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임신오조증의 문헌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임신 오조증 (Hyperemesis Gravidarum)
1.1. 정의
1.2. 원인
1.2.1. 사회 심리적 요인
1.2.2. 신체적 요인
1.3. 증상 및 징후
1.4. 진단
1.5. 치료 및 간호
1.5.1. 정맥 요법
1.5.2. 약물 치료
1.5.3. 영양 공급
1.5.4. 간호 중재
1.6. 예후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임신 오조증 (Hyperemesis Gravidarum)
1.1. 정의
임신오조증(hyperemesis gravidarum)은 오심, 구토가 심해져서 탈수, 전해질 불균형, 산성증, 체중감소, 케톤뇨 및 간과 신장의 손상이 초래되는 상태를 말한다. 대부분의 임부에게서 임신 기간 동안 오심과 구토가 나타나지만, 이러한 증상이 지속되고 악화되어 임부와 태아에게 위험을 초래할 때 임신오조증이라고 정의된다. 임신오조증은 약 모든 생존아 분만의 0.5%에서 발생하며, 보통 임신 1기에 시작되지만 일부는 임신 내내 지속되기도 한다. 이는 미국에서 임신 중 두 번째로 흔한 입원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1.2. 원인
1.2.1. 사회 심리적 요인
임신 오조증의 사회 심리적 요인은 임신에 대한 양가감정과 신체 변화, 생활양식의 변화에 대한 내적 갈등이라고 할 수 있다. 임신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과 부정적인 반응이 공존하면서 발생하는 심리적 갈등이 오심과 구토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임신에 대한 죄책감, 불안, 우울 등의 부정적인 감정이 심하거나 해결되지 않을 때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임신으로 인한 신체적 변화와 생활양식의 변화에 대한 스트레스도 오심과 구토의 요인이 된다. 임신 중 발생하는 이러한 사회심리적 요인들은 입원 기간 동안 증상이 호전되었다가 퇴원 후 재발되는 현상과도 관련이 있다. 따라서 임신 오조증 관리 시에는 단순히 증상 관리뿐만 아니라 임부의 심리적 상태와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사정과 중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1.2.2. 신체적 요인
신체적 요인은 에스트로겐과 융모 성선 자극 호르몬(hCG)의 상승, 일시적인 갑상선 기능 항진, 위 운동 저하, 위의 평활근 이완 등과 관련이 있다.
에스트로겐과 융모 성선 자극 호르몬(hCG)의 상승이 임신오조증 발생의 주요한 생리적...
참고 자료
여성건강간호학 I, 박영주 외 공저, 현문사, 2020
여성건강간호학Ⅱ, 박영주 외 공저, 현문사, 2020
제 4판 여성건강간호학2 / 박영주, 심미정, 김혜자, 전나미, 김혜원, 이은숙 외 공저 /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