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만성편도염은 반복적인 상기도 감염에 의해 구개편도와 인두편도의 크기가 증가하여 기계적 폐쇄와 주변 장기에 악영향을 끼치는 질환이다. 편도는 목(인두) 주변에 있는 임파 조직으로, 호흡기와 소화관에 침입하는 병원체를 걸러내고 항체를 생산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편도가 반복적으로 감염되면 만성적으로 비대해져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만성편도염의 정의와 병태생리, 원인, 임상증상, 진단검사, 치료적 관리, 간호중재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만성편도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보다 효과적인 예방과 관리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2. 만성편도염의 정의 및 병태생리
편도는 구인두와 비인두에 있는 임파선(림프절)상피조직으로, 병원체 침입 시 병원체를 여과하여 호흡기와 소화관을 보호하고 항체 형성을 한다. 반복적인 상기도 감염이나 다른 전신 질환과 관련된 증상 또는 특별한 이유 없이 편도가 비정상적으로 비대해져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를 만성 편도염이라 한다.
만성 편도염은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반복적으로 감염되어 발생한다. 급성 염증 후에도 계속되는 상태로, 병원체로는 B군 용혈성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폐렴구균, 혐기성 균주 등이 있다. 또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3. 만성편도염의 원인
만성편도염의 원인은 주로 세균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것이다.
바이러스 감염 원인으로는 아데노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홍역바이러스 등이 있다. 세균 감염 원인으로는 주로 A군 베타용혈성연쇄구균, 다른 종류의 사슬알균, 인플루엔자균, 포도알균, 그람음성균 등이 있다.
이 외에도 과로, 과음, 과식, 기후변동(특히 환절기나 겨울철)과 같은 요인들이 편도염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비강 및 부비동 수술 후에도 편도염이 발생할 수 있다.
만성 편도염은 반복적인 상기도 감염에 의해 편도의 크기가 계속 증가하면서 발생한다. 이로 인해 기계적 폐색과 더불어 주변 장기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4. 만성편도염의 임상증상
만성편도염의 임상증상은 다음과 같다.
만성편도염 환자들은 인후통, 인후건조, 미각둔화, 전신권태, 피로 등의 증상을 경험한다. 특징적으로 편도가 비대되고 편도 음와부위에 화농성 물질이 존재한다. 편도와 인두 근육의 만성 염증으로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