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칼슘인 충족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병동사례별 질향상 프로젝트
1.1. 신장내과병동 질향상 프로젝트
1.1.1. 혈액투석환자의 복약/식이교육을 통한 칼슘-인 충족률 지표 개선활동
1.2. 임상 사례 연구보고서
1.2.1. CHF(심부전) 진단
1.2.2. KTAS(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
1.3. 생애주기영양학 과제
1.3.1. 노인기 변화에 따른 올바른 영양관리 방법
1.3.2. 19~29세 성인과 65세 이상 노인의 영양소 섭취기준 비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병동사례별 질향상 프로젝트
1.1. 신장내과병동 질향상 프로젝트
1.1.1. 혈액투석환자의 복약/식이교육을 통한 칼슘-인 충족률 지표 개선활동
혈액투석환자의 복약/식이교육을 통한 칼슘-인 충족률 지표 개선활동이다. 신기능이 감소하게 되면 칼슘과 인의 불균형이 초래되게 된다. 이에 따라 심혈관 질환, 근골격계 질환 등의 많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많은 투석환자가 입원한 신장내과에서 복약 및 식이교육을 통한 칼슘-인의 균형유지가 중요한 개선활동이라고 판단했다.
현재 저희 본원의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지표인 혈청 칼슘과 인의 충족률은 85%이다. 이는 전체 평균 80%보다 높은 수치이지만 상급종합병원의 적정성 평가는 87%로 이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에 상급종합병원에 맞는 수치를 도달하기 위해 이러한 질향상 개선활동을 시행하고자 한다.
질향상 활동의 사례로 000병동 00호에 4일전에 입원한 69세 남성 서00씨는 만성 신부전을 앓고 있는 환자다. 서00씨는 혈액 내 인의 역할을 잘 알고 있지 못했으며, 인 조절을 위해 처방된 약물을 잘 복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 인 조절을 위해 식이 조절을 해야한다고 교육했던 것도 기억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서00씨의 혈청 칼슘과 인의 곱이 56mg2/dl2로 정상보다 높았다.
현재 지표확인 및 목표설정 측정지표는 혈청 칼슘과 인의 충족률로, 현재수준은 83.9%이며 목표지표는 90% 수준으로 개선하고자 한다. 원인분석 결과, 칼슘과 인의 대사장애에 대한 지식부족, 식이조절 미흡, 부적절한 약 복용이 주요 원인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개선활동으로 칼슘과 인의 대사장애에 대한 지식 제공, 식이조절 교육, 복약 교육 및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선활동 후 혈청 칼슘-인 충족률이 87%까지 향상되었고, 1월에 목표치인 90%를 달성하였다. 향후에는 전체 환자 대상 지속적인 교육과 모니터링을 계획하고 있다.
1.2. 임상 사례 연구보고서
1.2.1. CHF(심부전) 진단
CHF(심부전) 진단은 인체가 휴식이나 운동할 때 필요한 대사요구를 충족시킬 만큼 충분한 혈액을 심장이 펌프해 내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심장의 펌프능력 부전은 심장질환이나 심장 구조의 이상으로 인하여 혈량이 정상인데도 이를 펌프해 내지 못하거나 심장질환이 없는 경우에도...
참고 자료
구재옥〮김정희〮곽호경〮신동미 공저, 『생활주기영양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년
이연숙〮임현숙〮안홍석〮장남수 지음, 『생애주기영양학』, ㈜교문사, 2008년
구재옥〮박혜련〮김경원 공저, 『영양교육 및 상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년
구재옥〮곽호경〮이홍미 공저, 『고급영양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8년
이순형〮성미애 공저, 『인간발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4년
박영숙〮정성희 공저, 『생활과 건강』,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5년
보건복지부 작성〮배포, 등록일: 2013년 12월 30일, 『어르신을 위한 식생활지침 가이드북』.
보건복지부 작성〮배포, 등록일: 2013년 12월 30일, 『성인을 위한 식생활지침 가이드북』.
강북구보건소 작성〮배포, 정보마당(정부3.0), 『생애주기별 영양』
보건복지부〮KNS 한국영양학회 작성, 보건복지부 발간, 발간등록번호: 11-1352000-001546-14『2015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요약본)』, 2015년
국가통계포털(kosis.kr)
통계청(kostat.go.kr)
네이버 (www.naver.com)
보건복지부(www.mohw.go.kr)
한국영양학회(www.kns.or.kr)
강북구보건소(ehealth.gangbuk.go.kr)
식품의약품안전처(www.mfd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