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경영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기업윤리 개요
2.1. 기업윤리의 개념과 중요성
2.2. 기업윤리 관련 사례 검토
3. 기업윤리 실천방안
3.1. 윤리경영 조직 및 제도 구축
3.2. 윤리의식 고취와 교육 강화
3.3. 상생협력과 사회공헌 강화
4. ESG 경영과 기업윤리
4.1. ESG 경영의 개념과 의의
4.2. ESG 경영 사례와 시사점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오늘날 수많은 기업은 존재하고 있으며, 기업의 목표는 다양하다. 과거 대부분의 기업은 단순히 이윤만을 추구하는 기업이었지만, 이에 대한 문제와 경각심이 생기면서 변화가 요구되었다. 기업이 이윤만을 추구하게 되면 생기는 문제는 너무나 많았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 문제를 결국 정부가 해결해야 함으로써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은 이윤 추구뿐만 아니라 국민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게 되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업은 생산물의 분배와 생산물을 만들어내는 곳에 대한 운영을 총체적으로 맡고 있어 경제 과정의 중심 주체 중 하나이다. 이렇듯 기업은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면서 사회적인 책임을 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기업윤리가 주목받게 된 것이다. 기업윤리는 기업의 행보와 경영을 투명성, 공정성이라는 가치 아래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인도하는 기준이자, 기업이 지속 성장하기 위해 지켜야 하는 약속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레포트에서는 기업윤리에 대해 살펴보고, 기업윤리의 중요성과 실천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2. 기업윤리 개요
2.1. 기업윤리의 개념과 중요성
기업윤리는 "기업 활동과 관계되는 행위를 개인 또는 기업차원에서 결정할 때에 선과 악을 구분하는 기준"이다. 즉, 기업윤리는 일반적인 윤리규범에서 벗어나는 새로운 개념이 아니라 기업경영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적용될 수 있는 실용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기업윤리는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며 윤리적으로 올바른 행동을 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기업은 법적, 윤리적, 사회적 측면에서 책임을 다하고, 제도와 교육 등을 마련하여 실행해야 한다.
기업윤리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윤리의 준수는 기업이 사회적 정당성을 획득하는 기반이 된다. 기업의 역할과 활동이 사회로부터 수용되어야 기업이 생존하고 성장할 수 있다. 둘째, 기업윤리의 준수를 통해 장기적으로 질적인 경영성과와 조직 유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셋째, 기업윤리는 조직 구성원들의 행동규범을 제시하고, 인간 또는 건전한 시민으로서의 윤리적 성취감을 충족시켜 준다. 즉, 기업윤리는 기업의 경쟁력을 실질적으로 강화시키는 필수 요소이며,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핵심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2.2. 기업윤리 관련 사례 검토
코오롱그룹은 체계적인 윤리경영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해왔다. 2005년부터 '찾아가는 윤리경영'을 모토로 윤리규범을 재정비했으며, 윤리행동지침을 별도로 마련하여 임직원들에게 전파하고 있다. 또한 2년마다 전 그룹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윤리경영 교육을 의무화하는 등 윤리의식 제고에 힘써왔다. 특히 2011년에는 교육용 윤리경영 드라마를 직접 제작하여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이와 더불어 매년 설과 추석 명절에 선물 안 받기 캠페인을 전개하며, 감사협의회를 구성하여 상시적인 일상 감사 체계를 수립하는 등 윤리경영 실천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코오롱그룹은 또...
참고 자료
기업소개 코오롱그룹 [Kolon Group] (기업사전, 2011.8.5, 굿모닝미디어)
상생, 공존 경영관련 내용 미비.
http://blog.daum.net/so-jin5453/11
http://blog.naver.com/wingmir?Redirect=Log&logNo=40169093054
http://blog.joins.com/media/folderlistslide.asp?uid=cch97&folder=2&list_id=10062992
실제적이고 실효성 있는 윤리경영의 재고
위키백과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 체육관 붕괴 사고
윤리경영(탑북스-최만기·김영복 공저)
류충열, 발등의 불이 된 ESG 경영, 뒤돌아봐야 하는 이유, HIT NEWS, 2022.12.16.,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35#:~:text=%EC%9E%98%20%EC%95%8C%EB%A0%A4%EC%A7%84%20%EA%B2%83%EC%B2%98%EB%9F%BC%20ESG%EB%8A%94,%ED%95%98%EB%8A%94%20%EB%93%B1%EC%9D%98%20%EB%B9%84%EC%9E%AC%EB%AC%B4%EC%A0%81%EC%9D%B8)
기업윤리, 현대 글로비스,
(https://www.glovis.net/Kor/ethical/contentsid/172/index.do)
이상석 교수, 기업윤리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대, 2021.02.27.,
(https://leesangseok.com/entry/%EA%B8%B0%EC%97%85-%EC%9C%A4%EB%A6%AC%EC%9D%98-%EC%A4%91%EC%9A%94%EC%84%B1%EC%9D%B4-%EB%B6%80%EA%B0%81%EB%90%98%EB%8A%94-%EC%8B%9C%EB%8C%80-%EC%B0%A9%ED%95%9C-%EA%B8%B0%EC%97%85%EC%9D%B4-%EB%8F%88%EC%9D%84-%EB%B2%88%EB%8B%A4)
김성인, SPC ‘파리바게트’ 노동자 사망, SPL 샌드위치 라인 재가동 합의서 강요, SportW, 2023.03.03.,
(https://www.sportsw.kr/news/newsview.php?ncode=1065573214039264)
홍용희(2010),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한국의 기업윤리”, 윤리연구 제79호.
황수현 외(2011),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충성도에 있어서 신뢰의 역할”, 한국기업경영학회.
김영신 외(2011). "글로벌 시대 윤리경영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연구"윤리교육연구 제26집.
김해룡 외(2010). 'CSR 활동의 적합성과 CSR 연상: 종업원 동일시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심재경, 윤리경영의 실천과 정착방안에 관한 연구, 강릉대학교, 국내석사 2008.
국민권익위원회(2011). 반부패 지표 중심의 윤리경영보고서 표준안
박소윤 외(2011).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소비자의 귀인, 지각 그리고 반응”, 경영학연구.
이명환 외(2008). “윤리경영과 지원시스템”, 21세기 북스.
이종영(2005). 기업윤리. 삼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