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기업 소개
1.1. 농심 개요
1.1.1. 기업이념 및 비전
농심의 기업이념 및 비전은 다음과 같다.
농심은 "더 좋은 상품과 서비스로 보다 나은 삶을 위해 공헌한다"는 기업이념 아래 "고객과 함께 건강과 행복을 추구하는 글로벌 식품기업"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Do Dream World Best"라는 슬로건을 바탕으로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혁신을 거듭하며, 생명과 자연을 존중하는 한국 전통 식문화를 바탕으로 건강과 행복을 추구하고 있다.
농심은 창립 50주년이 되는 2015년에 매출 4조 원, 경상이익 5,000억 원을 목표로 잡고 신규 사업 및 해외 사업 분야로의 진출을 적극적으로 전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고객과 함께 건강과 행복을 추구하는 글로벌 식품기업"이라는 비전을 실현하고자 한다.
1.1.2. 농심 3대 정신과 핵심가치
농심 3대 정신과 핵심가치는 농심의 창업 정신과 철학을 잘 보여주고 있다. 농심을 창업하고 성장시킨 창조성과 개척의지를 핵심으로 하는 "개물성무", 이웃과 더불어 내가 가진 좋은 것을 기꺼이 나누고 함께 행복하기를 추구하는 "농심철학", 그리고 더 나은 세계를 열고자 하는 부단한 혁신과 도전 의지, 꺼질 줄 모르는 열정이 함축된 "도연정신"이 그것이다.
이러한 3대 정신을 바탕으로 농심은 "무한창조", "고객행복", "주인의식"이라는 4가지 핵심가치를 정립하였다. 지속적인 도전과 혁신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무한창조", 시대정신에 부응하여 내외부 고객의 행복을 추구하는 "고객행복", 그리고 일에 대한 열정과 정도를 궁구하여 책임을 완수하는 "주인의식"이 그것이다.
이처럼 농심은 3대 정신과 4대 핵심가치를 기업운영의 근간으로 삼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식품사업, 해외사업 뿐만 아니라 신성장 사업에서도 지속적인 성장동력을 만들어나가고 있다. 곧 농심의 3대 정신과 핵심가치는 농심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아우르는 기업 철학이자 DNA라고 할 수 있다.
1.1.3. 농심의 사업현황
1.1.3.1. 대표상품
농심의 대표상품은 면류, 스낵류, 음료류, 기타 제품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면류 제품의 경우 신라면, 안성탕면, 너구리, 짜파게티 등이 대표적이다. 2010년 기준 매출에서 면류가 62.2%를 차지하며, 농심의 주력 사업 부문이다. 신라면은 농심을 대표하는 아이콘 브랜드로, 국내 라면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스낵류로는 새우깡, 양파링, 포스틱 등이 있으며, 2010년 기준 매출에서 12.2%를 차지한다. 새우깡은 1971년 농심이 국내 최초로 개발한 대표적인 스낵 제품이다.
음료류로는 삼다수, 카프리썬, 웰치스 등이 있으며, 2010년 기준 매출에서 11.4%를 차지한다. 삼다수는 농심이 제주도에 삼다수 공장을 건립하면서 출시한 대표 음료 브랜드이다.
그 외에도 켈로그, 츄파춥스, 덴마크햄 등의 기타 제품군이 있으며, 2010년 기준 매출에서 13.8%를 차지한다.
이처럼 농심은 면류, 스낵류, 음료류 등 다양한 식품 카테고리에서 국내 대표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식품 전반에 걸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1.3.2. 매출추이
농심의 매출추이는 다음과 같다.
2009년 매출액은 1조 6,758억 원, 당기순이익은 1,051억 원이었다. 2010년에는 매출액이 1조 8,952억 원, 당기순이익이 1,243억 원으로 증가했다. 2011년 상반기 매출액은 1조 582억 원, 당기순이익은 644억 원을 기록했다.
농심은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해왔음을 알 수 있다. 2010년 기준 매출액은 전년 대비 13% 증가했고, 당기순이익도 18.3% 늘어났다. 2011년 상반기에도 안정적인 실적을 나타냈다. 이는 농심이 라면과 스낵, 음료 등 다양한 식품 부문에서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농심은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에 발맞춰 신제품을 개발하고 해외시장 개척에도 힘써왔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매출과 이익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1.3.3. 해외진출
농심의 해외진출은 라면과 스낵을 전 세계 80여 개국에 수출하며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다.
