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NICU 아동간호 RDS 간호진단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NICU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사례 연구
2.1. 연구 목적
2.2. 문헌고찰
2.2.1. 발생 원인 및 병태생리
2.2.2. 임상증상
2.2.3. 진단 및 치료
2.3. 대상자 선정 및 자료수집
2.4. 간호과정 적용
2.4.1. 미성숙한 폐와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2.4.2. 미성숙한 간기능과 관련된 신생아 황달
2.4.3. 호흡기계 치료, 침습적 치료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2.5. 고찰 및 결론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은 미숙아에게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미숙아는 전신적으로 각 장기의 발달이 미숙하여 폐 발달도 미숙한 상태로 태어나기 때문이다. 특히 폐에서 폐 표면활성제라는 물질이 부족하여 폐 확장이 어려워지면서 호흡곤란이 발생하게 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영아사망의 주요 원인은 신생아 호흡곤란으로 전체 영아사망의 17.1%를 차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예방 및 치료, 세분화된 간호 제공이 필요하다. 하지만 신생아 집중치료실 운영의 어려움으로 인해 2005년 대비 2010년에 신생아 집중치료실을 운영하는 의료기관이 35% 감소하고 병상수도 27% 감소하였다. 따라서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환아의 생명유지 및 정상적인 발달을 위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정하고 적절한 간호 수행을 할 수 있도록 본 사례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2. NICU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사례 연구
2.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NICU에 입원한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환아의 사례를 통해 발생 원인 및 병태생리, 임상증상, 진단 및 치료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간호과정 적용을 통해 미성숙한 폐와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미성숙한 간기능과 관련된 신생아 황달, 호흡기계 치료와 침습적 처치로 인한 감염위험성에 대한 간호중재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NICU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미숙아에게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폐의 미성숙과 폐 표면활성제 부족이 주된 발생 원인이다. 미숙아는 전반적인 장기 발달이 미숙한 상태로 태어나기 때문에 폐 발달도 미성숙하여 RDS가 발생한다. 폐 표면활성제는 폐포의 표면장력을 줄여 폐 확장을 도와주는데, 미숙아는 이를 충분히 생산하지 못하여 폐포가 쉽게 허탈되고 호흡곤란이 발생한다. 이러한 폐 미성숙과 함께 흉벽의 연골성 구조, 호흡근육의 부족 등이 RDS 발생에 기여한다.
RDS 환아는 빈호흡, 청색증, 흉벽 함몰 등의 호흡기 증상을 보이며, 저산소혈증과 고탄산혈증이 특징적이다. 진단을 위해 동맥혈가스검사, 흉부 방사선 검사, 표면활성제 검사 등이 활용된다. 치료는 주로 지지적 중재로,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치료, 계면활성제 투여 등이 포함된다. 특히 계면활성제 투여가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 환아의 사례연구를 통해 RDS의 발생 기전과 증상, 진단 및 치료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간호과정 적용을 통해 미성숙한 폐 기능, 간기능, 감염 위험성에 대한 체계적인 간호중재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NICU 환경에서 신생아 RDS 환아에게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2. 문헌고찰
2.2.1. 발생 원인 및 병태생리
미숙아는 폐가 아직 발달하지 않은 상태로 태어났기 때문에 폐포의 크기가 작다. 폐포를 공기로 차게 하고 찌그러지지 않도록 하는 물질인 폐 표면활성제가 아직 충분히 만들어지지 않아 풍선인 폐포가 자꾸 찌그러지고 호흡할 공간이 없어진다. 이로 인해 호흡 곤란이 발생하여 호흡곤란 증후군이 발생한다.
미숙아의 흉벽, 폐실질조직, 모세혈관내피의 해부학적 미성숙도 RDS를 초래한다. 미성숙한 흉벽은 호기말에 폐의 허탈을 증가시키며, 폐실질조직과 모세혈관내피의 미성숙은 가스교환 면적을 감소시킨다.
폐의 표면활성제는 제2형 폐포 세포에서 분비되며, 이는 재태기간 20주부터 분비되기 시작하지만 아직 충분하지 않고 28~32주에 양수에 나타나며, 35주에 성숙치에 ...
참고 자료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31 서울아산병원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CCCCC0267 약학정보원
김영혜 외(2021). 최신 아동건강간호학I. 수문사.
김영혜 외(2021). 최신 아동건강간호학II. 수문사.
박충선 외(2018). 아동건강간호학I. Pacific Books.
박충선 외(2018). 아동건강간호학II. Pacific Books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급성호흡곤란증후군 전국 실태조사 소위원회.(1997).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전국 실태조사 보고.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44(1),25-43.
고신옥,오흥근,and 한동권.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에 대한 임상적 고찰."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19.2 (1986): 174-184.
이준호. "조산의 원인에 따른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의 발생 양상."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서울
홍경자 외(2016) 아동건강간호학1, 수문사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31
약학정보원, www.health.kr
아동간호학 상, 박호란외 공저, 현문사, 개정증보판
아동간호학 하, 박호란외 공저, 현문사, 개정증보판
최신 기본간호학1, 수문사
최신 기본간호학2, 수문사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amc.seoul.kr)
신생아 황달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amc.seoul.kr)
약학정보원 (heal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