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심근경색증 간호과정: 급성통증, 관류감소위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2. 간호과정
2.1. 간호사정
2.2. 사정자료조직화
2.3. 간호진단
2.4. 간호과정
3. 문제해결접근방법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심근경색증은 주로 동맥경화증이 진행된 나이 많은 사람에게서 많이 발생하였으나 최근에는 식생활 패턴의 변화 등으로 인해 40~50세의 경우에도 흔하게 나타나고 있다. 협심증이 심근경색증으로 진행하기도 하고, 부정맥 또한 누구에게나 언제나 올 수 있는 질환으로 각종 심장 관련 질환으로 인한 사망환자가 매해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심근경색의 병태생리와 원인, 증상, 합병증, 진단검사 및 치료와 간호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 진단을 받은 대상자와 비교하고 분석하여 적응해 봄으로써 심근경색에 대해서 정확히 이해하며 간호사례연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보려 한다.
1.2.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관상동맥질환은 심근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심근이 요구하는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해 심근에 국소 빈혈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관상동맥의 협착으로 인하여 심장 근육으로의 혈액 공급이 충분하게 되어도 단시간에 혈류가 다시 흐르면 심장 근육은 죽지 않고 회복하게 되는데 이를 협심증이라고 하고, 동맥경화로 좁아진 관상동맥 내의 죽종판 파열에 의해 형성된 혈전으로 내강이 완전하게 폐색되면 폐색된 동맥 이후로 가는 혈류가 차단되는데 그 결과, 차단된 관상동맥에 의해 혈류를 공급받는 심근의 세포가 파괴되는 괴사가 일어나는 것을 심근경색이라 한다.""
주 원인은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 갑자기 발병된다. 관상동맥의 갑작스러운 폐색은 죽상반이 파열되거나 균열이 생기면서 형성되는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의 혈류가 완전히 차단됨으로써 발생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조절 가능한 위험요인으로는 높은 LDL수준, 낮은 HDL수준,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상승, 고혈압, 흡연, 당뇨병, 신체적 활동부족, 과체중과 비만이 있고, 조절 불가능한 위험요인으로는 연령의 증가, 유전적소인, 남성이 있다. 그 외에도 고지방 식이, 알코올 소비량, 스트레스 증가, Homocusteine 수준 증가, C-reactive protein증가, 호르몬 대체요법 등이 기여요인으로 작용한다.""
관상동맥질환의 주요 원인은 죽상경화증이다. 이는 1차적으로 동맥내벽에 지질 및 콜레스테롤이 침착되어 나타난다. 혈관내피세포의 손상은 죽상경화증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이다. 지질대사의 이상이나 콜레스테롤, 포화지방의 지나친 섭취는 죽상경화증의 진행을 촉진하며, 죽상경화증은 지방층, 평활근증식으로 인한 섬유성 융기, 병소의 합병 3단계로 진행된다.""
관상동맥질환은 안정형협싱증과 급성관상동맥 증후군이 있으며 급성관상동맥즈후군에는 불안정형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이 있다. 협심증은 관상동맥이 부분적으로 차단되어 심근의 요구에 대해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여 허혈상태가 되는 것이고,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이 완전히 차단되어 심근 조직이 비가역적으로 손상되어 경생이나 괴사가 발생하는 것이다.""
불안정형 협심증은 안정형 협심증과 급성심근경색증의 중간 정도로, 운동성 협심증이 발전되어 휴식시에도 협심증이 발생하며 20분 이상 지속되는 통증으로 증상의 빈도,기간,강도가 점차 악화된다. ST분절 미상승 심근 경색증은 불안정형 협심증과 비슷한 병리적 현상과 임상증상을 보이지만 혈액지표의 변화와 지속적인 ECG변화가 더 심하며 사망위험성이 높다. ST분절 상승 심근 경색증은 심근손상으로 심전도에서 ST분절의 상승이 있음을 말하며 대부분 플라그의 파열로 인한 혈전으로 관상동...
참고 자료
황옥남 외. 2019 1월. 성인간호학Ⅰ, 현문사
양선희, 원종순 외 (2019), 기본간호학Ⅱ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사,2013
네이버 지식백과(https://terms.naver.com/)
약학정보원(http://www.health.kr/main.asp)
고자경 외 2명, 「성인간호학1」, Pacific Books, 2017년
Henry Hitner, 신인철 외 공역, 「알기 쉬운 약리학」, 메디컬사이언스, 2017년
김순옥 외 5명,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Pacific Books, 201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