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인간 언어의 특성
1.1. 본질적 특성
1.1.1. 형식과 의미의 자의적 결합
인간 언어의 형식과 의미는 자의적으로 결합되어 있다"는 것은 인간 언어의 본질적인 특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모든 언어 기호는 음성적 형식과 그에 상응하는 의미가 결합된 것으로, 이 관계는 자의적이라는 것이다.
언어 기호에서 음성적 형식과 그 의미 간의 결합은 필연적인 것이 아니라 임의적이다. 같은 소리일지라도 언어마다 다른 의미로 쓰일 수 있으며, 반대로 동일한 의미라도 다른 발음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는 언어가 인간에 의해 임의적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영어의 'dog'와 한국어의 '개'는 서로 다른 음성적 형식을 가지고 있지만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반면에 영어의 'bay'와 '배'는 동일한 발음이지만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진다. 이처럼 언어 기호는 음성적 형식과 의미가 자의적으로 결합되어 있다는 것이 인간 언어의 본질적인 특징이다.
한편, 의성어나 의태어의 경우에는 음성적 형식과 의미 간의 관계가 다소 유사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완전히 필연적인 관계는 아니며, 일부 문화적 약속이 개입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인간 언어의 근본적인 특징은 여전히 음성적 형식과 의미의 자의적 결합이라고 할 수 있다.
1.2. 유기체적 특성
1.2.1. 공시태와 통시태
공시태와 통시태는 소쉬르가 제시한 언어 연구의 두 가지 접근 방식이다. 공시태란 어떤 특정 시점에서 언어가 보이는 안정적인 체계를 의미한다. 즉, 특정 시점에서의 언어의 모습을 관찰하고 기술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통시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언어의 변화 양상을 관찰하고 기술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쉬르는 언어학의 연구 대상을 공시태와 통시태로 구분하였다. 공시태는 특정 시점에서의 언어 체계를 이해하는 것이며, 통시태는 시간의 변화에 따른 언어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소쉬르에 따르면 언어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유기체와 같다. 공시태와 통시태는 언어 연구에 있어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공시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통시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통시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시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결국 공시태와 통시태는 언어에 대한 두 가지 상호보완적인 접근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언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특정 시점에서의 언어 체계를 이해하는 것과 더불어 시간의 변화에 따른 언어의 변화 과정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1.3. 규칙적 특성
1.3.1. 언어와 발화의 구분
소쉬르는 언어와 발화를 구별하였다"" 언어란 언어 공동체 속에서 통용되어지는 사회적이고 관습적인 규약을 지니고 있는 체계이다"" 이는 사회성과 체계성을 갖추고 있다"" 반면 발화란 규약의 체계로 하여금 개인이 이를 운용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의미하는데, 주로 구성원 개인이 언어를 쓰는 방식으로 이는 개인적인 특성과 변이성을 지니고 있다""
1.3.2. 언어능력과 언어수행
촘스키가 말한 언어능력이란 인간이 언어를 습득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는 선천적이고 심리적인 실재로 규칙과 연역적인 원리로써 구성되어진 체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