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늙은 잣나무
1.1. 작품 소개
이 작품은 늙은 잣나무의 모습을 통해 시련을 견디며 강인하게 살아가는 선비를 비유적으로 예찬한 작품이다. 늙은 잣나무가 홀로 빈 언덕에 서 있으면서도 눈서리를 견디며 천년의 푸름을 잃지 않는 모습은 속세와 멀어져 있으며 유혹에 흔들리지 않고 고고하며 절개를 지닌 선비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또한 이 작품은 늙은 잣나무가 나라의 큰 기둥이 되었다는 내용을 통해 은둔 생활을 하며 학문에 매진했던 선비의 높은 지위와 인품을 우의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1.2. 작가 소개
유방선은 조선시대의 학자로, 1388년에 태어나 1443년에 사망하였다. 성균관에 들어가 공부하였으며, 아버지가 민무구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를 당하자 함께 유배생활을 하였다. 유배생활 중에도 학업에 정진하여 천거되었으나 사양하였다. 12세 무렵부터 여러 유명 문인들에게 배우며 문명을 쌓았고, 특히 시학에 뛰어났다. 대표작인 『태재집』을 남겼으며, 서거정·한명회·권람·강효문 등 많은 문하생을 배출하였다.
1.3. 한시의 개념
한시는 글자 그대로 말하면 한자로 기록된 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주변의 한자문화권에 있는 나라에서 한자로 기록한 시까지를 포함하여 한시라고 한다.
한시의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한 사람의 글씨와 그림, 그리고 인품이 담겨있으며 나아가 자연과 인간, 그리고 사회의 관계를 연관 지어 생각한다. 둘째, 자연, 계절의 서정, 인생, 이별 등 상류층의 개인적 취미를 위해 즐기거나, 사회문제를 꼬집고 민중의 삶과 현실을 다루는 등 자신의 사회적 철학과 의지를 표현한다. 셋째,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한자 문화권의 고전 문학, 유교적 질서의 문학, 당시 사회 상층부의 시 문화로 당시의 수사적 표현법이나 고사성어 등을 볼 수 있다.
대표적인 한시 작품으로는 <공무도하가>, <황조가>, <여수장우중문시> 등이 있다.
2. 자살과 안락사의 고찰
2.1. 자살의 윤리성
자살의 윤리성은 매우 복잡한 문제로, 다양한 관점에서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먼저 로빈슨 크루소와 같이 타인의 존재 없이 혼자 살고 있는 경우, 자살은 그 자신의 생사여탈권에 해당되므로 윤리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아담과 이브와 같이 타인이 존재하는 상황에서는 자살의 윤리성이 달라진다.
아담의 경우 이브와 부부 관계에 있으므로 남편으로서의 의무를 다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자살은 비윤리적이다. 그러나 아담과 이브가 단순히 남남 관계라면 상호 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