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과제 주제 및 목적
본 과제의 주제 및 목적은 세종한국어3 교재의 14단원 중 한 단원을 선택하여 '듣고 말하기' 페이지의 1, 2, 3번 듣기 전 활동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생에게 배부할 부교재 형태로 개발하고 해당 듣기 전 활동의 의도와 수업 방법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를 통해 듣기 전 활동의 개념과 구성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활동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과제의 목적이다""
1.2. 듣기 전 활동의 중요성
듣기 전 활동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교육에서 듣기 전 활동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학습자들이 듣기 과제를 수행하기 전에 필요한 언어 능력과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듣기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기 때문이다. 실생활에서 언어를 이해하는 과정은 상호작용을 의미하며, 발화자가 상대방이 이해할 수 있는 어휘와 문맥을 활용하는 전략을 사용해야 성공적일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언어 수준과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듣기 활동을 수행하게 되면 학습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듣기 전 활동은 학습자의 배경지식을 활성화하고 학습 목표와 화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듣기 과제에서 필요한 정보를 예측하고 집중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생소한 어휘와 표현에 대한 사전 학습을 통해 듣기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듣기 전 활동은 학습자의 언어 능력 향상과 동기 유발에 기여하며, 더 나아가 듣기 후 활동과의 연계를 통해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교육에서 듣기 전 활동은 학습자의 언어 능력 향상과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듣기 전 활동 개발
2.1. 배경 지식 활성화 활동
2.1.1. 교사 질문에 대답하기
교사 질문에 대답하기는 듣기 전 활동의 주요 전략 중 하나로, 학습자들의 배경지식을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이다. 이 활동에서는 교사가 질문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이에 대해 대답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질문의 내용은 듣기 활동과 관련된 주제, 맥락, 어휘 등에 초점을 맞추어 구성되며, 학생들의 경험, 생각, 예측 등을 끌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자의 꿈에 대한 듣기 활동에서 "누가 무엇에 대해 고민하고 있나요?", "꿈을 이루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나요?" 등의 질문을 통해 학생들의 배경지식과 관심사를 파악하고 활성화할 수 있다. 이러한 질문-응답 활동은 학생들이 듣기 활동에 필요한 정보와 맥락을 미리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다. 나아가 학생들의 참여와 동기를 높이고,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강화하여 보다 효과적인 언어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2.1.2. 시각 자료 활용하기
시각 자료 활용하기는 보조 자료, 그림, 사진, 그래프 등을 활용하여 들을 내용을 예측할 수 있고, 구체적인 내용 실마리를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세종한국어3의 14단원에서 2번 질문인 "다음을 잘 듣고 내용과 같으면 O, 다르면 X에 표시하세요"에 대한 듣기 전 활동 자료는 교재에서 제시된 내용과 같이, 다음 사진을 보고 질문에 답해보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학생들은 제공된 시각 자료를 보고 "이 중에 나무에서 나는 것은 무엇인가요?"와 "뿌리에서 발달하는 것은 무엇인가요?"와 같은 질문에 답함으로써 듣기 활동에 필요한 배경지식을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