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목적
폐렴은 호흡기의 가장 말단 부위인 폐포와 폐 실질 조직의 염증으로 생기는 중요한 호흡기 질환이다. 이 사례보고서를 통해 폐렴 환자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간호문제들을 간호과정을 통해 해결함으로써 대상자의 치료를 돕고 상태를 호전시키고자 한다.
폐는 우리 몸에서 필요한 산소를 받아들이고 탄산가스를 내보내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폐렴은 60세 이상의 노인들에게서 많이 발생하는데 이번에 실습하는 호흡기병동 또한 많은 환자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번 실습을 하는 동안 다양한 폐렴환자를 접해 이 질환에 대해 관심이 생겼고 폐렴에 대해 알고 싶어 이 사례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1.2. 문헌고찰
폐렴(Pneumonia)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로 인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폐의 염증이다. 폐렴은 정상 방어기전의 손상이나 유발 위험 요인에 노출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정상적인 방어기전인 공기 여과, 흡입공기의 습화와 가온, 후두개 개폐, 기침반사 점액섬모 청결작용, IgA의 분비 및 폐포 대식세포의 방어작용이 손상되면 폐렴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의식 상태 저하, 기관내 삽관, 공기오염, 흡연, 상기도염, 노화, 영양장애 등의 유발 위험요인에 노출되면 폐렴이 발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폐렴균이 흡인, 혈액을 통한 경로로 침입하면 폐렴이 발생할 수 있다.
폐렴은 유행성폐렴(지역사회 획득 폐렴), 병원감염성 폐렴, 진균성폐렴, 흡인성 폐렴, 기회감염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다. 폐렴의 주요 증상으로는 기침, 가래, 호흡곤란, 흉통 등의 폐 증상과 발열, 두통, 근육통, 관절통 등의 전신 증상이 나타난다. 폐의 염증이 광범위하게 발생하여 폐의 산소 교환에 심각한 장애가 발생하면 호흡부전이 발생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치료는 광범위 항생제를 초기에 사용하고, 객담 및 혈액 배양과 항생제 적합성 검사결과에 따라 항생제를 변경하여 투여한다. 치료 기간은 세균의 특성에 따라 최소 5일에서 최고 21일까지 다양하다. 항생제 투여 시 부작용 증상을 관찰하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다른 합병증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항생제 요법은 세균 감염의 징후가 없어지고 임상 징후가 개선될 때까지 지속된다.
2.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2017년 2월 27일부터 2017년 2월 28일까지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EMR을 통하여 대상자의 진단 및 대상자에 관한 간호정보를 파악하였으며, 대상자와의 면담을 통해 주관적인 자료를 제공받아 case study를 하였다.
대상자 정보
성명: 임○○
나이: 68세
성별: 남성
진단명: Pneumonia
일반 정보
- 입원일: 2017.02.17
- 입원경로: 외래
- 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