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상담현장에서 심리 평가를 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과 2) 심리평가를 윤리적으로 실시하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윤리규정의 개념 및 필요성
1.2. 윤리규정의 내용
2. 비밀유지 및 노출에 관련된 규정
2.1. 비밀유지 규정
2.2. 사례를 중심으로 본 비밀유지 규정
3. 사전동의 및 다중관계
3.1. 사전동의
3.2. 다중관계
4. 상담자 윤리의 중요성
4.1. 내담자와 상담사 보호
4.2. 상담사의 전문성 기여
5. 결론
5.1. 바람직한 상담자의 자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윤리규정의 개념 및 필요성
윤리규정이란 심리학자가 일반적으로 준수해야 할 윤리의 기준을 정한 것으로, 상담 및 치료뿐만 아니라 학술연구 수행 및 연구논문 투고, 발표, 교육 및 수련, 평가 등 전반적인 분야에서 준수해야 하는 규정이다. 이 규정에 서약을 해야 한국임상심리학회 및 한국심리학회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입 후에도 규정에 어긋나는 행위를 할 경우 자격박탈을 비롯한 징계를 받을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중요한 서약으로 여겨진다. 이것은 심리학자가 '인간'이라는 주체성을 가진 대상을 연구 및 상담하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한 두 심리학회에서는 윤리규정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심리학자의 역할을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활동을 통해서 인간에 대한 지식을 확장하고 개인과 사회의 안녕을 위해 자신의 지식과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심리학자의 활동은 '인간'에 대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어떤 직업보다 까다롭게 윤리규정을 준수하고 있음을 추측해볼 수 있다.
1.2. 윤리규정의 내용
윤리규정은 윤리규정의 시행과 지침을 시작으로 일반적 윤리, 연구 관련 윤리, 교육 및 수련관련 윤리, 평과관련 윤리, 치료관련 윤리 다섯 가지 윤리로 분류되어 있다. 제 1장 윤리규정의 시행과 지침에서는 윤리규정 자체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제 2장 일반적 윤리에서는 심리학자의 기본적 책무에 관한 윤리를 규정하고 있다. 제 3장 연구 관련 윤리에서는 연구를 진행할 때 지켜야할 윤리들을, 제 4장 교육 및 수련관련 윤리에서는 교육자로서 학생 및 수련생을 어떻게 윤리적으로 대해야하는지를, 제 5장 평과관련 윤리에서는 평가를 신뢰성 있고 전문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 6장 치료관련 윤리에서는 치료를 진행할 때 지켜야할 윤리규범을 다루고 있다. 이처럼 윤리규정은 심리학자의 각 역할과 책무, 그리고 대상자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 비밀유지 및 노출에 관련된 규정
2.1. 비밀유지 규정
비밀유지 규정은 상담자가 알게 된 정보를 어떻게 다뤄야하는지와 관련된 규정 중 하나이다. 비밀유지 규정에 따르면 심리학자는 연구, 교육, 평가 및 치료과정에서 알게 된 비밀정보를 보호하여야 할 일차...
참고 자료
한국심리학회윤리규정, 한국심리학회 홈페이지
(http://www.koreanpsychology.or.kr/aboutkpa/article.asp?page=4)
한국임상심리학회 윤리규정, 한국임상심리학회 홈페이지
(http://kcp.or.kr/user/sub01_4_2.asp)
한국상담심리학회 https://krcpa.or.kr/user/sub02_9.asp
천성문, 이영순, 외 3명 저,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2021,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