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5개
-
구조역학 구조해석2024.10.031. 정역학 1.1. 정역학의 개념 정역학은 힘을 받는 물체가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 대해 다루는 역학이다. 즉, 물체가 움직이지 않고 정지 상태에 있을 때 작용하는 힘들 사이의 관계를 해석하는 학문이다. 정역학에서는 물체의 움직임은 고려하지 않고 오직 정지 상태에서 힘의 균형 상태만을 다룬다. 정역학에서는 힘의 평형과 모멘트의 평형 조건을 이용하여 물체에 작용하는 내력과 외력을 계산한다. 힘의 평형 조건에 따르면 물체에 작용하는 힘들의 합력이 0이 되어야 한다. 이는 물체가 정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다. 모...2024.10.03
-
힘의 평형 실험2025.03.311. 서론 1.1. 힘의 평형 실험 소개 힘의 평형 실험은 고무줄, 실, 추 등을 이용하여 힘의 합성대를 만들고 각각의 힘의 크기와 각 힘과의 사이각을 측정함으로써 역학적 평형상태일 때 알짜힘이 0N임을 확인하는 실험이다. 이 실험에서는 힘의 벡터 합성과 분해, 뉴턴의 운동 법칙과 힘의 평형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실험을 진행한다. 실험에 사용되는 기구와 재료로는 고무줄, 추, 줄, 지지대, 카메라, 각도 측정 프로그램, 자, 테이프와 클립(고무줄을 고정하기 위한 용도) 등이 있다. 실험 방법으로는 고무줄과 지지대를 연결하여 힘의...2025.03.31
-
기하 탐구2025.02.061. 기하 탐구 1.1. 쌍곡선 함수(Hyperbolic function)의 기하학적 의미 쌍곡선 함수는 sinht, cosht, tanht, cscht, secht, cotht 총 6가지 삼각함수에 대응되는 함수이다. 예를 들어 sinht={(e^t-e^(-t)})/2, cosht={(e^t+e^(-t))/2와 같이 정의된다. 2차원 평면상에서 매개변수 t로 표현된 좌표(cost,sint)가 단위원 x^2+y^2=1을 나타내는 것처럼, 매개변수 t로 표현된 좌표(cosht,sinht)는 단위 쌍곡선 x^2-y^2=1을 나타낸다....2025.02.06
-
힘의 평형2025.03.251. 힘의 평형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힘의 평형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힘이 평형이 되는 조건을 구하고, 정역학적인 여러 힘의 평형 조건을 해석법에 의해 분석하는 것이다. 물체에 힘이 작용하고 있고, 물체가 정지를 계속하고 있는 상태를 힘의 평형상태라고 한다. 이 경우 작용하고 있는 힘의 합력은 0이 된다. 여러 힘을 받는 물체가 평형상태에 있으려면 정역학적(정적, 선형적) 평형상태, 정지 또는 등속직선 운동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모든 외력의 합이 0이 되어야 하고, 동역학적(동적, 회전적) 평형상태, 즉 정지 ...2025.03.25
-
기하 탐구 보고서2024.12.211. 텐세그리티 구조의 이해 1.1. 텐세그리티의 정의 및 특성 텐세그리티는 "긴장, 잡아당기는 힘"을 뜻하는 "Tension"과 "안정"을 뜻하는 "Structure Integrity"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합성어로, 긴장상태의 안정 구조를 뜻하는 기법이다. 물리학적으로 텐세그리티는 장력을 받는 연속적인 망 안에 압축을 받는 부재가 불연속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구조물이 흡사 공중에 떠있는 것처럼 만든 것을 의미한다. 속이 꽉 찬 대부분의 구조에 비해 공간을 이루는 부재의 수가 적기 때문에 가볍지만 굉장히 튼튼하고 안정된 구조적 특성...2024.12.21
-
국민대 물리실험22024.09.131. 힘의 평형 1.1. 실험 목적 및 원리 힘의 평형 실험의 목적 및 원리는 다음과 같다. 힘의 평형 실험의 목적은 합성대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힘이 평형을 이루는 조건을 연구하고, 도식법과 해석법으로 이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힘의 평형이란 한 물체에 작용하는 여러 힘의 벡터 합이 0이 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때 물체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거나 등속도 운동을 한다. 실험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두 개 이상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 이들 힘의 벡터 합, 즉 합력을 구할 수 있다. 도식법에서는 평행사변형 법칙을 이용하여 벡...2024.09.13
-
등속직선운동2025.03.241. 등속직선운동 1.1. 힘의 평형 힘의 평형이란 어떤 물체에 작용하는 힘의 합력이 0인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운동 상태가 없기 때문에 정지해 있거나 직선상에서 등속 운동을 하는 상태이다. 힘의 합력이 0이 되려면, 모든 외력의 합이 0이거나 토크의 합이 0이 되어야 한다. 외력의 합이 0이 되는 경우를 선형(병진) 평형, 토크의 합이 0이 되는 경우를 회전 평형이라 한다. 선형 평형에서는 정지 또는 등속직선운동을 하고, 회전 평형에서는 정지 또는 등속회전운동을 한다. 줄다리기나 자동차의 등속직선운동은 선형 평형의 예이며, 관...2025.03.24
-
일반물리학실험2025.03.101. 실험 목적 및 이론 1.1. 힘의 평형과 벡터 합성 물체에 작용하는 외력의 합이 0이 되거나 회전력의 합이 0일 때 물체는 평형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물체의 평형을 논의할 때는 병진과 회전에 관한 평형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병진 평형은 물체에 작용하는 모든 힘의 합이 0이 되어야 하며, 회전 평형은 임의의 점에 대한 회전력의 합이 0이 되어야 한다. 이 실험에서는 한 물체에 작용하는 세 힘의 평형을 생각하므로 병진 평형 조건만 만족하면 된다. 힘은 벡터량으로 크기와 방향을 함께 가지는 물리량이므로, 힘의 평형 조건은...2025.03.10
-
힘의합성2025.03.291. 서론 1.1. 실험의 목적 실험의 목적은 힘의 평형을 이해하고, 한 점에 작용하는 여러 힘이 평형을 이루게 하여 힘의 합성과 분해를 이해하는 것이다. 힘의 평형이란 한 물체에 작용하는 알짜 힘이 0인 상태로, 물체의 운동 상태가 변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정적 평형 상태와 동적 평형 상태가 있으며, 두 힘의 평형 조건과 세 힘의 평형 조건이 존재한다. 또한 평행사변형법을 활용하여 두 힘의 합성을 나타낼 수 있고, 합력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힘의 평형 실험 장치를 사용하여 힘의 합성 실험을 진행하고, 작도법...2025.03.29
-
토합과학2024.09.041. 강체의 공간운동 1.1. 실험 목적 강체의 공간운동 실험의 목적은 강체가 병진 운동과 회전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으므로 그 운동 에너지가 병진 및 회전 운동에너지의 합이 된다는 것을 알아보는 것이다. 즉, 이 실험에서는 공간에서 병진과 회전 운동을 동시에 하는 강체의 역학적 에너지 보존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강체의 운동은 질량 중심의 운동만으로는 충분히 설명되지 않는다. 질량 중심의 위치가 변하지 않더라도 강체가 회전 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강체의 운동에너지는 병진 운동에너지와 회전 운동에너지의 합이...202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