농심은 1996년 중국 상해에 첫 해외공장을 준공하면서 본격적인 해외시장 진출을 시작했다. 이후 2005년에는 미국 LA에 공장을 준공하는 등 주변국을 중심으로 활발한 해외 진출을 펼쳐왔다. 현재 농심은 중국, 일본, 북미 등 주요 거점 지역에 지사와 사무소를 운영하며 현지화 전략을 통해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특히 중국 시장에서 농심은 두드러진 성과를 보이고 있다. 1990년대 초반부터 중국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한 농심은 현재 중국 내 라면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중국은 세계 최대 라면 시장으로 연간 192억 개의 라면이 소비되고 있어 농심에게 매력적인 시장이다. 농심은 중국 내 상해, 청도, 심양 등에 현지 공장을 설립하고 '신라면'을 비롯한 인기 제품들을 공급하며 시장을 주도해 나가고 있다.
일본 시장에서도 농심은 주요 거점 도시를 중심으로 판매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일본은 우리나라와 더불어 라면 소비량이 많은 시장으로, 농심은 일본 내 판매 거점을 확대하며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북미 시장의 경우, 농심은 토론토, LA, 뉴욕 등에 지사와 사무소를 두고 있다. 농심은 이 지역에서 'New York Life'라는 브랜드로 한국 라면을 선보이며 현지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이처럼 농심은 라면과 스낵 등의 주력 제품을 중심으로 전 세계 80여 개국에 수출하며 지속적인 해외 시장 개척에 힘쓰고 있다. 특히 중국, 일본, 북미 등 주요 거점 지역에서 현지화 전략을 펼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향후에도 농심은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해외 사업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1.2. 월마트 개요
1.2.1. 연혁
월마트(Wal-Mart)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1962년 샘 월튼이 아칸소주 로저스에 최초의 월마트할인점(discount store)을 설립하였다. 1972년 뉴욕 주식시장에 상장되었고, 이때 점포수는 51개점, 매출액은 7천 8백만 달러였다. 1977년에는 시카고에 있는 모어벨류회사를 인수하였다. 1979년에 점포수가 2백 76개점, 매출액이 12억 5천만 달러로 성장하였다. 1981년에는 조지아와 남부 캐롤라이나에 개점하였고, 1983년에는 울코 스토어를 인수하였다. 1987년에는 1,198개의 점포와 159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종업원 20만명을 두게 되었다. 1990년에는 자국(미국) 내 소매업 1위에 등극하였다. 1991년에는 첫 해외진출로 멕시코에 진출하였다. 1992년에는 창립자 샘 월튼이 사망하고 롭 월튼이 회장에 취임하였다. 1996년에는 아시아 시장에 진출하여 중국에 첫 진출하였다. 1998년에는 한국시장과 유럽시장에 진출하였다. 1999년에는 영국시장에, 2002년에는 일본 시장에 진출하였다. 2006년에는 한국과 독일 시장에서 철수하였다.
1.2.2. 월마트의 철학과 운영전략
월마트의 철학과 운영전략은 다음과 같다.
월마트는 '고객은 항상 옳다'는 명확한 기본원칙을 설정하고 전 구성원이 이를 공유하며, 모든 경영활동의 측면에서 이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월마트는 자신을 '고객의 구매대리인'이라고 생각하며, 이 대리인의 판단기준은 '어느 쪽이 고객에게 도움이 될까'이다. 고객만족을 위해 같은 제품이라도 경쟁사보다 더 많은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저가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고객의 쇼핑편의를 위해 카터에 계산기를 부착하거나, 고객이 10피트 내에 있을 경우, 먼저 눈을 맞추고 도와줄 것이 없는지를 확인하는 등 고객에게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월마트는 이러한 '고객제일주의'라는 기본원칙을 지키기 위해 조직의 모든 시스템과 조직내의 제도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운영되고 있다. 또한 월마트는 신뢰도가 높은 기업이다. 월마트 본사나 점포를 방문해 보면 곳곳에 '우리 사람들은 뭔가 다른 것을 창출해 내지요'와 같은 구호가 붙어 있는데, 이는 월마트의 구성원들에 대한 회사의 신뢰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이다. 월마트는 이러한 신뢰를 바탕으로 구성원들에게 회사가 그들을 위해 무언가를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근속년수 및 성과에 연동하여 액면가로 주식을 매입하게 하고 있으며, 전 구성원이 시가의 70%이하로 주식매입을 하도록 하고 있다. 실제로 월마트에서는 이러한 제도에 의해 근속년수 10년 이상의 종업원의 경우 10만 달러에서 300만 달러까지 이익을 얻고 있다.
월마트의 고객 및 현장 중시 철학은 최고경영자들의 구체적이고도 상징적인 행동을 통해 구성원들에게 전파되고 있다. 최고경영자들까지 직접 커피를 타 마시고, 최고경영자를 비롯한 경영층은 4평 남짓하고 작고 검소한 사무실을 사용하고 있으며, 잦은 현장방문을 통해 구성원들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있다. 전 사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