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모성간호학 난소낭종 간호진단 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1.2. 난소낭종의 개념 및 특성
2. 본론
2.1. 간호 사정
2.2. 난소낭종 수술 후 상태 사정
2.3. 약물 치료
2.4. 간호 과정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난소낭종의 연구 의의 및 필요성
난소낭종은 흔한 부인과 질환으로, 대부분 무증상이며 양성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복강 내 출혈이나 악성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있어 주기적인 관찰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또한 난소낭종은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여성의 생식 능력 보호에도 중요한 의의가 있다. 이에 난소낭종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간호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특히 젊은 연령층에서 증가하는 난소낭종의 발생 추이를 고려할 때, 이에 대한 간호학적 접근과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난소낭종 환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간호 중재를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1.2. 난소낭종의 개념 및 특성
난소낭종은 난소에 발생하는 낭성종양(cystic tumor)으로, 내부가 수액 성분으로 차 있는 물혹을 의미한다. 이는 배란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생리적 낭종과 양성 난소 신생물(혹)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내부의 수분은 종양의 종류에 따라 장액성, 점액성 액체인 경우도 있고 혈액이나 지방, 농양 등일 수도 있다. 기능성(생리적) 난소 낭종은 여포 낭종, 황체 낭종, 난포막 황체화 낭종(theca lutein cyst)등이 해당되며, 가임기 여성의 배란 과정 중에 흔히 발생하여 관찰될 수 있다. 8cm를 초과하는 경우는 드물고 대개 수주에서 수개월 내에 자연 소실된다. 양성 난소 신생물(혹)은 자궁 내막종, 기형종, 장액성 또는 점액성 난소 낭종, 농양 등이 이에 해당되는 것으로 다양한 크기와 임상경과를 보일 수 있다. 이 밖에 암(난소암)으로도 확인될 수 있다. 난소낭종은 규칙적인 월경주기를 가진 여성의 30%, 불규칙적인 월경주기를 가진 여성의 50%, 폐경 후 여성의 6%에서 발생한다. 여성은 낭종의 크기가 커지고 주변기관...
참고 자료
김금자 외(2012년) .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 서울:현문사
이영숙, 박재순(2014) . 여성건강간호학Ⅰ . 서울:현문사
원종순 외(2011년) .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 서울:현문사
하영수 외(2016년) . 여성 모성간호학Ⅰ . 서울:신광출판사
http://www.kimsonline.co.kr/index.aspx 대한민국의약정보센터(KIMS)-의약정보서비스
http://www.snuh.org/intro.do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낭성종양(cystic tumor)
[네이버 지식백과] 난소 [ovary, 卵巢]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네이버 지식백과] 난소낭종 [ovarian cystic tumo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박영주 외, 여성건강간호학1, 현문사 P.149, P.255~259
화순 전남대학교 병원 EMR
박은영 외, (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P.245~247, P.326~327, P.324~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