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난소양성종양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난소양성종양의 중요성
1.2. 간호사례 선정 이유
2. 문헌고찰
2.1. 난소양성종양의 정의
2.2. 발생빈도 및 원인
2.3. 증상
2.4. 진단
2.5. 치료
2.6. 간호
3. 간호사례
3.1. 대상자의 특성
3.2.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적용
3.2.1. 유치도뇨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3.2.2. 수술 후 통증과 관련된 수면양상장애
3.2.3. 복강경 수술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3.2.4. 질병 및 치료에 관련된 지식부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난소양성종양의 중요성
난소양성종양은 임신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환자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중요하게 봐야 할 건강 문제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16년 한 해 난소 종양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가 20만8,612명으로 5년 전인 2012년 18만4,419명보다 13%가 증가했다. 특히 이들 가운데 24세 미만인 난소 종양 환자가 12%로 14세 이하에서는 1%정도였지만 15~24세엔 11%로 청소년기에서 결혼 전에 이르는 기간에 주로 발병했다. 난소 양성 종양은 뚜렷한 증상이 없어 초기에는 발견이 어려운데, 대부분 종양이 많이 커져 만져지거나 통증이 생길 때에야 병원을 찾게 된다. 조기 발견하면 복강경 수술로 혹만 제거할 수 있지만 악화 되었다면 한쪽 난소를 제거하기도 한다. 난소는 크기가 3~4cm로 복강경으로 종양 제거 시 정상 난소 조직에 손상을 최소화해야 여성 호르몬 분비와 배란 기능이 유지되기 때문에 추후 임신에 문제가 생기지 않기 위해선 난소종양이 잘 생기는 청소년기부터 정기적인 산부인과 검진을 통한 관리가 중요하다.
1.2. 간호사례 선정 이유
난소양성종양은 임신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환자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중요하게 봐야 할 건강 문제라고 생각하여 난소양성종양에 대해 더 알아보고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하고자 간호사례로 선정하였다."
2. 문헌고찰
2.1. 난소양성종양의 정의
난소 양성종양이란 난소에서 발생하는 암이 아닌 종양을 말한다. 난소에 성숙난포보다 큰 직경 2.5cm 이상의 액체를 저류한 구조물이 1개 이상 있으며 이것이 10일 이상 장기간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난소에 발생하는 종양은 크게 악성종양과 양성종양으로 나눌 수 있으며, 다른 기관으로 전이될 가능성이 있으면 악성종양으로 분류되고 그렇지 않고 한 조직에서 혹과 같이 크기가 커지는 경우에는 양성종양으로 분류된다. 상대적으로 양성종양이 악성종양에 비해 세포의 분화도가 느린 편이다. 따라서 난소 양성종양은 대부분 주기적 배란을 하는 20~40대의 가임기 여성에서 발생하지만 약 5%는 소아와 사춘기에서도 발생한다. 이러한 난소 양성종양은 그 조직 세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2.2. 발생빈도 및 원인
난소 양성 종양의 발생빈도는 20-40세 사이의 가임 연령기에 생기는 난소 종양의 80-85%가 양성이다. 기능적 병변 및 염증성 병변은 거의 전적으로 초경과 폐경기 사이에서 발달한다"" 이다.
난소 종양이 생기는 원인은 다양하다. 첫째, 우리 몸이 배아 발생 시 외배엽, 중배엽, 내배엽으로 나누어 발생하는데 난소는 유일하게 이 세 가지 배엽을 모두 가지고 있어 다양한 종양이 생길 수 있다"" 둘째, 기능성 낭종은 월경 주기의 특정 시기에 발생하는 배란기 난포가 완전히 없어지지 않고 남아서 발생하는 것으로 대개 한 두 달 사이에 저절로 없어진다"" 셋째, 양성 낭종은 임신 중의 호르몬 분비로 인하여 생기기도 하고 배란을 촉진하는 약물에 의해 또는 호르몬 성분을 나타내는 한약을 복용한 후에 생기기도 하지만 대부분 뚜렷한 원인이 없는 경우가 많다"" 넷째, 지속적인 배란이나 외부의 자극에 의하여 낭종 발생이 처음 유발된다는 가설이 유력한데, 난소 표면에 상처가 생기면 상피세포가 난소 내부로 함몰이 되면서 들어가 낭포를 이루며 이 속에 점점 액체가 고이고 유출되지 않아 크기가 점점 커지고 낭종이 발생한다""
2.3. 증상
난소 양성 종양의 증상은 매우 다양하다. 난소의 크기가 직경 7~8cm 이상으로 커지기 전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종양의 크기가 점점 증가하면 주위의 장기들을 압박하여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먼저, 전방으로 압박이 가해지면 방광을 압박하여 소변...
참고 자료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2020). 여성건강간호학1. 수문사.
손정태 외 공저(2018). 기본간호학1. 현문사.
손정태 외 공저(2018). 기본간호학2. 현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난소 [ovary, 卵巢]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혈액/종양 질환-난소의 양성 종양, 삼성서울병원
약학 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total_result.asp
질환백과-난소의 양성 종양, 서울아산병원
‘난소종양, 청소년기부터 관리 필요하다’. 의학신문. 정윤식 기자,. 2017.04.17. 12:02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59165
김계숙 외, 여성건강간호학 1권 2권, 2019, 수문사
김순옥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2016, Pacific Books
국가건강정보포털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790&mobile&cid=51004&categoryId=51004)
최신 임상 간호 매뉴얼(2005). 서울, 현문사, 부인과적 종양, Sigma Theta Tau Lambda, Alpha Chapter-At-Large, 22, 1143-1154
모성간호학(2006). 서울, 퍼시픽출판사, 여성의 건강문제와 간호, 학술편찬국, 9, 239-242
간호과정(2004). 서울, 현문사, 간호진단목록, 전시자,손영희,김남초,원종순, 247-288
성인간호학(상)(2005). 서울, 현문사, 수술대상자 간호, 296-345
간호진단과 계획(1996).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간호진단
http://medcity.com/nanso.html, 난소종양
http://www.paik.ac.kr/, 의학정보
http://know.women-net.net/, 난소종양
http://www.healthkorea.net/, 난소양성종양
http://kr.yahoo.com/jyj2ulsan/, 증상과 대체의학
http://blog.naver.com/tkc, 부인과
http://www.druginfo.co.kr/, 약품검색
http://www.kdrug.org/, 약품검색
http://www.empas.com/, 이미지, 지식인
http://www.naver.com/, 이미지, 지식인
http://www.google.co.kr/, 이미지
http://kr.yahoo.com/,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