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의 청소년이 지역 특산물 홍보 프로그램 기획
지역의 청소년들은 해당 지역의 특산물에 대한 관심이 많고, 그것을 널리 알리고 싶어 한다. 따라서 이들이 직접 지역 특산물 홍보 프로그램을 기획한다면 지역주민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먼저 프로그램의 목적은 지역 특산물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청소년들의 지역에 대한 자부심과 애착심을 높이는 것이다. 지역 특산물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키고 이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프로그램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기간은 2박 3일이며, 장소는 지역 내 특산물과 관련된 주요 시설 및 관광지를 활용한다. 참여대상은 해당 지역의 중고등학생들이다. 프로그램은 특산물 체험, 홍보 콘텐츠 제작, 지역 문화탐방 등으로 구성된다.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지역의 대표 특산물을 직접 제작하고 체험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진다. 이를 통해 특산물의 제작 과정과 역사, 문화적 의미 등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지역의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을 탐방하면서 지역에 대한 애착심을 높인다. 이어서 특산물을 활용한 홍보 콘텐츠(포스터, 영상 등)를 직접 제작하는 시간을 가져, 이를 SNS 등에 게시하여 지역 특산물을 홍보한다.
이 프로그램의 예산은 총 3,000만원으로 편성된다. 주요 항목으로는 강사비, 체험 재료비, 홍보물 제작비, 교통비, 식비 등이 있다. 청소년들이 직접 기획하고 참여하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의 특산물과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질 것이며, 이는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2. 지역 축제 분석
2.1. 생태자연축제
2.1.1. 함평나비대축제
함평나비대축제는 함평군이 추진하는 대표적인 생태자연축제이다. 함평은 전형적인 농업 군이었으나 산업사회로의 변화로 인해 젊은이들이 모두 도시로 떠났고, 농업 경쟁력이 저하되었다. 이에 함평군은 관광자원과 산업자원이 부족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친환경 지역임을 잘 홍보할 수 있는 나비로 주제를 정하고 축제를 기획하였다.
1999년 5월 5일 제1회 함평 나비 대축제가 시작되었다. 행사 내용은 나비와 곤충을 소재로 한 다양한 문화, 전시, 체험 행사가 이루어진다. 나비 곤충 생태관에서는 각종 나비의 생태를 전시하고, 나비 날리기, 나비 먹이 및 흡밀식물 생태 등을 체험할 수 있다. 다른 생태 자연 축제들과 달리 주제를 '나비'와 접목해 직관적인 반응을 끌어낼 수 있으며, 이는 축제의 성공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나비라는 이미지를 통해 축제에 참여한 사람들이 함평의 생태계와 지역특산물에 대해 접하고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축제는 4월 말부터 5월 초 사이 10일간 진행되며, 전국적인 규모의 축제로 자리 잡았다. ()
2.1.2. 무주 반딧불이 축제
무주 반딧불이 축제는 1997년 처음 시작되어 올해로 24회를 맞이했다. 축제의 주제는 반디의 꿈, 무주 이야기, 산골생태 도시 등으로 정해졌고 강령은 '우리 무주로', '반디가 노는 세상'으로 하고 있다. 청정환경의 지표라고 볼 수 있는 곤충 반딧불이를 되살리자는 인식에서 출발한 무주 반딧불이 축제는 생태계 복원의 목적과 무주군 지역경제 활성화의 목적을 지니고 있다. 반딧불이는 깨끗한 공기와 맑은 물, 오염되지 않은 대지를 대변하는 환경지표 곤충이다. 반딧불이를 통해서 환경을 지키고 자연훼손을 방지하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알리고 있으며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그것에 대한 가치를 학습하고 느끼는 체험 축제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무주군 군민들도 이 축제의 주체이자 참가자로 여겨진다. 자신들의 건강과 행복을 넘어서 생태계와 관광객들의 삶에도 변화를 주고자 하고 있다. 단순히 지역홍보를 넘어서 함께 참여하고 즐기는 축제로 여겨지고 있다. 주요 프로그램은 '반딧불이 신비 탐사'이다. 셔틀버스를 통해 반딧불이 서식지로 이동하며 직접 반딧불이를 체험한다. '반디 나라 관'은 낮에도 살아있는 반딧불이를 관람하고 생태를 이해하기 위한 전시공간이다. 암실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