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의료폐기물 관리 현황
1.1. 의료폐기물의 정의와 중요성
의료폐기물이란 보건, 의료기관, 동물병원, 시험·검사기관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인체에 감염 등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폐기물과 인체 조직의 적출물, 실험 동물의 사체와 같이 보건·환경보호상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폐기물을 의미한다. 이는 일반 폐기물과는 달리 감염성 및 유해성 폐기물을 포함하고 있어 2차 오염의 우려가 존재한다.
의료폐기물의 적절하지 않은 보관 및 처리는 결핵균, 간염 바이러스 등의 전파를 통해 감염 사고의 위험성을 높인다. 또한 의료폐기물의 처리비용은 일반 폐기물에 비해 매우 높기 때문에, 의료폐기물의 발생량이 증가할수록 병원의 재정적 부담이 가중된다. 따라서 의료폐기물의 관리는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지키고, 환경오염을 예방하며, 의료기관의 재정적 손실을 막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 국내 의료폐기물 배출량 현황
국내 의료폐기물 배출량은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7년 의료폐기물 배출량은 207천 톤으로 2013년도의 144천 톤에 비해 43.7% 증가하였다. 이는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의료 이용이 많아졌으며, 실버산업 발달 등으로 인하여 의료시설 및 의료폐기물 발생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더불어 일반 폐기물로 배출될 수 있는 포장재, 종이류, 플라스틱류 등이 의료폐기물로 혼합되어 배출되고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특히 한국의료폐기물공제조합에 따르면 일반쓰레기통에 잘못 버려지는 의료폐기물의 90% 이상이 알코올 솜이라는 결과가 있다. 이처럼 국내 의료폐기물 배출량의 지속적인 증가와 더불어 적절한 분리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1.3. 의료폐기물 관리의 문제점
의료폐기물 관리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폐기물과 의료폐기물의 혼합 배출이 문제점이다. 환자들은 의료폐기물과 일반쓰레기를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휴지나 알코올 솜과 같은 일반쓰레기가 의료폐기물 지정용기에서 발견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폐기물과 일반폐기물의 혼합 배출은 감염 위험을 높일 뿐만 아니라 의료폐기물 처리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둘째,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인식 및 교육 부족이 문제점이다. 감염관리팀의 방문을 통해 확인한 결과, 일부 병동에서 의료폐기물 관리 위반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었다. 이는 의료진들이 의료폐기물 관리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병원 내에서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한 실정이다.
셋째, 의료폐기물 배출량 증가에 따른 관리 문제가 있다. 국내 의료폐기물 배출량은 최근 2017년 207천 톤으로 2013년도의 144천 톤에 비해 43.7% 증가하였다. 이는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와 인구 고령화로 인한 의료 이용 증가, 실버산업 발달 등으로 인해 의료시설 및 의료폐기물 발생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에 따른 적절한 관리 체계 및 처리 능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넷째, 법적 규제 및 관리 감독 미비가 문제점이다. 현재 의료폐기물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거나 허가를 받지 않고 수거하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받게 되지만, 실제로 일반 폐기물로 배출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관계 기관의 지도·점검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지속적인 관리 및 감독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와 같이 의료폐기물 관리에는 다양한 문제점이 존재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2. QI 활동 정의
2.1. 주제선정의 필요성
의료폐기물이란 보건, 의료기관, 동물병원, 시험·검사기관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인체에 감염 등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폐기물과 인체 조직의 적출물, 실험 동물의 사체와 같이 보건·환경보호상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폐기물을 말한다. 병원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은 일반폐기물과는 달리 감염성 및 유해성 폐기물을 포함하고 있어 2차 오염의 우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