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여성건강간호학 아두골반불균형 사례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간호사례 선정 이유
1.2. 대상자 질환
2. 문헌고찰
2.1. 제왕절개분만
2.2. 아두골반불균형
3. 간호사례
3.1. 간호력
3.2. 신체검진
3.3. 진단적 검사 및 기타자료, 투약
3.4. 병의 경과
3.5. 간호과정 적용
4. 결론
4.1. 간호사례 대상자에게 간호과정 적용하면서 느낀 점
4.2. 여성건강간호학 실습 소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간호사례 선정 이유
CPD로 제왕절개 수술을 받게 된 양OO님의 간호사례 선정 이유는 우리나라 산모의 제왕절개 분만율이 OECD 회원국과 비교해 볼 때 비교적 높기 때문이다. 제왕절개분만은 산모에게 감염과 이로 인한 사망, 전신적 기능저하, 골반 통증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고, 신생아에게는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및 모유수유 지연의 문제를 초래한다. 그렇기 때문에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전체 분만 중 제왕절개를 통한 분만이 15%를 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지만 한국은 여전히 15%를 훌쩍 넘는 제왕절개 분만율을 가지고 있다. 제왕절개의 이유 중 반복제왕절개와 함께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아두골반불균형(CPD)은 양OO님이 실습하고 있는 병원에서 제왕절개를 하는 이유로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는 사례였기에 CPD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었다.
1.2. 대상자 질환
아두골반불균형은 태아가 지나는 산도인 엄마의 골반이 좁거나 태아가 너무 큰 경우에 발생한다. 대부분의 경우 분만 중 골반과 태아의 방향이 맞지 않아 발생한다.
선천적으로 산모의 골반이 좁거나, 영양실조, 종양, 골반골절, 척추나 하지 이상, 구루병이나 골연화증 등의 질병으로 산모의 골반이 좁아진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태아가 너무 크거나 산모의 골반이 그에 비해 좁거나 좌골가시가 돌출된 경우에도 아두골반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태아의 머리 방향과 골반의 축이 맞지 않아 아두가 이례적으로 변형되거나, 산류(caput)가 과도하게 형성되어 불균형이 일어나게 된다.
아두골반불균형은 산모와 태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비정상적인 선진부나 태향이 많이 나타나고, 하강이 잘 일어나지 않으며, 태아 외상을 입기 쉽다. 또한 제대탈출이 되기 쉽고, 질강 분만 시 연조직 손상을 입기 쉬우며, 산후출혈 및 감염의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아두골반불균형이 의심되면 시도분만을 하거나 제왕절개술을 시행한다. 시도분만은 골반의 크기가 협골반을 겨우 벗어난 상태일 때 태아의 선진부나 태향에 이상이 없다면 시도해볼 수 있다. 그러나 제한된 시간 내에 분만이 진행되지 않으면 제왕절개술을 하게 된다. 제왕절개술은 협골반으로 이전에 제왕절개를 받은 산부, 난산이나 사산의 경력이 있는 산부, 심한 협골반이나 골반 기형인 산부, 조기 양막파수 후 분만 진행이 없는 산부, 35세 이상 초산부, 전신적 질환이 동반된 산부 등에서 시행한다.
[]
2. 문헌고찰
2.1. 제왕절개분만
제왕절개분만은 산모의 복부를 절개한 후 자궁을 절개하고 태아를 분만하는 수술법이다. 제왕절개 분만율은 국내의 경우 최근 수년간 35~40% 수준이며 수술기술의 발달과 무균조작법, 항생제의 발달로 제왕절개로 인한 모아사망률이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게 되었지만 질분만에 비하여 모아에게 미치는 위험률은 2배 이상이다.
제왕절개의 적응증 요인으로는 모체와 태아 측의 요인, 모체 측의 요인, 태아 측의 요인, 태반 요인 등이 있다. 모체와 태아 측의 요인에는 아두골반 불균형, 유도분만 실패, 자궁기능부전 등으로 난산일 경우 실...
참고 자료
제 10판 여성건강간호학1, 수문사, 여성건강간호 교과연구회, 2020
제 10판 여성건강간호학2, 수문사, 여성건강간호 교과연구회, 2020
9판 개정 성인간호학1, 수문사, 윤은자 외, 2021
9판 개정 성인간호학2, 수문사, 윤은자 외, 2021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2b6&CONT_SRC=CMS&CONT_ID=1641&CONT_CLS_CD=001020001007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labtestsonline.kr/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의약품안전나라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https://nedrug.mfds.go.kr/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여성건강간호학 Ⅱ 저자-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수문사|2018.02.22.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저자 성미혜, 강정희, 권경희, 김경희, 손정태, 오혜경, 이도영, 이은주, 이현주, 최화영 |JMK|2017.03.15.
EMR
드럭인포 www.druginfo.co.kr/index.aspx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455
네이버 지식 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768&mobile&cid=51007&categoryId=5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