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4개
-
시대별 메이크업2025.03.201. 시대별 메이크업 1.1. 삼국시대 1.1.1. 신라 신라에서는 일찍이 백분(白粉)과 같은 화장품이 제조되었고, 화장이 행하여졌다. 일본 고문헌에 의하면, 신라의 승려가(서기 622년) 일본에서 연분(鉛粉)을 만들었기에 상을 준 기록이 있다. 팥, 녹두를 가루로 내어 세제로 사용하였으며 콩이나 팥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향료를 사용하였고, 동백이나 아주꽈리 기름으로 머리손질을 하였다. 또한 분꽃 씨 가루나 활석가루 등으로 분을 만들어 물에 개어 얼굴에 발랐으며, 나무 재를 개어 눈썹을 그렸다. 이처럼 신라에서는 백색 피부를...2025.03.20
-
고려 북진정책2025.02.031. 고려의 건국과 북진정책 1.1. 고려의 성립과 민족 재통일 고려는 태조 왕건에 의해 건국되었다. 태조는 고구려계 호족 세력의 지지를 받아 중부지방에서 점차 세력을 확장하며 고려를 세웠다. 고려 초기 고구려계 호족 세력들이 많은 활약을 하였는데, 이들은 왕건을 지지하면서 고구려의 정통을 이어가고자 하였다. 태조 왕건은 고구려의 옛 수도인 평양을 중요하게 여겼다. 태조는 평양을 북진정책의 기지로 삼았고, 평양 대도호를 고려의 수도 개경과 짝하는 서경이라 불렀다. 평양에는 정치·행정·군사·교육 등의 체제가 갖추어졌으며, 고구려...2025.02.03
-
한국사의 이해 삼국 발전 과정 및 향가 고려가요 차이 분석2025.01.311. 한국사의 이해 1.1. 단군신화와 고조선 성립 청동기시대 요동과 한반도 서북부 지역에는 예족과 막족이 거주하였다. 기원전 10세기부터 7세기까지 이 지역에서 비파형 청동 도검과 고인돌 등이 발견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군장 사회를 통합한 최초의 국가 고조선이 등장하였다. 단군신화에 따르면, 하늘신 환인의 아들 환웅은 천하를 다스리기 위해 3천 명의 무리를 이끌고 태백산 꼭대기에 내려왔다. 그리고 그곳을 신시라 칭하며 풍백, 우사, 운사 등을 거느리고 곡식, 생명, 질병, 형벌, 선악 등 인간의 360여 가지 일을 주관하여 ...2025.01.31
-
뿌리깊은 한국사2024.11.091. 한국사 인물의 재평가 1.1. 의자왕 재평가 1.1.1. 의자왕 선정 이유 의자왕을 재평가되어야 하는 인물로 선정한 이유는 의자왕의 시대에 고구려와 여제동맹을 결성하여 신라를 거세게 밀어붙였고, 강력한 중앙 집권 국가가 아닌 귀족 중심 사회였던 백제에서 왕권을 강화하려고 힘썼기 때문이다. 물론 말년에 초반과 다른 인물이 되어 망국의 군주가 되었기도 하지만 또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기에 망국의 군주였던 의자왕에 대한 기록이 안 좋게 기록되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이 저자에게는 흥미로워서 의자왕에 대해 다시 알아보고 평가하...2024.11.09
-
한국육류의 역사이야기2024.11.091. 한국 육류 문화의 역사 1.1. 서론 최근 폭등하는 물가로 인해, 식재료에 대한 소비의 부담이 커지며 삼겹살 한 근이 폭등한 물가를 상징하는 일이 나타나기도 한다. 경제 발전의 위축은 자연스레 서민의 지갑을 얇게 만들고 있다. 언제부터 삼겹살이 우리의 생활지표를 나타내게 되었을까. 사실, 삼겹살은 저렴하게 서민들이 육류를 즐길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위였다. 사람들이 착각하는 것 중 하나가 우리나라는 일본처럼 육류를 그리 즐기지 않으며, 채식 위주의 식단만을 해왔다는 것인데, 이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아마도 조선시대 농경 중심...2024.11.09
-
