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자궁내성장지연 문헌고찰 및 사례연구
1.1. 자궁 내 성장지연(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IUGR)의 정의
자궁 내 성장지연(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IUGR)은 전체 임신의 3-10%, 사산아의 20% 정도로,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태아가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한 경우이다. IUGR은 해당 제태기간에서 출생체중이 10 백분위수(percentile) 미만일 경우를 말하며, 3 백분위수 미만이면 심한 발육지연, 10 백분위수 미만인 경우를 중증도 발육지연으로 나눈다.
1.2. 자궁내성장지연의 원인
자궁내성장지연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태아 측 요인으로는 유전적 소인, 염색체 이상, 선천성 감염(풍진, 거대세포바이러스), 기형, 다태 임신, 췌장 무형성증 및 인슐린 결핍 등이 있다.
태반 측 요인으로는 태반의 무게나 세포수 감소, 표면적 감소, 태반염, 태반경색증, 태반 분리, 쌍생아 수혈증후군 등이 있다.
산모 측 요인으로는 유전, 고령, 인종, 불임, 이전 자연유산, 고혈압, 만성 임신중독증, 심질환, 신질환, 저산소증, 영양실조, 약물(수면제, 음주, 흡연, 대사길항제) 등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자궁내에서 태아가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하게 된다.
1.3. 자궁내성장지연의 분류
자궁내성장지연은 대칭형과 비대칭형으로 분류된다. 대칭형 자궁내성장지연은 ponderal index와 관계없이 재태주령에 따른 체중과 신장이 모두 10%미만인 경우를 말한다. 이는 주로 태아 측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선천성 이상이나 태내 감염증이 그 원인이 된다. 비대칭형 자궁내성장지연은 ponderal indexrk 10%미만인 경우로, 체중만 적게 나가는 것을 말한다. 이는 환경적 원인, 즉 태반 기능 저하나 임신고혈압 등이 원인이 된다. 대칭형은 임신 초기에 시작되며 체질적 원인이 크다. 반면 비대칭형은 임신 후기에 시작되며 환경적 요인에 의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대칭형은 성장잠재능 감소, 비대칭형은 성장정지의 양상을 보인다. 출생 시 신생아의 신체적 소견은 제태기간 산정에 유용하다. 즉 양두정골지름의 낮은 계측치는 대칭형을, 후기에도 변함없는 양두정골 지름은 비대칭형을 시사한다.
1.4. 자궁내성장지연의 진단
자궁내성장지연은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우선, 초음파 검사를 통해 태아의 두위, 복위, 대퇴길이 등을 측정하여 성장이 지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초음파 검사 시 35주 이전에 성장지연이 확인되는 경우가 많으나, 36주 이후에는 진단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또한 신체비례지수인 두위 대 복위 비율을 살펴봄으로써 대칭형 vs 비대칭형 자궁내성장지연을 구분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자궁저높이 측정, 체중증가 양상 관찰, 태아심박동 감시 등을 통해 자궁내성장지연을 진단할 수 있다. 자궁저높이가 34주 이상의 임부에서 정상보다 적다면 자궁내성장지연을 의심할 수 있으며, 체중증가가 정상보다 적은 경우에도 자궁내성장지연을 시사한다. 태아심박동 감시에서 비정상적인 양상이 관찰되는 것 또한 자궁내성장지연의 징거이다.
이처럼 다각도의 검사와 평가를 통해 자궁내성장지연을 진단할 수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주기적인 초음파 검사와 함께 다른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1.5. 자궁내성장지연아의 문제
자궁내성장지연(IUGR) 아기는 태아 저산소증, 저체온증, 대사질환 등 다양한 문제를 겪을 수 있다.
저산소증으로 인해 주산기 가사, 태변흡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