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설교의 본질과 형태
1.1. 설교의 정의와 유형
1.1.1. 설교자의 정체성
설교자의 정체성은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첫째, 설교자는 "말씀의 전령(Herald)"이다. 마치 어떤 왕이 자신의 전령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듯이, 하나님께서 인간의 언어를 통해 인간의 언어로 말씀하시는 것을 의미한다. 전령은 좋은 메시지를 위한 투쟁과 교리에 대한 변증으로 회중을 설득하려 하기보다는 성경을 통해 받은 메시지를 단순하고 확신 있게 전한다. 이러한 전령의 이미지는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단순함과 확신을 강조하지만, 청중과의 커뮤니케이션에 약점을 갖고 있다."둘째, 설교자는 "목양자(the Pastor)"이다. 목양자는 회중들과의 만남을 중시하며, 자신의 스타일과 인품, 특성, 경험 등 목양적이고 치유적인 면을 강조한다. 청중을 돌보는 데에 신경을 쓴다. 그러나 목양자적 설교자의 약점은 교회가 마땅히 수행해야 할 사명을 전달하는 데 약하다는 것이다. 과거에 집중하다 보면 현재와 미래를 경시할 수 있다."
1.1.2. 전령, 목양자, 이야기 전달자, 증언자
전령(Herald)은 어떤 왕이 자신의 전령의 입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과 같이, 하나님께서 인간의 언어를 통해 인간의 언어로 말씀하시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님의 뜻을 전하는 전령의 메시지를 듣는 회중은 믿음으로 듣고 깨닫는다. 전령은 좋은 메시지를 위한 투쟁과 교리에 대한 변증으로 회중을 설득하려 하기 보다는 성경을 통해 받은 메시지를 증거하는 것에 충실하려 한다. 전령의 이미지는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단순하고 확신에 찬 태도를 강조하지만, 청중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에는 약점이 있다."
목양자(the Pastor)는 회중들과의 만남을 중시한다. 목양자의 스타일과 인품, 특성, 경험 등 목양적이고 치유적인 면을 강조한다. 청중을 돌보는 일에 신경을 쓴다. 그러나 회중을 지나치게 개인적인 문제를 해결받는 안식처로만 인식하게 하다 보니, 교회가 마땅히 수행해야 할 사명을 전달하는 데는 약한 모습을 보인다. 과거에 집중하다 보면 현재와 미래를 경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야기 전달자(Storyteller)는 내러티브 형태의 설교가 신학적으로, 커뮤니케이션적으로 가장 뛰어난 형태라고 믿는다. 청중은 그 설교에 함께 동참한다. 그러나 성경에는 시문학이나 교훈, 혹은 지혜 문학 등 이야기가 아닌 본문도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우리의 이야기를 너무 강조하다 보면 하나님의 이야기가 가진 중요성과 뒤바뀔 수도 있다.
증언자는 자신이 보고 들은 것 때문에 권위를 갖는다. 하나님의 증언자로 부름받았기 때문에 설교자는 전문 설교자로 훈련받으며 교회에 의해 인정을 받는다. 증인은 수사학적인 양식을 통해서 증언을 구체적으로 시도한다. 증인은 중립에 서 있는 단순한 관찰자가 아니라 진리를 증언하며 "복음의 선포는 언제나 믿음의 공동체에 속한 것이며, 증언하는 모든 언어들이 공동체 안에서 생명력이 있으며, 혹은 그 언어들은 공동체를 생성하기도 한다."
1.2. 설교의 성서적 기반
1.2.1. 성경과의 실질적 만남
설교자는 성경 연구를 통해 성경 본문과의 실질적인 만남을 경험하게 된다"" 설교자는 교회 공동체로부터 나아왔기에 기존에 가지고 있던 신학적 전통과 청중의 삶의 상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성경 본문에 접근한다"" 설교자는 성경 본문과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기대와 이해가 깨질 수도 있고 확인되기도 한다"" 성경 본문과의 실질적인 만남은 설교자에게 성경 연구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며, 이를 토대로 청중에게 성경의 메시지를 전할 수 있게 된다""설교자는 성경 본문과의 만남을 통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중요한 요소를 경험하게 된다"" 첫째, 비평학적 이해를 통한 성경관을 갖게 된다"" 성경의 텍스트들이 당시의 사회적 상황 속에서 기록되었다는 점을 인식하게 되며, 이를 바탕으로 성경 말씀에서 하나님의 뜻을 발견하고자 한다"" 둘째, 다양한 신학적 전통 안에서 형성된 기독교 신앙의 전통을 가지고 성경으로 들어간다"" 신학적 전통은 교회가 시대를 넘어 복음으로 구분되는 것을 기억하고 조직하며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 셋째, 청중들의 삶의 상황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성경 본문에 접근한다"" 성경은 구체적인 삶의 상황 가운데서 특별한 사람들에게 말씀하고 있기에, 설교자는 청중들의 상황을 고려하여 성경 말씀을 전달해야 한다""
1.2.2. 신학적 전통과 청중의 삶에 대한 인식
신학적 전통과 청중의 삶에 대한 인식은 설교자가 성경 본문에 접근할 때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설교자는 교회를 위하여 성경으로 나아가지만, 그 공동체의 신학적 전통과 사회적인 장소, 그리고 성경과 기독교의 복음에 대한 전이해를 가지고 있다""
설교자의 이해의 틀을 제공하는 세 가지 중요한 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평학적 이해를 통한 성경관이다"" 성경의 텍스트들이 당시의 사회적인 상황을 위해서, 그리고 그 안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