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백신요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백신요법과 면역
3. RNA 백신과 기존 백신
3.1. RNA 백신의 정의와 특징
3.2. DNA 백신과 단백질 백신의 정의와 특징
3.3. RNA 백신과 기존 백신의 장단점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백신요법은 인체의 면역 시스템을 활용한 방법이다. 인체는 외부에서 침입한 병원체를 인식하고 이를 제거하는 면역 반응을 통해 스스로를 보호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백신은 이러한 면역 시스템의 특징을 이용하여 병원체에 대한 면역 반응을 사전에 유도함으로써 질병을 예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백신은 면역 체계에 특정 병원체를 '기억'하게 하여 실제 병원체가 침입했을 때 신속하고 효과적인 방어 반응을 일으키도록 한다. 이때 백신은 병원체 자체가 아니라, 병원체의 일부 성분이나 비활성화된 형태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백신의 개념은 역사적으로 질병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천연두와 같은 치명적인 질병의 근절은 백신의 도입과 함께 가능해졌다. 백신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감염병으로 인한 사망과 질병 발생을 크게 감소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기존 백신의 개발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특정 병원체에 대해서는 백신을 만드는 것이 매우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백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RNA 백신은 주목받는 혁신적인 백신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2. 백신요법과 면역
우리 인체의 면역 체계가 특정한 병원체에 대응하면서 생성한 면역 반응을 활용한 것이 바로 백신요법이다. 이 과정에 가장 중요한 역할은 면역 체계가 가진 기억이다. 면역 체계는 이전 한 번의 접촉으로 침투한 병원균을 기억한다. 따라서 이후 들어온 같은 병원균에 기억을 떠올려 신속하게 효과적으로 대응해 우리 몸의 건강을 유지한다. 이러한 원리가 이전 백신요법이다. 항원을 주입해 후천적으로 면역의 특징을 기억하도록 유도하는 면역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백신요법은 환자의 혈청에 수입한 수동면역과 다르게 접종자의 면역 반응을 정상적인 사람에게 사용함으로써 예방 목적으로 진행한다.
면역 체계의 두 가지 축이 수동면역과 능동면역이다. 수동면역은 외부에서 제공된 항체나 면역 세포를 통해 면...
참고 자료
송화연(2022). “코로나19 백신 개발과 민관협력 파트너십”,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김혜정(2019). “단일 가닥 RNA adjuvant로 제형화 된 단백질 기반 백신과 불활성 백신을 이용하여 근육 내 및 피내 면역보다 비강 면역을 통해 더 강한 T 세포 활성화의 유도 방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김민정(2023). “mRNA 백신의 고온 안정성 향상과 Stepwise Bulk Method의 연구 개발을 통한 mRNA 백신 생산성 향상”, 홍익대학교 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표준국어대사전, “능동면역”,
https://ko.dict.naver.com/#/entry/koko/dda28ba8eb5045a88d9d185374145883
표준국어대사전, “수동면역”,
https://ko.dict.naver.com/#/entry/koko/b44142fd2de24377afa35ad166e74ee7
고규영 기초과학연구원(IBS) 혈관 연구단 단장‧KAIST 의과학대학원 특훈교수 강석 IBS 혈관 연구단‧KAIST 의과학대학원 연구원, “코로나19 과학 리포트 2”, 기초과학연구원(IBS), 2021.01.22
https://www.ibs.re.kr/cop/bbs/BBSMSTR_000000001003/selectBoardArticle.do?nttId=19594
김민서, “[기획 기사] ‘코로나19’ 백신, 어떤 것들이 있을까? : 코로나19 백신 종류와 원리” , 서울대학교 뉴스룸, 2022.03.02.
https://science.snu.ac.kr/newsroom/view/2/11/719
Verbeke et al., Nano Today, 28:1 (2019), Three decades of messenger RNA vaccine development
Jackson et al., NPJ Vaccines 11:1 (2020), The promise of mRNA vaccines: a biotech and industrial perspective.
김영평생교육원, 일반생물학, 학습 교안 6주 2차시.
바이오사이언스출판, 캠벨 생명과학 11판, p1066~1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