요고와장고의역사2024.10.031. 요고와 장고의 역사 1.1. 요고의 의미 요고(腰鼓)는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 시대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타악기로, 세요고(細腰鼓)라고도 한다. 크기가 매우 작으며 몸통 양편에 북면이 달려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연주자는 이 몸통을 무릎 위에 올리고 앉아 연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요고는 2014년 진도 앞바다에서 최초로 발굴되었고, 2017년에는 세종시에서 백제의 요고가 출토되어 그 사용이 적어도 5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요고는 삼국시대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던 악기였던 것으로 보인다....2024.10.03
-
한국의 역사 선사시대2024.10.251. 선사시대와 국가의 형성 1.1. 선사시대의 세계 1.1.1. 인류의 기원 인류의 기원은 약 300만 년 전에 출현한 오스트랄로피테쿠스로부터 시작된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아프리카 남부와 동부에서 발견된 최초의 인류 조상으로, 서로 다른 여러 종류가 있었다. 이들은 아직 직립보행을 완전히 하지 못했지만 이빨과 뇌용량이 원숭이보다 컸다. 이후 약 200만 년 전에 호모 하빌리스가 등장했다. 호모 하빌리스는 현대인과 유사한 직립보행을 하고 첫 번째로 돌 도구를 사용했다. 이러한 도구 제작 능력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구석기 문화...2024.10.25
-
유도의 역사2024.10.301. 유도의 역사 1.1. 유도의 기원 유도의 기원은 정확한 시기와 창시자를 알 수 없으나, 우리나라의 고유한 무술로 알려진 '수박'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고구려 시대 산상왕(A.D. 197~226)때의 왕도였던 환도성 각저봉 현실의 벽화에 맨손으로 겨루는 장면이 그려져 있는 것으로 보아, 고대부터 우리나라에서 유사한 형태의 무술이 발전해왔음을 알 수 있다. 고려 시대에 이르러서는 이 무술이 '수박' 또는 '각저'라 불리며 성행했고, 특히 고려 제15대 숙종왕(1097~1106)대에는 일종의 정재(呈才)로 음악과 더불...2024.10.30
-
유도 역사와 규칙 분석2024.10.301. 유도의 역사 1.1. 한국에서의 유도 기원설 1.1.1. 수박(手搏) 수박(手搏)은 고구려 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던 한국 고유의 무술로서, 맨손으로 상대를 공격하고 방어하는 격투기의 일종이었다. 수박이라는 명칭은 "손으로 치고 싸움"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무용총의 고구려 벽화에서 확인되듯이, 수박은 3세기경부터 이미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에 들어서는 무인 계층에 의해 크게 장려되어 성행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인종왕 시기에는 무인의 세력이 강해지면서 군사들의 상례로 수박이 장려되었다고 한다. 또한 매년...2024.10.30
-
삼국사기원문2024.10.301. 고대 한국문화와 문학 1.1. 고조선의 문화와 전통 1.1.1. 단군과 고조선 건국신화 고조선은 단군에 의해 건국되었다고 전해진다. 고조선의 건국 신화에 따르면, 환인의 아들 환웅이 하늘에서 내려와 태백산 신단수 아래에 도착하였다. 그곳에서 웅과 범이 같은 굴에서 살고 있었는데, 환웅은 그들에게 마늘과 쑥을 주면서 사람이 되게 해주겠다고 하였다. 웅은 이를 먹고 21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은 끝에 여자로 변하게 되었지만, 범은 제대로 지키지 못해 사람이 되지 못했다. 웅녀는 단군 왕검과 결혼하여 아들을 낳았고, 이 아들이 ...2024.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