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신장내과실습관찰일지
1.1. 일반적인 신장 내과 병동 실습 내용
신장 내과 병동 실습에서는 환자의 건강 관리와 회복을 위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다. 먼저 환자의 신체 상태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변화를 파악한다. 이를 위해 활력징후 측정, 배뇨량 확인, 검사 결과 확인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환자의 개별적인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맞춤형 간호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경구 섭취가 어려운 환자의 경우 위관영양이나 정맥영양 공급을 통해 영양 공급을 지원하며, 호흡 곤란이 있는 환자에게는 산소 요법을 적용한다.
감염 예방과 처치도 중요한 업무 중 하나이다. 환자의 상처 관리, 도뇨관 관리, 격리지침 준수 등을 통해 감염 위험을 최소화한다. 특히 투석 환자의 경우 혈관 통로 관리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환자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노력한다. 환자의 증상과 불편 사항을 경청하고, 교육과 상담을 제공하여 환자의 이해와 협조를 이끌어낸다. 이를 통해 환자 중심의 전인적인 간호를 실천한다.
이처럼 신장 내과 병동 실습에서는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관리와 회복을 위한 다양한 간호 활동이 이루어진다. 체계적인 모니터링, 개별화된 간호중재, 감염 관리, 환자 교육 및 상담 등의 역량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환자의 만족도와 치료 효과를 높이고자 노력한다.
1.2. 환자별 관찰 내용
1.2.1. 김** 환자 - Retroperitoneal mass excision 수술
수술 후 semifowler position을 취하였다. 환자의 깊은 호흡을 격려하면서 "코로 천천히 들이 마시고 입으로 깊게 내뱉으세요!"라고 말하였다. 환자가 스트로우 먹기(s.o.w)만 가능한 상태였기에 입안이 마르다고 하여 스프레이를 제공하였다. Anti cefotiam을 투여하였고, Half saline 1L+Bivon 3A을 40cc/hr의 속도로 주입하도록 조절하였다. 수액 백의 유효기간을 확인한 후 수액세트를 연결하고 이름, 시간, 날짜를 적었다. 이와 같이 수술 후 환자 관리를 위해 깊은 호흡 격려, 수액 주입량 조절, 수액세트 관리 등을 수행하였다.
1.2.2. 장** 환자 - Pneumonia, CRF
장** 환자는 폐렴과 만성신부전 진단을 받고 입원하였다. 스멕타 처방이 중단되었으나 환자가 설사한다고 하여 의사에게 확인 후 다시 처방을 받았다. 환자의 혈압 및 혈당 수치가 높아 항고혈압제와 혈당강하제를 투여하였다. 또한 소변량이 감소하고 설사 증상이 있어 smecta 2P를 투약하였다. C.difficle toxin(stool,loose) 검사를 시행하였고, half saline과 bivon을 80cc/hr로 주입하는 중이다. 7시 활력징후가 79-20-38.2-140-61로 확인되어 ice bag을 적용하였고, 8시에는 체온이 37.2도로 측정되었다. 환자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찰하여 적절한 처치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2.3. 김** 환자 - Pneumonia
<보고서>
김** 환자는 Pneumonia 진단을 받았다. 의사는 Klenzo를 이용하여 bladder irrigation을 시행하였다. 또한 Kim** 환자의 왼팔은 수액 주입을 위해 사용하지 않고 오른팔에서만 혈액 검사를 실시하였다.
의료진은 Kim** 환자의 Pneumonia 치료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였다. 먼저, 방광 세척을 위해 Klenzo를 사용하였다. 이는 환자의 방광 상태를 개선하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또한 김** 환자의 경우 수액 주입을 위해 오른팔을 사용하고 왼팔은 보존하였는데, 이는 환자의 혈관 상태를 고려하여 추후 혈액 검사나 다른 처치를 위해 왼팔을 보존하기 위함이었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김** 환자의 Pneumonia 치료를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환자의 상태를 개선하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방광 세척과 수액 주입, 검사 부위 선택 등 다양한 조치를 통해 환자의 회복을 위해 노력하였다고 볼 수 있다.
1.2.4. 홍** 환자 - Uremic encephalopathy
홍** 환자는 Uremic encephalopathy 진단을 받았다. Uremic encephalopathy는 만성 신부전으로 인한 요독증으로 발생하는 급성 신경계 증상이다. 이 환자의 경우 Seroquel을 투여했으나 효과가 미미하여 Haloperidol로 변경하였다. 요독증으로 인한 피부 소양감을 호소하였다.
Uremic encephalopathy는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발생하는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이다. 만성 신부전 환자의 혈액 내 요소질소 및 크레아티닌이 증가하면서 신경계에 독성 작용을 나타내어 의식 장애, 행동 변화, 경련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특히 피부 소양감은 요독증으로 인한 대표적인 증상이다.
