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뇌성마비
1.1. 정의
뇌성마비는 출산 전, 분만 중, 출산 후 만 2 세 이전에 미성숙한 뇌의 비진행성 병변 혹은 비전염성 손상으로 인해 중추성 운동 장애가 생긴 상태로서, 비정상적인 자세유지 및 형태의 운동능력 장애를 보이는 임상증후군이다.
1.2. 원인
1.2.1. 출생 전 원인
뇌성마비의 출생 전 원인은 모체의 감염, 방사선 조사, 약물, 중독, 제대(배꼽)의 이상, 태반의 이상, 모체의 산소 결핍 상태 등으로 인한 임신 중의 무산소증, 그리고 모체와 태아의 혈액형 부적합으로 인한 핵 황달 등이다.
또한 조산으로 인한 요인도 주요한 원인이 되는데, 이 경우에는 폐포 확장을 돕는 계면활성제 생성에 문제가 있는 RDS(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혈관 분포가 적어 혈액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PVL(Periventricular Leukomalacia), 그리고 뇌실을 싸고 있는 막 형성이 불완전해져 발생하는 IVH(Intraventricular Hemorrhage) 등의 장애가 뇌성마비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1.2.2. 분만 중 원인
분만 중 원인은 비정상 분만 특히 난산 등의 기계적 요인과 기도 폐쇄, 호흡마비, 양수 흡인 등에 기인한 신생아 가사가 주된 원인이다. 난산은 이러한 기계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며, 기도 폐쇄와 호흡마비는 산모나 태아에 문제가 있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양수 흡인은 태아가 양수를 흡인하여 생기는 문제로, 이러한 원인들로 인해 뇌성마비가 발생할 수 있다.
난산은 정상적인 분만 경로나 힘에 장애가 발생하여 진행이 어려운 상태를 말한다. 이는 태아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모체골반이 좁은 경우, 태아의 자세가 부적절한 경우, 자궁 수축력 저하 등의 이유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적 요인들은 분만 과정에서 태아의 뇌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기도 폐쇄와 호흡마비는 산모나 태아에게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발생한다. 산모의 건강 문제나 태반 기능 저하 등으로 인해 태아에게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않거나, 출산 과정에서 태아의 기도가 막히거나 호흡이 멎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이로 인한 뇌 손상은 뇌성마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양수 흡인은 태아가 분만 과정에서 양수를 삼켜 기도로 흡입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로 인해 태아의 기도가 막히고 호흡 곤란이 발생하여 뇌 손상이 올 수 있다. 특히 태변이 있는 양수를 흡인한 경우에는 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처럼 분만 중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은 태아의 뇌 손상을 유발하여 뇌성마비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산모와 태아의 건강 관리, 적절한 분만 관리, 신속한 응급 처치 등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3. 출산 후 원인
출산 후의 원인으로는 두부외상, 감염(뇌염, 뇌막염), 뇌종양 등이 있다.
두부외상은 출산 후 발생한 외상으로 인한 뇌손상이다. 출산 시 기계적 요인에 의한 두부손상이나 출산 후 사고 등으로 두부에 충격을 받아 뇌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감염의 경우, 뇌염이나 뇌막염과 같은 중추신경계 감염이 발생하여 뇌손상을 초래한다.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감염원이 뇌에 침투하여 염증 반응을 일으키면서 뇌조직이 손상된다.
또한 뇌종양도 출산 후 발생할 수 있는 원인이다. 뇌종양이 발생하여 뇌조직을 압박하고 손상시킬 경우 뇌성마비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출산 후 두부외상, 감염, 뇌종양 등의 요인으로 인해 뇌손상이 발생하면 뇌성마비가 발생할 수 있다.
1.3. 유형
1.3.1. 손상범위에 따른 유형
뇌성마비 유형 중 손상범위에 따른 유형은 다음과 같다.
1) 사지마비(Quadriplegia)
- 사지마비는 정상적인 재태기간을 채운 아동 중에서 출산질식이 있었던 아이에게서 많이 생긴다.
- 머리, 목, 체간 그리고 팔, 다리가 모두 장애를 보이며, 다리보다는 상지가 더 장애 정도가 심하거나 비슷한 정도의 장애를 동반한다.
- 동반장애로는 시각장애, 청각장애, 간질발작, 정신지체, 구강 운동장애가 있을 수 있다.
- 양쪽 비대칭적인 경우가 많아서 구축과 변형이 잘 일어나고 특히 척추측만증이나 고관절 탈구가 침범된 부위에서 잘 생긴다.
