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방송국 운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유튜브 방송의 사회적 역할과 문제점
1.1. 유튜브 방송의 사회적 순기능
1.1.1. 교육의 사각지대에 있는 학생들에게 교육기회 제공
1.1.2. 긴급뉴스의 실시간 전달
1.1.3. 건전한 여가문화 창달
1.2. 유튜브 방송의 사회적 역기능
1.2.1.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않는 이슈 확산
1.2.2. 물질만능주의 부추김
2. 원격 평생교육 사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1.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기본정보
2.2.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홈페이지 구성과 운영형태
2.3.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육과정
3. 해외 공영방송의 수신료 체계와 KBS 수신료 인상 논쟁
3.1. 해외 공영방송의 수신료 체계와 인상 논의 사례
3.1.1. 영국 BBC
3.1.2. 독일 공영방송
3.1.3. 일본 NHK
3.2. KBS 수신료 인상 정책의 담론
3.2.1. 반대 측면
3.2.2. 찬성 측면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유튜브 방송의 사회적 역할과 문제점
1.1. 유튜브 방송의 사회적 순기능
1.1.1. 교육의 사각지대에 있는 학생들에게 교육기회 제공
유튜브 방송은 교육의 사각지대에 놓인 아이들에게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순기능이 있다. 유튜브에는 수천만 개의 채널이 운영 중이고, 백만 명 이상의 구독자를 가진 채널도 수만 개에 달한다. 이처럼 유튜브에 채널이 많은 만큼 영상 콘텐츠도 매우 다양하다. 교육의 사각지대에 놓인 아이들은 단순히 유튜브를 시청하는 것만으로도 자신의 교육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세계 각국의 문화나 문물을 실시간으로 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결국 유튜브가 교육의 사각지대에 놓인 아이들에게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순기능이 있음을 의미한다.
1.1.2. 긴급뉴스의 실시간 전달
유튜브는 국영방송인 KBS뿐만 아니라 YTN, MBC, SBS 등과 같은 방송국도 자체적으로 유튜브 채널을 운영 중에 있으며, 속보사항이 있을 경우 즉시 자사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라이브)으로 방송을 송출하게 된다. 또한 각 방송국이 유튜브를 통해 실시간으로 방송을 송출할 때, 각 방송국 채널 구독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람이 전달되고, 이를 통해 방송국 채널 구독자는 라이브 방송을 시청함으로서 긴급뉴스를 실시간으로 전달받게 된다. 이는 결국 유튜브가 속보와 같은 긴급뉴스를 즉각적으로 여러 사람들에게 알리는 기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1.3. 건전한 여가문화 창달
유튜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여러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동영상 공유 플랫폼이고, 현재 유튜브에는 약 160억 개 이상의 동영상이 업로드 된 상태로 알려져 있다. 특히 유튜브에 업로드 된 동영상 중에는 건전한 여가문화 창달에 도움이 되는 오락 및 문화관련 동영상이 적지 않다. 실제 우리나라 많은 사람들은 유튜브에 업로드된 여러 동영상을 시청하는 것으로 여가시간을 보내고 있으며, 이는 유튜브가 건전한 여가문화 창달기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2. 유튜브 방송의 사회적 역기능
1.2.1.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않는 이슈 확산
유튜브 방송에서는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않는 이슈들이 확산되기도 한다. 유튜브에는 라이브 방송 시스템이 있으며, 일부 유튜버들이 이를 악용하여 성추행이나 자살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송출하는 사례가 있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에서는 10대 여고생의 자살하는 모습이 유튜브 라이브 방송으로 송출된 적이 있다. 이는 유튜브 방송이 사회적으로 용인될 수 없는 이슈들을 확산시키는 역기능이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유튜브 방송이 가진 이러한 부정적인 면모들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1.2.2. 물질만능주의 부추김
유튜브 방송은 물질만능주의를 부추기는 역기능이 있다. 100만 명의 구독자를 가진 유튜버의 경우 연간 수십억 원대의 매출을 기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 초등학생이 선택한 미래 직업 중 유튜버가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단순히 유튜버가 돈을 많이 벌기 때문에 유튜버가 되길 원하는 사람이 급증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결국 유튜브 방송이 물질만능주의를 부추기는 역기능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강력한 증거이다.
2. 원격 평생교육 사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1.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기본정보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학교교육과 사회교...
참고 자료
최강의 유튜브 (플랫폼을 넘어 크리에이터로 사는법), 저자 박노성, 출판 성안북스, 2020.10.15.
권양이, 「원격평생교육방법론」, 공동체, 2020.
윤여각, 「평생교육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권영선, 「평생교육방법론」, 동문사, 2021.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홈페이지
https://prime.knou.ac.kr/sites/prime/index.do?epTicket=LOG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2020).BBC 수신료 개편 논의의 배경.미디어 이슈&트렌드,(),36-44.
박주연 and 심영섭. (2011). 독일 공영방송의 재원구조와 방송재정수요조사심의위원회(KEF). 한독사회과학논총, 21(4), 109-134.
김경환. (2017). 일본 공영방송 NHK의 수신료 체계와 징수방식에 관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46, 5-33.
김종서. (2010). KBS 수신료 인상안 비판. 법학논집, 15(2), 123-152.
김도연 기자. “KBS수신료 인상 반대 76% 찬성 13%” 미디어오늘. 2021.02.02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1768
김고은 기자. “"KBS 잘못 있지만, 공영방송은 필요"... 수신료 인상 찬성 79.9%” 한국기자협회. 2021-05-28
http://m.journalist.or.kr/m/m_article.html?no=49498
김소연 기자. “여야 한 목소리 "KBS 수신료 인상 반대" 하는데…” 한경닷컴. 2021.07.01
https://www.hankyung.com/life/article/2021070174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