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공정

  • 1
  • 2
  • 3
  • 4
  • 5
  • 6
  • 7
  • 8
>
최초 생성일 2024.12.20
7,2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동북공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동북공정(東北工程)의 의미와 내용 및 배경
1.2. 문화공정(文化工程)의 의미와 사례

2. 동북공정(東北工程)의 의의와 중국의 전략
2.1. 고구려, 발해 역사 왜곡
2.2. 중국의 동북 지역 영토 확장 시도

3. 동북공정(東北工程)에 대한 대응 방안
3.1. 고구려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남북한 및 국제공조
3.2. 간도 영유권 문제 인식과 간도 연구의 활성화
3.3. 동북공정의 국제화, 정보화 및 대중화

4. 문화공정(文化工程)에 대한 대응 방안
4.1. 왜곡된 문화재에 대한 바른 역사 인식 확립
4.2. 한국 고유문화의 대외 홍보 강화

5. 북한의 입장과 남북협력의 필요성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동북공정(東北工程)의 의미와 내용 및 배경

동북공정(東北工程)의 의미와 내용 및 배경은 다음과 같다.

동북공정이란 2001년 6월 중국 정부가 동북 3성인 랴오닝 성(遼寧省), 지린 성(吉林省), 헤이룽장 성(黑龍江省)의 역사와 문화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겠다는 프로젝트를 의미한다. 중국은 동북공정 추진을 위해 2002년부터 5년간 약 3조원을 투입하기로 하고, 3성의 성 위원회가 사회과학원과 연합해 동북공정 사업을 추진했다.

동북공정의 주요 내용은 크게 여섯 가지이다. 첫째, 고구려는 중국 땅에 세워졌다는 주장이다. 둘째, 고구려는 중국의 지방 정권이었다는 것이다. 셋째, 고구려 민족은 중국 고대의 한 민족이라는 주장이다. 넷째, 고구려와 수나라, 당나라와의 전쟁은 중국 국내 전쟁이었다는 것이다. 다섯째, 왕씨 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가 아니라는 주장이다. 마지막으로, 한반도 북부의 북한 지역도 중국의 역사라고 주장한다.

중국이 동북공정을 추진하는 배경에는 크게 세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한반도의 형세 변화, 즉 남북통일이 동북지구의 조선족 사회에 초래할 혼란을 사전에 막기 위한 필요성이다. 둘째, 간도(間島)를 영원히 중국 땅으로 만들기 위함이다. 셋째, 중국은 동북공정, 서북공정, 서남공정, 남방공정 등의 역사왜곡을 통해 동아시아의 패권을 잡기 위한 것이다.


1.2. 문화공정(文化工程)의 의미와 사례

문화공정이란 한국의 다양한 전통 문화들을 중국이 자신들의 문화로 왜곡시키려고 하는 프로젝트이다. 중국은 김치, 태권도, 한복, 삼계탕 등 다양한 한국의 문화를 자기들의 문화로 둔갑시키려 하고 있다.

가장 최근의 문화공정 사례는 2022년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에서 나타났다. 개막식 중 한 여성이 분홍색 치마와 흰색 저고리의 한복을 입고 나와 논란을 일으켰다. 전 세계인이 모이는 평화와 화합의 장인 올림픽에서 문화공정을 일삼는 중국의 모습은 한국인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었다.

중국의 문화공정은 '통일적 다민족 국가론'이라는 논리로 국가통합을 내세우며, 한국인들의 역사적·문화적 자신감을 훼손시키고 문화의 영역에서 한국과 경쟁자로 나서고자 하는 의도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복의 경우 중국은 자신들의 전통의복인 한푸(漢服)의 일종으로 왜곡시키고 있다. 또한 김치를 중국 고유의 발효식품인 파오차이(泡菜)로 규정하고 있으며, 삼계탕 또한 중국의 오랜 광동식 요리라고 주장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아리랑의 경우에도 중국은 조선족 문화의 일부라고 주장하며 자신들의 것으로 만들려 하고 있다. 또한 태권도 역시 중국 당나라 시대부터 있었던 무술이라고 주장하며 한국과의 관련성을 부정하고 있다.

이처럼 중국은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 유산들을 자신들의 것으로 포섭하려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 학계와 정부는 해당 문화재들에 대한 바른 역사 인식을 확립하고, 한국 고유문화의 대외 홍보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2. 동북공정(東北工程)의 의의와 중국의 전략
2.1. 고구려, 발해 역사 왜곡

고구려와 발해 역사 왜곡은 중국이 동북공정(東北工程)을 통해 자행하고 있다. 중국은 고구려와 발해가 자국의 역사 범주 안에 있다고 주장하며, 이들 두 지방정권을 중국의 소수민족 정권으로 규정하고 있다.

중국은 고구려가 "서한 현도군 고구려현 경내의 변강민족이 수립한 소수민족 정권"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고구려가 중화민족의 역사 범주에 속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중국은 발해를 중국으로부터 책봉 받은 말갈족 정권이라고 왜곡하고 있다. 실제로 발해는 당나라로부터 책봉을 받았지만, 이는 주변 국가와의 외교적 관계 형성을 위한 형식적인 절차에 불과했다. 그러나 중국은 이를 근거로 발해가 중국의 지방정권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외에도 중국은 만리장성의 동단(東端)을 백두산 부근까지 확장시키려 하고 있다. 실제로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만리장성의 동쪽...


참고 자료

SERICEO - 고대사 숨은 이야기, 네이버지식백과, 나무위키 검색, 문성숙(2007), 동북공정의 실체와 한국의 정책방안 p.60~82, 최연희(2014), '동북공정'의 고구려사 왜곡과 역사 교육적 대응 방안p.32~40, ‘간도는 어느 나라 영토인가’(경향신문, 2005. 2.16), ‘간도는 우리 땅입니다’(경향신문,2004. 2. 9)
신형식, 고구려는 중국史인가 : 중국의'동북공정' 무엇이 문제인가, 백산자료원, 2004, pp.218-223.
여운건, 동북공정, 알아야 대응한다 : 우리 강역 변천사, 한국우리민족사연구회, 2006. pp.337-343
박선영, 동북공정과 한국학계의 대응논리, 여유당, 2008, pp.73-76.
방향숙, 중국의 동북공정 논리와 그 한계, 국사편찬위원회, 2004, pp.154-159
조아라, 중국의 신(新)동북공정(문화공정)에 대한 한국의 대응, 경영컨설팅연구, 21(3), pp. 395-406.
배성준, 한중의 간도문제 인식과 갈등구조, 동양학, 2016, pp.339-357.
조의행, 중국 동북변강정책과 문화공정, 국제정치연구, 2012, pp.47-69.
이기헌, 중국의 역사 왜곡 실태 분석을 통한 초등 역사 교육에의 적용(석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pp.13.
김현숙. 동북공정 이후 북한의 고구려사 연구동향, 한국국학진흥원, 21, pp. 309-356.
조법종. 동북공정의 실상과 대응 방안, 기러기, 2004, pp. 215.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