발에 의한 열 손실 최소화

2. 호흡 유지 간호
- 표면활성제 투여와 고빈도 요법을 이용한 인공호흡기 치료
- 산소포화도 85~93% 유지, 복위나 측위 취하여 산소화 증가
- 과산소화로 인한 만성 폐질환과 미숙아망막증 예방

3. 영양 유지 간호
- 체중과 섭취량, 배설량 정확히 모니터링하고 전해질 수치 평가
- 미숙아에게 하루 105~130kcal/kg 열량 공급, 모유 수유 권장
- 철분 강화 분유 사용, 간헐적 위관영양 실시

4. 피부 간호
- 피부 연화제나 기름제품 최소 사용, 테이프 사용 줄이기
- 멸균 투명필름 드레싱 이용하여 피부 손상 예방

5. 환경 자극 최소화
- 밤낮 주기 조절, 소음 수준 고려하여 청각 자극 최소화
- 광선 치료 시 안대 제거하여 시각 자극 제공

6. 체위 변경
- 정상 만삭아에 비해 미숙한 자세 교정을 위해 체위 변경
- 보조기구 이용하여 압력 제거하고 대칭적 발달 촉진

7. 감염 간호
- 손위생, 인공호흡기 사용 기간 최소화, 필터 통과 수액 사용
- 감염 징후 주기적 사정하고 피부 찌르는 것 최소화

위 중재를 통해 입원 기간 중 감염이 발생하지 않았고, C-반응성 단백질 수치가 정상 범위로 유지되었다. 체중 변화도 긍정적이었으며 3200g을 넘어 퇴원할 수 있었다. 또한 수유 중 구토 빈도가 감소하였고, 피부 상태와 환경 자극도 적절히 관리되었다.


1.2.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1.2.1. 질병의 원인 및 병태생리

미숙아는 출생 체중에 관계없이 재태연령 37주 미만(36주 6일까지 해당)에 출생한 신생아를 의미한다. 저체중출생아는 2,500g 미만의 출생아를 의미하며, 대개 저체중출생아의 2/3는 미숙아이지만, 만삭아도 저체중아일 수도 있다. 미숙아 출생 원인 중 태아 측 위험인자로는 태아 스트레스, 다태아, 비면역성 태아수종, 감염이 있고, 모체 측 위험인자로는 사회경제적으로 낮은 계층, 16세 미만이거나 35세 이상인 여성, 다태아, 조산의 기왕력, 산과적 결함(전기파수, 태반기능부전,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쌍각자궁, 자궁과도신장, 경관무력증), 임신성 고혈압 증후군, 임신 당뇨병, 모체 전신감염, 부적당한 임신 중 체중 증가, 영양장애, 약물, 흡연, 알코올...


참고 자료

아동간호학 2판, 방경숙 외, 학지사메디컬
Clinical Laboratory Hematology 3rd edition, Mckenzie, PearsonHigher Education
서울대학교 의학정보_ 미숙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158&cid=51007&categoryId=51007
아산병원-[참고치] 소아의 연령별 백혈구(WBC) 참고치
http://amccp.amc.seoul.kr/asan/depts/amccp/K/bbsDetail.do?pageIndex=2&menuId=558&contentId=112377&searchCondition=&searchKeyword=
아산병원-[참고치] 소아의 연령별 적혈구(RBC) 참고치
http://amccp.amc.seoul.kr/asan/depts/amccp/K/bbsDetail.do?menuId=558&pageIndex=2&searchCondition=&searchKeyword=&contentId=112375
ABGA, V/S 신생아 정상수치
https://m.blog.naver.com/1to9/221007325833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임상진단의학회
최연순 외, 「제10판 여성건강간호학I」, 수문사 (2020), p211
박은영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2015), P39~42
"유전성 대사 질환", 서울아산병원 의학유전학센터, 2020년 05월 7일 접속,URI: http://amcmg.amc.seoul.kr/asan/depts/amcmg/K/bbsDetail.do?menuId=3811&contentId=247260
“갈락토스혈증”, 질병관리본부, 2020년 05월 7일 접속,
URI: http://health.cdc.go.kr/health/mobileweb/content/group_view.jsp?CID=C9F3075E3A
"식사요법(소아)-대사이상", 삼성서울 병원 영양팀, 2020년 05월 7일 접속,URI: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edical/dietarySub01.do?ds_code=D0004666&content_id=606&cPage=4&DP_CODE=DD2&MENU_ID=002049
"신생아 대사 이상 검사", 한양대학교구리병원, 2020년 05월 7일 접속,
https://guri.hyumc.com/guri/healthInfo/diseaseInfo.do?action=detail&searchCondition=diseaseDiv&searchCommonCd1=0001&searchCommonCd2=3600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