이 환자의 경우 Seroquel을 투여했지만 효과가 없어 Haloperidol로 변경하였다. Haloperidol은 정신 행동 증상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약물이다. 또한 요독증으로 인한 피부 소양감을 완화하기 위해 적극적인 증상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Uremic encephalopathy는 만성 신부전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신기능 보호와 함께 신속한 투석 등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이 환자의 경우에도 정확한 증상 관리와 함께 신기능 유지를 위한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2.5. 황** 환자 - Nephrotic syndrome
황** 환자는 Nephrotic syndrome(신증후군)을 진단받았다. 신증후군은 단백뇨, 저알부민혈증, 부종, 고지혈증 등의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신장 질환이다. 황** 환자의 경우 유치도뇨관 14Fr이 삽입되어 있었고, 소변 배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lasix 3T tid(하루 3회 3정씩)을 투약하였다. 투약 후 1시 I/O check 결과 500/700으로 관찰되었다. 요독 증상으로 인한 피부 소양감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증후군 환자는 단백질 소실로 인한 저알부민혈증이 발생하여 부종이 나타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뇨제 투여, 단백질 섭취 증가, 스테로이드 등의 치료가 필요하다. 황** 환자의 경우 lasix 처방을 통해 소변 배출을 촉진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요독 증상으로 인한 피부 소양감을 호소하는 것으로 보아 신장 기능 저하로 인한 합병증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신증후군 치료의 핵심은 단백뇨 감소와 부종 관리이다. 단백뇨를 줄이기 위해 스테로이드나 면역억제제 투여가 필요하며, 부종 관리를 위해 이뇨제 사용과 함께 저염식이, 활동량 증가 등의 방법이 활용된다. 황** 환자의 경우 이뇨제 투여, 소변 배출량 관찰 등을 통해 부종 관리를 시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증후군 환자의 경우 지속적인 단백뇨로 인해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다. 따라서 정기적인 추적 관찰과 함께 단백뇨 감소를 위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황** 환자의 경우에도 신증후군의 진행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부종 및 요독 증상에 대한 관리를 지속적으로 시행해야 할 것이다.
1.2.6. 장** 환자 - Pneumonia, CRF
장** 환자는 폐렴과 만성 신부전 진단을 받았다. 스멕타 처방이 중단되었으나 환자가 설사한다고 하여 의사의 확인 후 다시 처방을 받았다. 환자는 호흡이 힘들어하고 복부가 팽만되어 밥을 잘 먹지 못했다. 혈압이 높아지고 소변량이 감소한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산소를 6L로 공급하고 수액 속도를 줄였으며, 투석을 위한 영구적 도관 삽입 수술이 예정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장** 환자는 폐렴과 만성 신부전으로 인해 호흡곤란과 소화기 증상이 나타났고, 투석 치료가 필요한 상태였다.
1.2.7. 이** 환자 - CKD,unspecified
이** 환자는 만성 신장 질환(CKD, Chronic Kidney Disease)을 진단받아 입원하였다. 이 질환은 신장의 기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는 만성 질환으로, 혈액 내 BUN(Blood Urea Nitrogen)과 Cr(Creatinine) 수치가 상승하여 발견되었다.
BUN과 Cr 수치 상승으로 인해 응급 혈액 투석(HD, Hemodialysis)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의사는 환자에게 복막 투석(Peritoneal Dialysis)과 혈액 투석의 장단점을 설명하고 환자의 의견을 들었다. 이후 Right jugular vein 상태를 확인하고 영구 도뇨관(Perm cath)을 통해 혈액 투석을 시행하였다.
CKD는 신장 기능이 지속적으로 악화되어 결국 투석이나 신장 이식이 필요한 말기 신부전 단계에 이르게 되는 질환이다. 이** 환자의 경우 응급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혈액 투석을 받게 되었지만, 향후 투석이나 이식 등의 신장 대체 요법을 지속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며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1.2.8. 장** 환자 - Peumonia
장** 환자는 폐렴 진단을 받았다. 병동 실습 중에는 장** 환자의 증상과 경과를 자세히 관찰할 수 있었다. 장** 환자는 숨쉬기가 답답하고 힘들어했으며 복부가 팽만된 상태여서 음식물 섭취도 어려워했다.
해당 환자의 면역혈청검사 결과, CRP 수치가 332.3mg/L로 매우 높게 나왔다. 이는 감염이나 염증 반응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혈청 칼륨 수치도 3.3으로 낮게 나타나 카로스 서스펜션을 투여했다. 이외에도 고혈압 치료를 위해 올데카와 딜라트레드를 처방받고 있었다.
환자의 증상을 완화하고자 산소를 6L로 공급하며 유지하였으나 산소포화도가 92%로 낮게 관찰되었다. 이에 따라 용량을 5L로 줄였지만 여전히 산소포화도가 92%에 머물러 있었다. 요독증상으로 인한 피부 소양감도 호소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장** 환자는 폐렴과 만성 신부전으로 인해 호흡곤란, 부종 등의 증상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에 따라 산소공급, 전해질 관리, 수액 공급 등의 처치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환자의 상태가 계속 악화되어 혈액투석이 계획되었다.
1.2.9. 박** 환자 - Chronic renal failure
박** 환자는 만성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으로 입원하였다. 만성신부전은 신장의 손상 정도와 기능 감소 정도에 따라 5단계로 나뉘는데, 박** 환자의 경우 정상 신장에 비해 신장 기능이 15%이하로 심하게 감소된 5단계에 해당한다.
박** 환자의 기본 검사로 BUN/Cr 수치 검사를 하였고, 수치 상승으로 인해 긴급 혈액투석(HD) 치료를 받기 위해 입원하였다. 의료진은 박** 환자에게 복막투석(PD)과 혈액투석 치료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고, 복막투석실을 견학하는 기회도 제공하였다. 또한 환자의 혈관 접근로인 우측 경정맥이 건조하고 약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환자는 영구도관(Perm cath)을 통해 혈액투석을 받게 되었다.
만성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