2) 양하지마비(Diplegia)
- 뇌성마비 유형 중 가장 흔하며, 출생 직후에는 근 긴장의 저하를 보이나 6개월 내지 1년 내에 경직형이 된다.
- 어릴 때는 폄근의 경직이 우세하다가 나이가 들면서 굽힘근의 경직이 강해진다.
- 고관절 모음, 안쪽돌림, 굽힘 구축과 발목관절의 Clubfoot, 발의 Valgus 등의 골격계 문제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 몸 전체적으로 마비를 나타내며 상지와 얼굴보다는 체간과 양하지가 심한 양상을 보이고, 하지에서는 한쪽다리의 장애 정도가 더 심하다.
- 하지는 extensor pattern, scissor leg가 일반적이며 상지에서는 hand function이 떨어지거나 경한 장애를 보인다.
3) 편마비(Hemiplegia)
- 편마비는 강직성 뇌성마비의 가장 흔한 형태이다.
- 신체의 반쪽에서 비정상적인 근 긴장과 움직임이 있으며, 신체의 반쪽 부위 전체에 장애가 있다.
- 지절뿐만 아니라 얼굴의 반쪽, 목, 그리고 체간도 장애를 갖으며, 하지보다는 상지의 장애가 더 심하고 어느 쪽이 더 많이 침범되는지는 특별한 경향이 없다.
4) 하지마비(Paraplegia)
- 하지가 좌우 대칭적으로 운동 마비를 일으킨 상태이다.
- 척수 내의 추체로 양쪽 모두 장애를 일으킬 때 발생하며, 경련성 마비 외에 병변의 범위에 따라 지각 장애, 실조증 등의 증세를 동반할 수 있다.
5) 단마비(Monoplegia)
- 사지 중에서 한쪽 팔이나 다리에만 운동장애가 있는 경우이다.뇌성마비는 손상 범위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며, 이는 운동 기능과 독립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사지마비는 가장 광범위한 손상을 보이며 일상생활 수행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반면 편마비는 상지 기능 저하가 더 두드러지는데, 정상측 사지의 보상적 역할로 어느 정도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마비는 하지에만 국한된 장애를 보이며, 단마비는 한 개의 사지에만 영향을 주어 비교적 양호한 예후를 나타낼 수 있다. 이처럼 뇌성마비 유형에 따라 운동 기능과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상이하게 나타나므로, 정확한 평가와 맞춤형 중재가 필요하다.
1.3.2. 손상영역에 따른 유형
뇌성마비는 손상 영역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뉜다.
강직성 뇌성마비(Spasticity)는 뇌의 motor cortex나 추체로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stretch reflex가 항진되고 손상부위의 심부건 반사가 증진되는 것이 특징이다. 강직성 뇌성마비는 손상 정도에 따라 경도(mild), 중등도(moderate), 중증(severe)으로 구분된다. 경도의 경우 정위반응과 평형반응이 불완전하지만 보통 걷기가 가능하고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증가한다. 중등도는 보행이 가능하지만 상동적이고 비대칭적인 움직임을 보이며 연합반응이 증가한다. 중증은 움직임의 감소, 중간범위 감소, 느리고 부자연스러운 상동적 움직임, 중축부 구축, 숨쉬기와 먹기, 구술장애, 정서 문제 등이 나타난다.
무정위성 뇌성마비(Athetosis)는 주로 태아기와 출산 시 과정에서의 질식에 기인하며, 기저핵 손상이 원인이다. 무정위성 뇌성마비는 순수형(pure athetosis)과 강직성 무정위성(athetosis with spasticity), 강직성 간대성 무정위성(athetosis with tonic spasm), 무도성 무정위성(choreoathetosis) 등으로 구분된다. 순수형은 비틀린 불수의적 움직임, 안정성 감소, 동시수축 장애 등이 특징이다. 강직성 무정위성은 움직임 조절 감소, 정중선 조절과 선택적 움직임 감소, 근위부 안정화와 원위부 무도경련 등이 나타난다. 강직성 간대성 무정위성은 근 긴장도의 심한 변화, 과도한 폄이나 굽힘, 비대칭적 자세 등을 보인다. 무도성 무정위성은 근 긴장도의 심한 변화와 함께 관절가동범위의 양 끝 부분에서만 움직임, 부자연스러운 급격한 움직임 등이 특징이다.
실조성 뇌성마비(Ataxia)는 소뇌 손상으로 인...