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소비자들의 온라인 식품 구매 습관을 분석하고 여전히 선호되는 오프라인 구매 이유를 조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코로나19와 소비자 심리 변화
1.1. 코로나19 이전 소비자 심리와 행동
1.2.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소비자 심리 변화
1.3. 비대면 문화의 확산과 소비자의 적응
1.4. 코로나19 이후 지속될 소비 행동 변화
2.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전자거래의 대두
2.1. 연구 배경
2.2. 연구 목적
2.3. 코로나19와 사회 변화
2.4. 코로나19와 물류산업
2.5. 물류산업의 향후 전망
3. 코로나 사태와 물류산업
3.1.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3.2. 코로나19와 사회 변화
3.3. 코로나19와 물류산업
3.4. 물류산업의 향후 전망
3.5. 한국의 물류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코로나19와 소비자 심리 변화
1.1. 코로나19 이전 소비자 심리와 행동
코로나19 이전 소비자 심리와 행동은 다음과 같다.
코로나19 발생 전, 소비자들은 주로 전통적인 구매 요소들을 중요시했다. 가격, 품질, 그리고 브랜드 신뢰도가 구매 결정의 주요 기준이었으며, 특히 대학생 소비자들은 실용성과 경제성을 중시했다. 소비자들은 학업에 필요한 물품이나 IT 기기를 구매할 때 가성비를 최우선으로 고려하였다. 예를 들어,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을 교체할 때도 가격 대비 성능이 좋은 제품을 찾기 위해 여러 브랜드의 제품을 비교하고, 할인 정보를 꼼꼼히 챙기며 오랜시간 동안 고심하여 결정을 내렸다. 또한 동기들과의 카페와 스터디 카페 방문도 빈번했는데, 카페는 단순한 음료 소비의 공간이 아니라 친구와의 교류, 과제 및 공부를 위한 장소로 자주 이용되었다. 이 당시 소비자들은 음료의 맛, 가격, 매장의 인테리어, 주변에 놀거리가 있는지, 교통은 어떤지와 같은 요소들을 소비 결정에서 큰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이 오프라인 매장을 직접 방문해 제품을 비교하고 구매하는 경험이 중요하게 여겨졌다.
1.2.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소비자 심리 변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소비자 심리 변화는 다음과 같다.
팬데믹 이후, 소비자들의 구매 결정 과정은 급격히 변화했다. 사람들은 안전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게 되었고, 그 결과 비대면 쇼핑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코로나19 감염 예방과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등 생활습관 변화로 마스크, 위생용품, 항균제품과 같은 개인위생용품 수요가 큰 폭으로 늘어났다. 또한 재택근무, 온라인 수업 등으로 IT제품, 홈트레이닝 용품 등 사회활동과 관련된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특히 코로나19 위험이 높은 고령층에서 온라인 쇼핑이 급증했는데, 이들은 비대면 구매에 익숙지 않았지만 외부 환경으로 인해 온라인 거래를 해야만 했다.
한편 불안감의 증가로 여행과 같은 비필수적인 소비가 줄어들면서 집에서의 생활과 소비를 중심으로 하는 홈코노미 문화가 확산되었다. 홈퍼니싱, 홈쿡, 온라인 콘텐츠 소비 등의 새로운 생활 방식이 나타났다. 이처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선호도와 소비 행태가 크게 변화했으며, 이러한 변화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1.3. 비대면 문화의 확산과 소비자의 적응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외출 제한이 시행되면서 많은 서비스가 비대면으로 전환되었다. 이는 소비자들의 일상에서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오프라인 활동의 제한으로 대학생들은 캠퍼스 생활과 대면 수업을 거의 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도서관 대출, 카페에서의 모임, 스터디 카페 방문 등 학업 관련 오프라인 서비스 이용에 큰 변화가 생겼다. 대신 전자책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배달 앱을 통한 음료 주문 등 비대면 서비스를 활용하게 되었다.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문화의 확산은 소비자들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손쉽게 주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선호하게 만들었고, 이로 인해 디지털화된 소비 환경에 빠르게 적응하게 되었다.
