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서경천도운동에서 개경파와 서경파의 주장을 3가지 이상 각각 기술하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개경파와 서경파의 주장
1.1. 개경파의 주장
1.2. 서경파의 주장
2. 개경파와 서경파의 대립
2.1. 개경파와 서경파의 대립 배경
2.2. 개경파와 서경파의 갈등 양상
3. 서경천도운동의 결과
3.1. 서경천도운동의 실패 요인
3.2. 서경천도운동의 역사적 의미
4. 결론
4.1. 개경파와 서경파의 주장 평가
4.2. 역사적 교훈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개경파와 서경파의 주장
1.1. 개경파의 주장
개경파는 고려시대 기성 문벌 귀족 세력으로서 유교 사상을 기반으로 하는 신라 계승 의식의 성격을 띠었다. 건국 초기에는 진취적이고 자주적인 면모를 보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보수적인 문벌 귀족 세력으로 자리 잡았다. 이들은 주요 관직을 차지하여 권력을 바탕으로 집권하던 특권층이었으며, 고려시대 귀족사회를 이끄는 세력이었다. 또한 유교적 가치관을 지향하며 권력을 세습하기 위해 혼인관계를 폐쇄적으로 구축하였다. 이에 따라 외척의 권력이 비대해졌으며, 대표적인 인물인 이자겸은 왕좌까지 탈취하려는 야망을 품었다. 이처럼 개경파는 자신들의 정치·경제적 기득권을 수호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서경으로의 천도를 반대하였다. 특히 개경이 이미 중심지로서의 정치·경제적 기반을 가지고 있어 자신들의 세력 유지에 유리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개경파는 보수적인 입장에서 기존 체제를 유지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서경 천도를 저지하고자 하였다.
1.2. 서경파의 주장
서경파는 지방 출신 신진 관료 세력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그들의 사상적 기반은 풍수지리설을 기반으로 하는 고구려 계승 의식이다. 고려 중기 문벌 귀족 사회의 모순이 드러나면서 왕실의 외척 가문들이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게 되자, 서경파는 이들의 세력을 약화시키고 자신들의 입지를 강화하고자 서경 천도를 주장하였다.
서경파는 개경이 기존 문벌 귀족 세력의 근거지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에, 수도를 서경으로 옮기면 이들의 권세를 억누를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 또한 서경이 고구려의 옛 수도였다는 점을 내세워 고구려의 정통성을 이어받을 수 있다는 명분을 내세웠다.
더불어 서경으로 천도하면 강대국이었던 금나라에 대항할 수 있다는 전략적 고려도 있었다. 서경파의 대표적 인물인 묘청은 금국 정벌론을 주장하며, 여진족이 세운 금나라는 발해 시대에 우리나라의 지배를 받았던 말갈족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금나라에 굴종할 필요가 없다는 민족적 자긍심을 드러냈다.
이처럼 서경파는 기존 문벌 귴족 세력의 지배를 약화시키고,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금나라에 대한 도전으로 고려의 자주성을 회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경 천도와 금국 정벌을 주장하였던 것이다.
2. 개경파와 서경파의 대립
2.1. 개경파와 서경파의 대립 배경
개경파...
참고 자료
신채호, 『조선사연구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묘청 일파 서경천도론의 허와 실], 민현구, 39쪽
『고려사』 열전 권96 윤언이
[중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묘청 관련 서술에 대한 비판적 분석], 이종서, 2014
신채호, 조선역사상일천년래제일대사건 , 한국사연구초, 을유문화사 재간행, 1987
최지은(2009). 고려사 기록과 교과서 서술 비교분석 – 묘청의 난과 삼별초의 난을 중심으로 –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종덕(2019). 고려시대 풍수지리사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매일경제(2017). 사대주의자인가, 역사의 기록자인가 ‘김부식’ ‘오만한 천재’가 ‘성실한 둔재’보다 못하다. 03월 30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
네이버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ory.go.kr/fr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