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st 생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최초 생성일 2024.12.29
6,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동아st 생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동아제약 박카스 분석
1.1. 기업 소개
1.2. 주요 사업군
1.2.1. 주력 제품
1.2.2. 신제품
1.3. 박카스 개요
1.3.1. 연혁
1.3.2. 해외 진출국가
1.4. SWOT 분석
1.4.1. 강점(Strengths)
1.4.2. 약점(Weaknesses)
1.4.3. 기회(Opportunities)
1.4.4. 위협(Threats)
1.5. 경영전략
1.5.1. 기업의 과거와 현재
1.5.2. 광고 및 홍보
1.5.2.1. 박카스 광고의 성공 포인트
1.5.2.2. 박카스 광고의 발전
1.5.3. 마케팅
1.5.3.1. 스토리텔링 마케팅
1.5.3.2. 박카스 국토대장정
1.5.4. 경영방식
1.6. 아시아 진출 전략
1.6.1. 광고 및 홍보
1.6.2. 마케팅
1.6.3. 경영방식
1.7. 유럽 진출 과제
1.7.1. 박카스 광고 전략
1.7.2. 유럽 진출 사례
1.8. 기업 비교
1.8.1. 동아제약(박카스)
1.8.2. 레드불
1.8.3. 비교분석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동아제약 박카스 분석
1.1. 기업 소개

동아제약은 1932년 창업주 강중희의 '강중희 상점'으로 종로구 중학동에서 의약품 도매상으로 출발한 국내 최대 제약업체이다. 1949년 8월 동아제약주식회사로 법인화한 이후 1961년 자양강장제 '박카스'를 출시하며 제약업계에 확실한 입지를 다졌다. 박카스는 1963년 드링크 타입으로 출시되었고, 과감한 마케팅 전략으로 1964년 드링크제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며 이후 놀라운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1965년 980만병이던 판매량이 1966년 3,100만병, 1970년 7,600만병으로 급증하였고, 1967년 이후 동아제약은 제약업계 1위 기업으로 부상하였다. 2008년까지 총 163억병이 판매되었으며, 박카스 병을 일렬로 세우면 지구를 49바퀴 이상 돌 수 있을 정도로 그 규모가 크다.


1.2. 주요 사업군
1.2.1. 주력 제품

동아제약의 주력 제품은 다음과 같다.

가그린은 동아제약의 구강청결제 제품으로, 구강 청결과 구취 제거에 효과적이다. 씨큐란은 일반의약품으로 발열, 통증, 염증 완화에 사용된다. 판피린은 동아제약의 또 다른 일반의약품으로 두통, 근육통, 생리통 등의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준다.

박카스는 동아제약의 대표적인 제품으로, 1961년 출시된 이래 건강기능성 음료 시장을 선도해왔다. 박카스는 자양강장제로, 피로회복과 체력증강에 효과적이다. 특히 타우린, 이노시톨, 비타민B군 등의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에너지 공급과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준다.

동아제약은 박카스 외에도 모닝케어라는 숙취해소제를 출시하여 음주 후 피로와 두통 완화에 도움을 줌으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니즈에 부응하고 있다.


1.2.2. 신제품

모닝케어 레이디 - 숙취해소 여자라면 피부에도 특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술을 많이 먹은 다음날은 메이크업이 잘 먹지 않거나, 뜨기 십상이다. 아무리 공들여 해도 피부가 푸석해져 광이 나거나 촉촉해 보이지 않는 법이다. 이럴 때는 피부까지 케어되는 성분으로 숙취해소를 하는 것이 좋다. 모닝케어 레이디 안에 함유돼 있는 히알루론산은 피부건조정도와 수분보유량을 개선해줘 술 먹은 다음날 푸석해진 피부를 보호해 준다. 뿐만 아니라 주름개선, 탄력증진, 각질제거의 효과까지 있어 숙취해소 뿐만 아니라 피부 관리에도 도움을 준다.


1.3. 박카스 개요
1.3.1. 연혁

1932년 12월, 동아제약의 전신인 '강중희 상점'이 서울시 종로구 중학동에서 의약품 및 위생재료 도매업으로 창업을 시작하였다. 1949년 8월, '동아제약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며 제약업으로 본격적으로 사업을 전개하였다. 1959년 9월, 사원 공개채용을 실시하였고, 1963년 8월 종합 자양강장제 '박카스D'를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1970년 2월, 주식을 공개하고 자본금을 7억 5천만 원으로 증자하였다. 1981년 7월, 박카스D를 미국에 처음으로 수출하기 시작하였다. 1995년 12월, 박카스 매출이 1,000억 원을 돌파하였고, 2002년 12월에는 제약업계 최초로 매출 5,000억 원을 달성하였다. 2011년 2월에는 제약업계 최초 매출 9,000억 원을 달성하였으며, 2014년 8월에는 국내 최초 동충하초 건강기능식품 '동충일기'를 출시하였다.


