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제왕절개 분만
1.1. 제왕절개 분만의 정의 및 현황
제왕절개 분만은 산모의 복벽과 자궁벽을 절개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외과적 수술법이다. "Cesarean"이라는 용어는 라틴어 "caedere"에서 유래되었으며, 영어 "cut"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제왕절개 분만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해왔다. 1960년대 4%였던 것이 2004년도에 38.1%, 2017년도에는 45.0%로 크게 늘어났다. 이러한 제왕절개 분만율 상승은 태아전자감시기의 확산, 마취 및 외과적 간호의 안전성 증가, 반복 수술의 증가, 고령산부의 비율 증가 등과 관련이 있다. 산부와 태아의 안녕이 위협받을 때 또는 분만지연으로 인해 위험이 고조될 때 신속한 태아 만출이 필요한 경우 제왕절개 분만이 선택된다.
제왕절개 분만은 질식분만에 비해 모성사망률이 2-4배 더 높고, 이환율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왕절개술 후에는 출혈, 마취 부작용, 장기 상해, 감염 등과 같은 외과적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자연분만에 비해 입원기간이 길고 회복에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 또한 제왕절개로 태어난 아기는 면역력이 낮고 알레르기 위험도가 높다. 그러나 최근 들어 제왕절개 분만률이 계속 높은 편이다.
1.2. 제왕절개 분만의 적응증 및 금기증
제왕절개 분만의 적응증 및 금기증은 다음과 같다.
제왕절개 분만의 적응증은 아두골반 불균형, 자궁기능부전, 과거 제왕절개 분만 경험, 이상 태위, 산전 출혈, 과거 난산으로 인한 연조직 손상, 고혈압성 질환, 유도 분만 실패, 자궁 수술 경험, 35세 이상 고령 산모, 산모의 수술 요구, 유도분만 실패, 생식기 음부포진 감염, 모체 당뇨병 및 합병증 등이다. 이러한 경우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위해 제왕절개 분만이 필요할 수 있다.
반면 제왕절개 분만의 금기증에는 태아사망, 미숙아 등이 해당된다. 태아사망이나 미숙아의 경우 제왕절개 분만보다는 자연분만이 더 적절할 수 있다.
제왕절개 분만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위해 필요한 경우 선택되는데, 자연분만이 어려울 때 산모와 태아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해 시행된다. 하지만 금기증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제왕절개 분만을 시행하지 않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1.3. 제왕절개 분만의 종류
제왕절개 분만의 종류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고전적 제왕절개술(classical cesarean section)은 자궁체부에 수직절개를 하는 수술방법이다"" 이 방법은 태아 만출을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이점 때문에 과거 수술로 인한 복부유착이 있는 경우와 태아가 횡위인 경우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응급분만 시 태아를 급히 만출하고자 할 때 흔히 사용된다"" 하지만 자궁근육의 큰 혈관이 절단되므로 혈액손실이 증가하며 자궁근이 정중선 절개로 인해 허약해지므로 차후 분만할 때 반흔으로 자궁이 파열될 위험이 증가한다""
둘째, 하부 제왕절개술(lower segment cesarean section)은 가장 흔히 사용하는 방법으로 치구 수준에서 피부를 횡으로 자궁하부를 수평으로 절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절개부위의 회복이 쉬우며 피부절개선은 차후 치모에 의해 은폐되기 때문에 비키니 절개라고도 한다"" 자궁하부절개의 장점은 자궁하부가 자궁체부에 비해 얇기 때문에 혈액손실이 적고 합병증도 거의 없으며 차후 질분만 시 자궁 근무력 및 반흔으로 인한 자궁파열의 위험, 수술 후 복부팽만이 적게 생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