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학습자가 거주하고 있는 마포구의 지역사회문제 중 최근에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문제를 선정하고 거시적 실천방법으로서의 지역사회복지실천과정으로 문제와 표적집단의 이해, 지역사회의 장점과 문제분석, 개입전략을 제시하시오. <방법> 1. 지역사회복지영역에서의 최근 가장 중요한 문제를 선정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최근의 신문기사 등을 인용하는 등 문제선정이유를 기술하시오. 2. 선정한 문제를 지역사회복지실천과정의 거시적 준거틀을 기준으로 ① 문제와 표적집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풍납토성 문제
2.1. 문제 선정 및 이유
2.2. 지역사회 문제와 표적집단의 이해
2.3. 지역사회의 장점과 문제 분석
2.4. 개입전략 개발 및 제시
3. 외국인 화합 문제
3.1. 문제 선정 및 이유
3.2. 문제와 표적집단에 대한 설명
3.3. 지역사회의 장점과 문제 분석
3.4. 개입전략 개발 및 제시
4. 출생 미등록 아동 조사
4.1. 문제 선정 및 이유
4.2. 지역사회의 장점과 문제분석 (표적집단)
4.3. 출생신고 및 아동복지 개입전략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개인의 삶의 터전이자 사회복지 실천 영역인 지역사회는 사회구성원 개개인의 복지적 안녕과 삶의 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사회복지를 실천하는 주체들은 지역사회복지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실현하는 데에 있어서 사회복지사의 기능은 매우 중요한데, 그중에서도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문제를 식별하고 이를 적합한 과정을 거쳐 개입전략을 수립하는 역량은 지역사회의 복지 수준을 개선하는 데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사회복지사는 이 부분에 관련된 실천적, 지적 역량을 갖추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나는 지난 지역사회복지론 교과과정을 통해서 지역사회복지 실천과정의 세부 사항을 학습한 바 있고, 그중에서도 위에서 언급한 거시적 실천방법으로써 개입전략을 수립하는 부분에 깊은 인상을 받은 바 있으므로 이하의 본문에서는 내가 거주하는 지역사회의 문제와 표적집단의 이해, 지역사회의 장점과 문제분석, 개입전략을 기술함으로써 사회복지사에게 필요한 역량을 제고해보도록 하겠다.
2. 풍납토성 문제
2.1. 문제 선정 및 이유
서울시 송파구에 위치한 풍납토성은 1997년도에 백제 시대 유물이 발굴된 이후 20년 넘게 재건축과 재개발이 중단된 상태이다.""이로 인해 지역주민과 지자체, 문화재청 간의 갈등이 지속되어 왔으며, 노후화된 건물로 인해 일부 구역은 슬럼가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풍납토성 문제는 지역사회구성원의 재산권과 기본권을 장기간 침해해온 사안이기에, 최근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지자체와 주민들의 노력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따라서 본 과제에서는 풍납토성 문제를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관점에서 다루고자 한다.""
2.2. 지역사회 문제와 표적집단의 이해
지역사회 문제와 표적집단의 이해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다.
1997년 풍납동 일부 구역에서 백제 유물이 발굴된 이후 건축 규제가 발동하여 20년 넘게 재건축 및 재개발이 멈춘 상태이다. 현재까지도 이를 해제할 법적 근거가 없어 풍납동 주민의 상당수가 기본권과 재산권을 침해받고 있다. 문제 상황을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초기 시점과 최근 시점의 문헌 검토가 필요하며, 통계청 자료 등을 활용하여 규모와 실태를 파악해야 한다. 과거 관련 사례로는 일본의 '나니와노미야', '요시노가리' 등이 있다.
표적집단은 풍납토성 규제구역에 거주하는 2만4천여 명의 지역사회 구성원이다. 이들에 대한 이론적 검토는 프로그램 이론을 기반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과거 지자체 인사와 표적집단이 문제해결을 위해 노력한 것과 그 결과를 분석하고 관련 자료를 수집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1997년 이후 20년 넘게 지속되고 있는 이 문제로 인해 표적집단인 2만4천여 명의 지역사회 구성원들은 기본권과 재산권을 침해받고 있으며, 일부 구역은 슬럼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3. 지역사회의 장점과 문제 분석
풍납토성 부근 건축 규제...
참고 자료
지역사회복지론 교안
최선주 외 2인, 2001, <풍납토성지역 장기 보전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조선일보, <백제유물 나온뒤 개발 20년 올스톱… 풍납토성 규제 놓고 충돌>,
https://www.chosun.com/national/regional/seoul/2023/03/24/DWPDTVYL6JCJBBT4YTXYMXBANU/?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서울신문, <풍납동 주민들의 눈물, 누가 닦아 줘야 하나/서강석 서울 송파구청장>,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8
서울특별시, 2022, <풍납동 토성 일대 도시재생활성화계획 고시>, 서울시보 제3791호
문화관광위원회 수석전문위원실, 2000, <풍납토성 관련 사항 정리>
오정우 기자. 2022.03.02. ‘국민대통합’ 마지막 퍼즐 ‘외국인’이 말하는 통합의 현실[전지적 외국인 시점]. 쿠키뉴스 http://www.kukinews.com/newsView/kuk202202230243
안상철기자. 2022.03.17. 안산시, 다문화마을특구 인프라 개선사업 추진. 이뉴스투데이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55617
지역사회복지론 교안 17강. 지역사회복지의 거시적 실천의 방법
[뉴시스] 성남시, 출생 미등록 아동 찾는다…주민등록 사실조사- 신정훈기자, 2023.07.24.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1991748?sid=102
[연합뉴스] 출생미신고아동 2천123명 중 249명 사망 확인…814명 수사중- 김병규기자, 2023.07.18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074026?sid=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