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하 탐구

  • 1
  • 2
  • 3
  • 4
  • 5
  • 6
  • 7
  • 8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기하 탐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기하 탐구
1.1. 쌍곡선 함수(Hyperbolic function)의 기하학적 의미
1.2. 일반적인 쌍곡선에서 P(a`cosht,`b`sinht)의 의미
1.3. hyperboloid of one sheet에서의 부피
1.4. hyperboloid of two sheets 에서의 부피
1.5. 단위원과 단위쌍곡선의 관계

2. 텐세그리티 구조의 안정성 탐구
2.1. 텐세그리티
2.2. 텐세그리티의 원리
2.3. 텐세그리티 구조에서 벡터의 합이 0됨을 증명
2.4. 텐세그리티 구조 제작 후 결론 도출
2.5. 바이오텐세그리티

3. 4차원 벡터의 내적을 이용한 민코프스키 공간 구현
3.1. 로렌츠 변환
3.2. 4차원 벡터
3.2.1. 정의
3.2.2. 내적
3.3. 민코프스키 공간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기하 탐구
1.1. 쌍곡선 함수(Hyperbolic function)의 기하학적 의미

쌍곡선 함수는 sinht, cosht, tanht, cscht, secht, cotht 총 6가지 삼각함수에 대응되는 함수이다. 예를 들어 sinht={(e^t-e^(-t)})/2, cosht={(e^t+e^(-t))/2와 같이 정의된다. 2차원 평면상에서 매개변수 t로 표현된 좌표(cost,sint)가 단위원 x^2+y^2=1을 나타내는 것처럼, 매개변수 t로 표현된 좌표(cosht,sinht)는 단위 쌍곡선 x^2-y^2=1을 나타낸다.

단위 쌍곡선 위의 점 P(cosht,sinht)이 가지는 의미는 그 점과 원점을 이은 선분과 쌍곡선이 이루는 제1사분면 위 넓이가 (1/2)t라는 것이다. 직관적으로 역도 성립한다.

일반적인 쌍곡선 (x^2/a^2)-(y^2/b^2)=1에서 P(a`cosht,b`sinht)와 원점 O를 이은 선분과 쌍곡선이 제1사분면 위에서 이루는 면적이 (1/2)abt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는 일대일대응 함수이므로 그 역도 성립한다.

{x^2/a^2}+{y^2/b^2}={z^2/c^2}+1 꼴로 나타내어지는 hyperboloid of one sheet에서 두 평면 z=0과 z=c`sinht으로 나누어지는 부분의 부피는 π abc(sinht+(1/3)`sinh^3t)이 된다. 즉, 잘랐을 때의 부피가 이렇게 나타나므로 z=c`sinht로 잘랐다는 의미가 된다.

{x^2/a^2}+{y^2/b^2}={z^2/c^2}-1 꼴로 나타내어지는 hyperboloid of two sheets에서 평면 z=c`cosht으로 나누어지는 부분의 부피는 (π abc/3)(cosh^3t+2-3cosht)이며, z=c`cosht과 원점 O를 잇는 선분을 z축 둘레로 회전시켰을 때 hyperboloid of two sheets와 이루는 부분의 부피는 (4/3)π abc`sinh(t/2)가 된다. 즉, 어떤 평면으로 잘랐을 때 hyperboloid of two sheets의 부피가 이렇게 나타나므로 그 평면의 방정식은 z=c`cosht라는 관계가 성립한다.

단위원 x^2+y^2=1과 단위쌍곡선 x^2-y^2=1, 원점을 지나고 두 곡선과 교점이 있는 직선 y=tan(θ)x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단위 쌍곡선 위의 점 Q(cosht,sinht)가 제1사분면 위에서 가지는 의미는 그 점과 원점을 이은 선분과 쌍곡선이 이루는 넓이가 (1/2)t라는 것이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성립한다.


1.2. 일반적인 쌍곡선에서 P(a`cosht,`b`sinht)의 의미

{x^2/a^2} - {y^2/b^2} = 1 꼴로 나타내어지는 일반적인 쌍곡선에서 매개변수 t로 표현된 좌표 P(a`cosht,`b`sinht)는 중요한 기하학적 의미를 가진다.

P(a`cosht,b`sinht)와 원점 O를 이은 선분이 쌍곡선과 이루는 제1사분면 위의 넓이를 A(t)라고 하면, A(t)는 {1/2} a`cosht`b`sinht - ∫_a^{a`cosht} {b/a} √{x^2-a^2} dx 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x에 대해 미분하면 {d(A(t))/dt} = {1/2} ab(cosh^2 t - sinh^2 t) = {1/2} ab 가 되어, A(t) = {1/2} ab`t + c (c: constant)의 형태로 표현된다. 따라서 P(a`cosht,b`sinht)와 원점 O를 연결한 선분과 쌍곡선이 제1사분면 위에서 이루는 면적은 {1/2} ab`t가 된다.

즉, 매개변수 t로 표현된 점 P(a`cosht,b`sinht)는 그 점과 원점을 연결한 선분이 쌍곡선과 이루는 제1사분면 위의 면적이 {1/2} ab`t라는 기하학적 의미를 가진다. 이는 일대일 대응 함수이므로 그 역도 성립한다.


1.3. hyperboloid of one sheet에서의 부피

{z=0}와 {z=c`sinht} 사이에 위치한 hyperboloid of one sheet의 부피를 V(t)라고 하자. 단면의 넓이를 S(z*)라 할 때, {x^2}/{a^2} + {y^2}/{b^2} =1+({z*}/c)^2 은 타원을 나타낸다. 따라서 S(z*)={pi ab}/(c^2)(c^2 +z*^2)이다. V(t)=∫^{c`sinht}_0 S(z*)dz*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V(t)={pi ab}/{c^2}(c^2(c`sinht)+(1/3)c^3`sinh^3t)를 얻을 수 있다. 이는 z=c`sinht으로 자를 때의 부피가 {pi abc}(s...


참고 자료

김재열, 2012, CAD를 이용한 텐세그리티 구조물의 평형응력모드 결정법, 한국공간구조학회, p81-88
양대현 외 3명, 2018, 바이오텐세그리티 구조 시스템의 형상 결정, 한국공간구조학회, p25-34
이성원, 2022, Tensegrity 구조를 적용한 조립식 DIY 가구 디자인 연구 : 테이블을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55457
공개 강의 What are FOUR VECTORS in Special Relativity? | 4-vector velocity, acceleration, momentum, etc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97056&cid=40942&categoryId=32227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