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낙상의 정의
낙상의 사전적 의미는 떨어지거나 넘어져서 다침, 또는 그런 상태를 말한다. WHO의 정의에 따르면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발바닥 이외의 신체 일부가 바닥 면에 접지한 경우를 말한다. 또한, 낙상은 주요한 내인성 사고나 위험한 사고의 결과가 아닌, 안정 상태에서 바닥이나 낮은 곳으로 비의도적으로 발생되는 사고로 서 있거나 앉아있거나, 누워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1.2. 낙상의 유형
낙상의 유형은 크게 예측 가능한 생리적 낙상과 예측 불가능한 생리적 낙상, 우발적인 낙상으로 구분된다.
예측 가능한 생리적 낙상은 낙상 고위험 환자에게서 주로 발생하는데, 의식 저하나 보행 장애와 같은 신경학적 장애로 인해 발생한다. 예를 들어 파킨슨병으로 인해 발을 끌며 걷거나 가위 모양으로 걷는 경우, 치매로 인해 중력의 중심이 이동하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예측 불가능한 생리적 낙상은 처음 발생한 낙상을 예측하기 어려웠던 경우로, 의식 상실 없이 갑작스러운 근육 장도 상실(drop attack), 어지럼증, 약물 반응, 기절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우발적인 낙상은 환경적 요인이나 사고에 의해 발생하는 낙상으로, 의식은 정상이다. 이러한 유형의 낙상은 주로 균형 유지가 어려운 상황, 미끄러운 바닥, 신체와 맞지 않는 높이의 시설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1.3. 낙상의 위험요인
낙상의 위험요인은 그 관점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되지만, 실제 낙상은 이 모든 요인들이 복잡하게 연결되어 발생되어진다.
역학적 요인으로는 낙상 과거력, 고령, 정신기능 장애, 근골격계 기능 장애, 실신 또는 기절, 투여 약물 증가, 기능적 의존성, 감각상실(청력, 시력), 낙상에 대한 두려움 등이 있다.
낙상과 관련된 특정 상황으로는 전신 쇠약, 하지 운동성 저하, 수면 부족, 실금, 혼돈, 우울, 약물 남용 등이 있다.
낙상과 관련된 질환으로는 관절염, 심장질환, 신경계 장애, 심장기능부전, 우울, 보행 장애, 족부 장애, 체위성 저혈압, 급성 질환 상태, 당뇨, 고혈당, 저혈당, 감각 장애, 호흡기계 질환 등이 있다.
공학적 요인으로는 휠체어 이동 시, 악력 저하, 하지 기능 장애, 보행 및 균형 장애, 몸의 흔들림 증가, 근력 약화, 보행 보조도구 사용, 잘 맞지 않는 신발 등이 있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신체 억제대 사용, 이동하기 불편한 높이의 시설이나 가구, 미끄러운 바닥 표면, 손잡이의 높이와 위치 또는 사용하기 불편한 손잡이, 닳아 해진 카펫, 바닥에 노출된 코드와 전선, 부서지거나 금이 가서 평평하지 않은 복도, 불충분한 조명, 침상난간(bed rail)의 사용 등이 있다.
2. 본론
2.1. 낙상 사례
다음은 사용자의 주제인 '낙상간호컨퍼런스'에 대한 보고서입니다.
2017년 8월 4일 jaundice를 주호소로 입원하여 Biliary CT상 hilar cholangiocarcinoma 첫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던 중 morse fall scale 45점으로 저위험 상태였으나, 고령 및 전반적인 쇠약함이 심해 보이는 상황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