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관절 골관절염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문헌고찰
2. 본론
2.1. 대상자 기본정보
2.2. 대상자 진단검사
2.3. 대상자의 투여중인 약물
2.4. 고관절 치환술
2.4.1. 인공 고관절 치환술의 정의
2.4.2. 인공 고관절 치환술의 목적
2.4.3. 인공 고관절 치환술의 적응증
2.4.4. 수술 방법
2.4.5. 수술 전후 간호
3. 간호과정 적용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고관절은 골반을 통해 전달되는 체중을 지탱하고 걷기와 달리기 같은 다리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질환이 발생할 시 일상생활이 불편한 부분이다. 이번 case 대상자는 퇴행성 골관절염으로 인해 Revision THRA를 받게 되었는데 THRA를 받은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여 치료를 돕고 안정을 되찾을 수 있도록 돕고자 이번 case를 연구하게 되었다.
1.2. 문헌고찰
골관절염은 퇴행성 관절질환(degenerative joint disease, DJD), 퇴행성 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이라고도 하며 관절염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고, 국소적인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 만성질환이다. 골관절염은 주로 체중부하관절에 발생하는데, 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골관절염의 병태생리를 살펴보면, 관절면의 뼈가 과밀하거나 과잉증식됨에 따라 관절 간격이 좁아져 점점 눌리는 양상을 보인다. 시간이 경과하면서 연골이 갈라지고 깊은 골이 생기면서 침식되어 완전히 벗겨지면 연골 밑의 뼈가 관절로 완전히 노출된다. 이곳에 신생골이 형성되면서 뼈의 증식과 비후가 일어난다. 이때 골낭종과 속발성 활액낭염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결국 아탈구(subluxation)와 관절기형이 생겨 부동, 통증, 근경련과 염증 등을 초래한다."" 골관절염의 원인을 살펴보면, 원발성 골관절염의 경우 노화로 인한 현상으로 보았지만 최근에는 관절 통합성의 문제, 유전적 소인, 국소적 감염, 기계적인 힘, 세포와 생화학적 과정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속발성 골관절염의 경우 선천성 기형, 반복되는 좌상 및 염좌 등의 외상, 관절탈구, 골절,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초래하는 장애, 활막에 콜라겐 분해효소 활동을 자극하는 약품 등이 원인이 된다."" 골관절염의 임상증상을 살펴보면 통증, 관절강직, 활동장애와 기능장애가 주요 증상이다. 초기에는 경도의 통증과 강직이 가장 흔하지만 질병이 진행되면 통증이 더욱 심해지고 관절의 불편함이 증가한다. 또한 관절연골의 소실과 변성에 의해 관절면이 불규칙해지면 운동 시 마찰음이 느껴질 수도 있다."" 골관절염의 진단은 X-ray상에 구조적인 관절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골관절염이 진행됨에 따라 관절면이 좁아지거나 골경화, 골증식체, 골낭종 등이 나타난다. 일반 검사는 거의 정상이고, 혈액검사는 골관절염의 진단보다는 다른 관절염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한다."" 골관절염의 치료는 크게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구분된다. 보존적 치료로는 관절의 휴식과 온/냉요법, 운동 등을 시행하고 약물요법으로 Acetaminophen, NSAIDs, Doxycycline 등을 사용한다. 수술로는 관절성형술, 인공관절치환술 등이 있는데, 특히 인공 고관절 치환술은 관절염으로 심한 통증을 겪는 환자에게 효과적인 수술 방법이다."" 이처럼 골관절염은 노화와 관련된 퇴행성 관절질환으로, 관절면의 변화로 인한 통증과 기능장애가 주요 증상이다. 질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시행되며, 특히 인공 고관절 치환술은 관절염 환자의 통증 완화와 기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본론
2.1. 대상자 기본정보
대상자 김OO은 69세 여자 환자로, 2018년 3월 22일 고관절 수술을 위해 입원하였다. 키 162cm, 체중 76.2kg의 과체중 환자로 고혈압과 간질 병력이 있다. 주 진단명은 단측 원발성 고관절증(Primary coxarthrosis unilateral)이다. 대상자는 2013년부터 지속된 요통으로 인...
참고 자료
대한정형외과학회
성인간호학- 현문사
인체 해부학-고문사
생리학- 현문사
기본간호학1, 2- 현문사
드럭인포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현문사
유해영 외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서울 : 현문사
고일선 외 (2013),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2-2014, 서울 : 정담미디어
김금순 외 (2013), 성인간호학1,2, 서울 : 수문사
신경림 외 (2010), 성인간호학 Ⅲ, 서울 : 현문사
약물정보조회 KIMS www.kimsonline.co.kr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네이버 지식백과] (의약품 사전)
Meg Gulanick, Judith L. Myers. (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박은영, 송미령, 류은정 역. 서울: 현문사
황옥남 외 8인, 현문사, 성인간호학 제7판 하권 MEDICAL SURGICAL NURSING(2019)
https://www.amc.seoul.kr/ (서울아산병원)
https://www.koa.or.kr/ (대한정형외과학회)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drug inf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