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사례선정의 필요성 및 목적
실습부서에서 개인적으로 눈에 띄었던 증상이 복수로 인해 가득 부푼 복부와 황달이었다. 남녀노소할 것 없이 꽤나 여러 환자에게서 볼 수 있었다. 특히나 남성에게서는 간경변증 중에서도 만성적인 알코올을 남용한 환자에게서 가장 보편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알코올성 간경변증을 적지 않게 볼 수 있었다. 특별히 통증을 겪는 대상자는 없었지만, 아주 기본적인 일상활동인 보행부터가 어려운 대상자도 있었고, 가득 찬 복수로 인해 삶의 질이 저하되고, 심한 황달도 인해 자존감이 저하되는 등 이 질병은 일상 깊은 곳까지 침투해 대상자들을 괴롭히고 있었다. 간경화증은 45세가 넘으면 그 발생빈도가 증가하며, 이 질환은 만성적이고 진행성이라 결국 간부전이나 사망에 이르게 된다. 또 간경화증은 발병 초기에는 통증이나 특별한 자각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조기에 발견을 하지 못하여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고 상태가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에 이번 문헌 고찰을 통하여 간경화의 원인과 증상 등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이를 예방하고 적절한 간호 및 치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간경변증의 정의
간경변증(liver cirrhosis)은 넓게 퍼진 섬유증(fibrosis)과 소결절(nodule)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적이며 진행성 질환이다"" 간경변증은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해 정상적인 간 조직이 재생결절(regenerative nodules; 작은 덩어리가 만들어지는 현상) 등의 섬유화 조직으로 바뀌어 간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간세포가 파괴되고 재생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간 조직이 굳어지고 정상적인 구조가 소결절로 대체되어 간혈관이 뒤틀리게 된다"" 이로 인해 간문맥압이 상승하여 합병증이 발생하게 된다""
2.2. 간경변증의 원인 및 병태생리
간경변증의 원인 및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간경변증의 주요 원인으로는 만성 바이러스간염, 알코올성 간질환, 자가면역성 간질환, 약물 및 독성물질 등이 있다"" 만성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과 같은 만성 바이러스 간염은 간경화를 일으키는 가장 주된 원인이다"" 만성 간염의 기간이 길어질수록 간세포 내에서 염증을 일으키고, 결국 간세포의 손상과 파괴를 일으켜 간경화로 발전할 위험이 증가한다""
또한 알코올성 간질환도 간경화의 중요한 원인으로,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간세포에 직접적인 독성 효과를 가져와 간염을 유발하고 간세포가 퇴행하여 지방, 백혈구, 림프구가 침투하게 된다"" 영양부족과 반복적인 알코올 섭취로 인해 상흔 조직이 간 전체로 퍼지고 간세포가 괴사되어 간에 섬유조직이 침윤되면서 간경화증으로 발전한다""
자가면역성 간질환에는 자가면역 간염과 원발 담즙성 경화증이 있는데, 이들 질환에서도 손상된 면역계가 자신의 간 세포와 기관을 공격하면서 염증 및 섬유화 과정을 거쳐 간경화가 발생한다""
약물이나 독성물질에 의한 간독성도 간경화의 원인이 될 수 있는데, 약물, 약용식물, 독성물질 등이 간을 심각하게 손상시켜 간경화증을 유발할 수 있다""
간경화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간세포의 파괴와 재생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간의 정상적인 구조가 섬유화되고 재생결절로 대치되며 혈관 구조가 뒤틀리게 된다"" 이로 인해 간세포 기능이 저하되고 문맥압이 상승하면서 각종 합병증이 발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간세포가 파괴되면 간에서 담즙 배설 기능이 떨어지고 빌리루빈 대사 장애가 발생하여 황달이 나타나며, 문맥압 상승으로 식도정맥류, 복수, 간성혼수 등이 발생한다""
2.3. 간경변증의 증상 및 징후
간경변증의 증상 및 징후는 다음과 같다""
간경변증은 만성적인 간 손상으로 인해 간세포가 손상되고 섬유화되면서 나타나는 증상과 징후이다"" 초기에는 비특이적인 증상들이 나타나지만,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심각한 증상들이 발현된다""
초기 증상으로는 만성 피로, 식욕부진, 구역질, 복부 불편감 등이 있다"" 이러한 증상들은 간 질환에 특정적이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진행된 단계에서는 황달, 거미상 혈관종, 수장홍반 등이 나타난다"" 간경변증으로 인한 간 기능 저하는 소화기, 순환기, 내분비계 등 다양한 계통에 영향을 미친다"" 남성의 경우 여성형 유방이 생길 수 있고, 여성은 월경 불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문맥압 상승으로 인해 식도정맥류, 복수, 간성혼수, 메두사머리모양 혈관, 비장비대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한 출혈과 빈혈의 위험이 증가하며, 내치질이 나타날 수 있다""
간경화증이 진행되면 간세포의 합성 기능이 감소하여 저알부민혈증, 응고장애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심각한 출혈 위험이 증가하고 간성뇌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간경변증 환자는 다양한 증상과 징후를 보이므로 주기적인 관찰과 평가가 필요하다""간경변증의 주요 증상 및 징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기에는 간 기능 저하로 인한 비특이적 증상이 나타난다"" 만성 피로감, 식욕부진, 구역 및 구토, 상복부 불편감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증상들은 간경변증 특유의 증상이 아니어서 초기 진단이 어렵다""
질병이 진행되면 간성 병변으로 인한 증상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황달, 거미상 혈관종, 수장홍반 등이 대표적이다"" 간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