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주거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의 이해
1.1. 젠트리피케이션의 개념
1.2. 젠트리피케이션의 발생지역
2. 국내 젠트리피케이션 현황
2.1. 삼청동길의 상업화
2.2. 홍대 지역의 변화
2.3. 서촌마을의 젠트리피케이션
3.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요인
3.1. 인구생태학적 요인
3.2. 사회문화적 요인
3.3. 정치경제적 요인
4. 젠트리피케이션의 문제점
4.1. 공동체 붕괴와 거주지 이탈
4.2. 임대료 폭등과 기존 상가 세입자 이탈
4.3. 문화백화현상
5. 젠트리피케이션 해결을 위한 정책방안
5.1. 과도한 임대료의 규제
5.2. 기획부동산의 규제
5.3. 프랜차이즈의 대거 입점 규제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의 이해
1.1. 젠트리피케이션의 개념
젠트리피케이션의 개념은 "저소득층의 주민들이 쇠퇴한 도시에 공동체적 사회를 구성하여 도시 재생을 이뤄낸 후, 중산층 혹은 상류층의 도시 전입으로 인해 저소득층이 쫓겨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때 젠트리파이어(gentrifier)란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일으키는 중산층과 상류층 사회 구성원들을 뜻한다. 이들은 기본적인 의식주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있고, 고급화된 생활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경제적 여유를 가지고 있다.
즉, 젠트리피케이션은 저소득층이 모여 살던 낙후된 지역이 재개발되면서 그 지역의 상권과 주거환경이 개선되자 중산층 이상의 계층이 유입되면서 기존 저소득층 주민들이 밀려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1.2. 젠트리피케이션의 발생지역
젠트리피케이션의 발생지역은 주로 도심 내부의 낙후된 지역들이다. 이러한 지역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임대료와 저렴한 가격의 물건, 독특한 분위기 등으로 인해 예술가, 젊은 세대 등이 모여들면서 서서히 도시의 활력을 되찾아가게 된다.
대표적인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지역으로는 서울의 삼청동길, 홍대 인근 지역, 서촌마을 등을 들 수 있다.
삼청동길의 경우, 1970~1980년대에는 한옥과 양옥 등 다양한 주거 공간으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주거지역이었다. 그러다 1990년대 이후 미술관들이 들어오면서 화랑가가 형성되고, 가난한 예술가들의 주요 활동지가 되었다. 이후 2000년대부터 지가와 임대료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예술가들이 밀려나고 외국 음식점, 카페 등이 들어서게 되었다.
홍대 지역도 저렴한 임대료로 인해 홍익대학교 출신의 예술가들이 모여들면서 인디문화와 클럽문화가 발달하였다. 그러나 거대 자본이 유입되면서 지가와 임대료가 상승하여 기존 거주민과 예술가들이 홍대 주변부나 연남동 등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서촌마을의 경우, 서울시에 의해 '세종마을 음식문화거리'로 지정되면서 외부 자본이 유입되고 임대료가 급등하여 기존 상인들이 퇴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처럼 젠트리피케이션은 주로 도심 내부의 낙후된 지역에서 발생하며, 이들 지역이 활성화되면서 오히려 기존 거주민과 소상공인들이 내몰리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2. 국내 젠트리피케이션 현황
2.1. 삼청동길의 상업화
1970~1980년대의 삼청동길은 한옥, 일본식 가옥 그리고 양옥 등의 여러 주거 공간으로 이루어진 길이었다. 이곳은 산기슭에 위치하여 도심 속의 시골과 같았고 유동인구가 많지 않았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로 삼청동길에 변화가 생겼다. 금호갤러리, 학고재 갤러리와 같은 대형 미술관들이 이곳으로 이전하기 시작하면서 삼청동길은 화랑가를 형성하게 되었다. 1990년대의 삼청동은 가까운 인사동에 비해 임대료가 낮아 가난한 예술가들의 주요 활동지가 되었다. 인사동의 높은 임대료로 인해 예술가들은 인사동에서 삼청동으로 작업실과 주거지를 옮기기 시작했으며, 개발 제한으로 인한 삼청동의 한적한 분위기도 예술가들의 이전에 영향을 주었다.
인사동에서 삼청동으로 이전한 예술가들은 공방, 예술 갤러리들을 차렸고, 삼청동에서 계속 살아온 사람들은 여러 토속적인 음식점과 독특한 카페 등을 차렸다. 이주한 예술인들과 삼청동 주민들의 여러 개업으로 인해 삼청동은 먹거리 골목으로 점차 소문이 나기 시작하였다.
2002년 이후에는 삼청동길의 공시지가가 20%씩 상승하며 지가의 상승으로 인해 임대료 또한 급격하게 상승하였다. 결과적으로, 삼청동길 지가의 큰 상승으로 인해 이곳은 더 이상 가난한 예술가들의 보금자리가 될 수 없었다. 높아진 임대료를 감당할 수 없었던 예술인들은 본인들이 차렸던 독특한 갤러리나 공방들을 없애고 또 다시 다른 지역으로 이사를 가거나,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본인들의 갤러리를 축소하여 카페와 갤러리를 동시 운영하게 된다. 혹은, 갤러리의 축소로 생긴 면적을 옷가게 혹은 음식점으로 활용하며 생계를 유지하였다. 따라서 2000년대 삼청동길에는 소규모 공방 및 갤러리...
참고 자료
이선영(2009). “용산재개발지구의 근린변동과 젠트리케이션 과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선영(2018). “젠트리피케이션의 최전선”, 11, 도시재생과 젠트리피케이션, 한울아카데미.
하성규(2018). “도시재개발과 젠트리피케이션”, 1, 도시재생과 젠트리피케이션, 한울아카데미.
도시의 역설, 젠트리피게이션, 후마니타스, 정원오 저, 2016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의 발생원인과 설명오인, 한국도시지리학회지, 김걸 저, 2007
상업공간의 젠트리피케이션과 지역상인 공동체에 관한 연구, 공간과 사회, 허자연 외 2명 저,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