1.3.2. 해외 진출국가

동아제약 수출국은 필리핀, 중국, 미국, 러시아, 방글라데시,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몽골, 호주, 뉴질랜드, 가나, 나이지리아, 일본,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브라질, 콜롬비아, 싱가포르 등 40여개국에 달한다. 현재 박카스는 중국, 미국, 캄보디아, 필리핀 등 전 세계 18개 나라에 수출되고 있다. 2009년 해외매출 20억 원의 미비한 수준에서 시작해 지난 2013년 93.4% 증가한 305억 원을 기록하며 인기를 끌었다. 특히 2013년 캄보디아에서만 1억 캔 이상이 판매되며 280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지난해에는 3분기까지 해외매출이 340억 원으로 2013년 연간 매출을 뛰어넘었다. 동아제약 관계자에 따르면 캄보디아에서 박카스가 콜라보다 비싸게 판매되고 있음에도 매출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캄보디아의 노동 인구비율이 높아 피로회복제인 박카스가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캄보디아 현지 파트너사는 TV광고, 옥외 간판, 다양한 이벤트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2009년 캄보디아 진출 이후 5년 만에 350억대 외형(2011년 52억 원, 2012년 172억 원, 2013년은 266억)으로 성장했다.


1.4. SWOT 분석
1.4.1. 강점(Strengths)

동아제약의 강점(Strengths)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대표적인 제약기업이다. 동아제약은 1932년에 창업하여 9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자양강장제 '박카스'는 1961년 출시 이래 50년 이상 국민들에게 사랑받는 대표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이를 통해 동아제약은 제약업계에서 탄탄한 입지와 브랜드 인지도를 구축하고 있다.""둘째, 주력 제품인 '박카스'의 높은 인지도와 선호도를 보유하고 있다. 박카스는 국내외에서 유명한 피로회복음료로 알려져 있으며,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내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에너지음료 브랜드로 나타났다. 또한 박카스는 현지화 전략을 통해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등 아시아 국가에서도 인기를 끌며 해외 시장 공략에 성공하고 있다.""


1.4.2. 약점(Weaknesses)

동아제약의 약점(Weaknesses)은 다음과 같다.

대규모 투자로 인한 재무적 부담이 존재한다. 동아제약은 박카스를 비롯한 다양한 제품 연구개발과 해외 시장 진출에 지속적으로 투자를 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재무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 약점이다. 특히 중국, 동남아시아 등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한 마케팅과 유통망 구축에 많은 자금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 여성 의약품 시장 진출을 위해 바이엘의 피임약 제품을 인수하는 등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지면서 재무구조에 부담이 되고 있다.

제품군이 식품에 집중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다. 동아제약의 주력 사업은 자양강장제인 박카스와 구강제품 가그린 등 의약외품 및 건강기능식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제약회사로서 다양한 의약품 포트폴리오를 갖추지 못한 약점이 될 수 있다. 의약품 분야에 역량을 더 집중하여 자사의 핵심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수도권에 한정된 신속 배송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동아제약은 주요 제품인 박카스를 전국적으로 유통하고 있지만, 서울/수도권 지역에 집중된 물류 인프라로 인해 지방 지역에 신속한 배송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는 지방 거점 물류센터 확보 등 물류 네트워크 확대가 필요한 약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대형마트, 복합쇼핑몰 규제에 취약하다. 동아제약의 주력 제품인 박카스는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 다양한 유통채널을 통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대형마트와 복합쇼핑몰 규제로 인해 이들 유통채널에서의 제품 판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동아제약의 매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


참고 자료

박경원. ”중소기업 CEO의 경영방식에 대한 SWOT 분석과 발전전략 제안”
학위논문(석사) - 동아대학교 대학원 스마트생산융합시스템공학과 - 부산 : 동아대학교, 2019
한상인. “관계마케팅을 통한 고객만족경영에 관한 연구 : S 백화점의 실태를 중심으로”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마케팅전공 - 서울: 단국대학교, 2000
김설희. “융합 서비스 혁신을 위한 디자인 경영 구성요소 개발 및 실증분석 연구”
학위논문(박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문화예술경영학과 공연경영전공 -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주력 제품 출처 : 동아제약 홈페이지
http://www.dapharm.com/B02.da?method=productList&itcl=003
신 제품 출처 : 동아제약 홈페이지
http://www.dapharm.com/B02.da?method=productList&itcl=001
최근 기업 이슈 출처 : 뉴스웨이, 박카스 홈페이지
http://news.newsway.co.kr/view.php?tp=1&ud=2015050716444340061&md=20150508075518_AO
유로저널 http://eknewsnet.blogspot.kr/2009/07/blog-post_5736.html
http://www.dapharm.com/Pass.da?viewPath=/b01/introduction
드링크제 <박하스> 광고디자인의 변천에 대한연구. 김정연 kim, jungyeon.
경영전략 출처 : 동아제약 홈페이지
http://healthcare.joins.com/master/healthmaster_article.asp?Total_ID=8332802
http://news.kbs.co.kr/news/NewsView.do?SEARCH_NEWS_CODE=2809868 - 박카스 관련 뉴스
박카스
http://www.bacchusd.com/main.jsp
레드불 성분의 비밀, 박카스 보고있나?
http://it.news.danawa.com/News_List_View.php?sMode=shopping&nSeq=2008159&nBoardSeq=63&auth=1
레드불 - 바이럴 마케팅
http://blog.naver.com/gitano861/140126833475
http://www.ciokorea.com/news/24601
레드불 - 스포츠 마케팅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41004010002028
박카스, 레드 불 비교
http://www.bacchusd.com/main.jsp
http://energydrink-kr.redbull.com/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