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갑상샘의 구조와 기능
1.1. 갑상샘의 해부학적 특성
갑상샘은 후두 바로 아래, 기관지의 위쪽, 목의 전면 중앙에 위치하며 윤상연골 바로 아래에 좌우 2개의 엽과 이를 연결하는 협부로 이루어져 있다. 갈색을 띄고 있으며 무게는 15~20g으로, 1g에 분당 5mL의 풍부한 혈액을 공급받는 복잡한 되먹임기전으로 조절된다. 갑상샘은 날개를 편 나비의 모양으로, 우엽과 좌엽이 소화관의 일부인 인두의 바깥 벽까지 닿는다. 인체에서 가장 큰 내분비선이며, 정상적인 경우에는 대체로 만져지거나 눈에 띄지 않지만 이상이 생기면 크기가 커진다. 갑상샘이 분비하는 호르몬은 티록신(Thyroxine; T4)이며 다량의 아이오딘을 함유한다. 인체에 있는 아이오딘의 3/5는 갑상샘에 함유되어 있다.
1.2. 갑상샘호르몬의 생성과 작용
갑상선이 분비하는 호르몬은 티록신(Thyroxine; T4)이며 다량의 아이오딘을 함유하고 있다. 인체 내 아이오딘의 3/5는 갑상선에 함유되어 있으며, 음식물을 통해 섭취한 아이오딘을 이용해 갑상선 호르몬을 생성한 후 체내로 분비하여 인체 내 모든 기관의 기능을 적절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갑상샘호르몬은 단백질 합성과 분해를 촉진하여 소량의 갑상샘호르몬은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지만, 다량의 갑상샘호르몬은 음성질소 균형이 될 정도로 이화작용을 촉진한다. 또한 탄수화물 대사에 관여하여 내당능을 저하시키고 혈당을 상승시키며, 장에서 포도당과 갈락토오스의 흡수를 촉진하고 포도당 신생작용과 세포의 포도당 이용을 자극하고 간에서 glycogenolysis를 촉진한다. 그리고 지방 대사에도 영향을 미쳐 지방분해, 합성, 이동을 자극하고 콜레스테롤 합성과 순환계의 콜레스테롤 제거기전을 자극한다.
비타민 대사에서는 비타민의 흡수와 반응에 관여하며, 특히 비타민 B12의 흡수와 비타민 A로의 전환에 필요하다. 또한 호르몬 작용에 있어서는 교감신경 작용을 촉진하여 심박수와 심박출량을 증가시키며, 모든 세포의 대사율을 조절하여 산소소비를 증가시키고 열생산과 열방출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갑상샘호르몬은 신체 내 모든 기관의 기능을 적절하게 유지시키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2. 갑상샘 질환
2.1. 갑상샘기능항진증
2.1.1. 원인과 병태생리
갑상샘기능항진증의 주요 원인은 그레이브스병이다. 그레이브스병은 TSH 수용체에 대한 자가항체가 갑상샘을 자극하여 파종성갑상샘종 및 갑상샘기능항진증을 초래하는 자가면역질환이다.
또한 중독성 다발성갑상샘종은 정신신경증상은 가볍지만 순환기증상이 심하여 digitalis에 작용하지 않는 심방잔떨림이나 심장기능상실을 일으키는 것이 특징이다.
이차성 갑상샘기능항진증은 뇌하수체의 종양, 갑상샘호르몬의 투여, 요오드 섭취부족, 만성갑상샘염, 난소갑상샘종, 만성갑상샘자극호르몬의 분비 등으로 발생한다.
그레이브스병의 정확한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대상자의 혈중에서 갑상샘 자극 물질이 다수 발견되며 그것들이 IgG이므로 갑상샘에 대한 항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자가항체가 TSH 수용체를 자극하여 갑상샘호르몬의 생성 및 분비를 증가시키는 것이 병태생리의 핵심이다.
2.1.2. 주요 증상
갑상샘기능항진증 환자는 신경질적이고 흥분을 잘 하는 상태이다. 또한 심계항진 및 빈맥(90~160회/분)을 보이며, 홍조와 따뜻하고 부드러운 피부를 나타낸다. 이들은 체중 감소 및 피로와 허약감을 호소하며, 심방세동이 발생할 수 있다. 그 외에도 갑상샘 비대 및 안구돌출 증상이 나타난다.
2.1.3. 진단검사
갑상샘기능항진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검사를 실시한다.
우선 TSH(갑상샘자극호르몬) 수치 감소와 T3, 유리 T4 수치 증가가 확인된다. 정상적인 음성 되먹임 기전으로 인해 갑상샘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면 뇌하수체에서 TSH 분비가 억제되므로 TSH 수치가 낮게 나타난다. 반면 T3, 유리 T4 수치는 증가한다.
또한 방사성 요오드 섭취율(RAIU) 검사를 실시하여 갑상샘의 요오드 섭취능력을 확인한다. 그레이브스병의 경우 요오드 섭취율이 증가하지만 갑상샘염이나 갑상샘종의 경우에는 감소한다.
이 외에도 갑상샘 자극 호르몬 수용체 항체(TRAb) 검사를 통해 갑상샘 자가면역항체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TRAb 양성인 경우 그레이브스병으로 진단할 수 있다.
상기한 검사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갑상샘기능항진증을 진단한다. 이와 함께 환자의 임상증상과 병력, 이학적 검사 소견 등을 함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