특히 줌 수업이나 녹화강의가 자주 시행되면서 소비자들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학습에 익숙해졌다. 이처럼 외출과 대면 접촉이 제한되면서 소비자들은 비대면 서비스와 디지털 기술에 의지할 수밖에 없게 되었고, 이를 통해 새로운 소비 경험을 하게 되었다. 이는 향후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1.4. 코로나19 이후 지속될 소비 행동 변화
코로나19 팬데믹이 지속되면서 소비자들의 소비 행동에도 장기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는 단순히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앞으로 계속해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 비대면 쇼핑과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유지될 것이다. 코로나19 이후 소비자들은 온라인 쇼핑과 배달 서비스의 편리함을 경험하면서 이에 익숙해졌다. 실제로 코로나19 확산 이후 온라인 쇼핑 거래액이 급증하였고, 특히 식료품이나 생활용품 등의 온라인 구매가 크게 늘었다. 이러한 소비 행태의 변화는 팬데믹이 종식된 이후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소비자들은 비대면 쇼핑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체험했기 때문에, 앞으로도 온라인 쇼핑을 선호하며 이용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안전과 위생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면서 관련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지속될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소비자들은 개인 위생용품, 청소용품, 건강관리 제품 등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이는 감염 예방과 위생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소비자 트렌드는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기업들은 이에 대응하여 관련 제품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발할 것이다.
셋째, 집콕 문화의 확산에 따라 홈코노미 관련 소비가 지속될 것이다. 팬데믹 이후 사람들은 외출이 제한되면서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났고, 이에 따라 홈퍼니싱, 홈트레이닝, 홈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홈코노미 관련 수요가 증가했다. 이는 단순한 생활의 편의성 추구를 넘어 정서적 안정과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소비 행태의 변화를 의미한다. 따라서 홈코노미 관련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팬데믹 이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넷째, 경험 소비에 대한 갈망이 높아질 것이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사람들은 여행, 외식, 문화 활동 등의 제한을 겪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오프라인에서 직접 경험...
참고 자료
한국소비자원. (2020). "코로나19가 소비자 행동에 미친 영향". 한국소비자원 보고서.
통계청. (2021). "2020년 소비자 물가 동향". 통계청.
통계청, “코로나19를 전후한 가계소비지출의 변화”, 2021.12.3,
http://kostat.go.kr/regional/dn/dn_ntc/1/8/index.board?bmode=read&aSeq=416438&pageNo=1&rowNum=10&amSeq=&sTarget=&sTxt=
윤형하, “집콕족 집 꾸미기에 지갑 열었다...수입액 역대 최대”, 한국세정신문, 2022.04.27, http://www.taxtimes.co.kr/news/article.html?no=254526
Lee, J., & Kim, H. (2021). "Consumer Behavior Chang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48(3), 500-515.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 "Impact of COVID-19 on Consumer Behavior". WHO Report.
McKinsey & Company. (2021). "How COVID-19 is changing consumer behavior". McKinsey Insights.
Nielsen. (2020). "The Impact of COVID-19 on Consumer Behavior". Nielsen Report.
KPMG. (2020). "Consumer and Retail Trends in the COVID-19 Era". KPMG Insights.
Deloitte. (2020). "Consumer Behavior in the Time of COVID-19". Deloitte Insights.
장지호. "글로벌 전자상거래의 확대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부산
KHUDOYNAZAROV IBROHIM ALIKULOVICH. "코로나19 팬데믹이 우즈베키스탄 전자상거래에 미친 영향: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2022. 충청북도
강종석(2021), 코로나19 팬데믹과 전자상거래, 세계는 지금, KDI 경제정보센터, 나라경제, 362(1).
한국무역협회, “코로나19 이후 쇼핑 시장, 전자 상거래에 달렸다”, 한국무역신문, 종합무역뉴스, 2020.6.19
김대호, 이신영(2020). [Focus] 각국 유통업체들 ‘코로나19 특수’. 마이더스2020권, 4, 86-87.
김동환(2020). (수정판)농업, 온라인 유통혁명에 적응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시선집중 GSnJ, 277, 1-15.
김상효, 문동현, 지정훈, 김민선(2020). 코로나19 발생 이후 외식, 학교 급식 분야의 농식품 소비변화 분석. KREI 현안분석, 제75호.
김상효, 홍연아, 허성윤, 지정훈(2020).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농식품 소비분야 영향분석. KREI 현안분석, 제74호.
송민근(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신유통에 관한 검토. 해운물류연구, 36(2), 325-356.
서홍석, 순병민, 김충현(2020).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농업부문 영향분석. KREI 농정포커스, 제189호.
안영탁(2020). 유행성 전염병 사태에 대한 해외건설 계약 대응방안 연구 –COVID19 유행을 시점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완형(2020).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유통물류산업의 비즈니스 환경변화와 리스크 극복 전략. 유통경영학회지, 23(3), 81-95.
이진표(2017). 메르스가 대형마트 매출액에 미친 영향 분석: A대형마트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해영(2017). 4차 산업혁명 시대 물류산업의 미래 - 4차 산업혁명과 국내 산업의 미래 (시리즈 3 물류). VIP Report, 707, 1-17.
황성보(2020). 코로나19가 농협공판장 거래에 미친 영향 분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